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 외교부가 일본의 최근 정치·안보 행보를 잇달아 문제 삼으며 경고 수위를 끌어올렸다. 브리핑에서는 일본 총리 고이치 사나에의 대만 관련 발언부터 일본 수산물 통관 문제, 과거사 인식, 안보리 개혁 논의까지 다양한 쟁점이 이어졌다. 20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마오닝(毛宁, Mao Ning) 대변인은 일본이 ‘존망 위기’ 개념을 근거로 대외 군사 행동을 확대했던 과거를 상기시키며, 대만 문제를 명분 삼아 무력 개입을 시도하는 움직임은 용납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마오닝은 일본이 전후 국제사회에서 약속한 ‘전쟁 포기’ 원칙이 여전히 유효하며, 이를 흔드는 모든 시도는 지역 안정을 흔드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일본 수산물 통관 문제와 맞물려, 중국은 일본이 제출하기로 한 기술 자료가 제때 제공되지 않았다는 점을 언급하며 수입 중단의 원인을 명확히 했다. 또한 일본 내 여론 변화와 맞물려 중국 내 소비자 정서가 완전히 돌아섰다는 점을 언급하며 현실적으로 시장성이 사라졌다고 했다. 영국 측이 제기한 중국의 정보 활동 의혹에 대해 중국은 사실무근이라는 기존 입장을 다시 확인했다. 중국과 러시아 간의 비자 면제 정책 추진을 두고는 상호 교
[더지엠뉴스]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아랍 국가들의 단합과 발전을 강조하며, 아랍연맹 정상회의에 축하 서한을 전달했다. 19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시진핑 주석은 지난 17일 제34차 아랍 국가연맹 정상이사회 회의를 주최한 이라크 대통령 압둘 라티프 라시드에게 서신을 보내 회의의 개최를 축하했다. 시 주석은 아랍연맹이 지난 80년간 아랍 세계의 단결과 자강을 위해 헌신해 왔으며, 중동의 평화와 안정, 번영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 또한 복잡하게 전개되는 중동 정세 속에서도 아랍 국가들이 독립자주 원칙을 견지하며 공정과 정의를 수호해왔고,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의 목소리를 키우는 데에도 중대한 기여를 했다고 언급했다. 시 주석은 특히 최근 몇 년간 중국과 아랍 국가 간의 관계가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2년 12월, 자신이 직접 참석했던 제1차 중국-아랍 정상회의를 거론하며, 이 회의가 양측 관계의 도약을 이끄는 전환점이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2026년에는 제2차 중국-아랍 정상회의가 중국에서 열릴 예정이라고 밝히고, 이 회의가 또 하나의 역사적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시진핑 주석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