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호랑이 캐릭터 ‘더피’가 글로벌 comment 물결을 타고 일제 전쟁범죄 서사를 재점화했다. 온라인에서는 일본의 조선 호랑이 사냥, 위안부 강제 동원, 식민 통치의 상징 파괴까지 구체 사례가 연쇄적으로 공유되며 조회가 급증했다. 구이저우일보(贵州日报, Guizhou Ribao)에 따르면, 중국에서는 전쟁 범죄를 다룬 영화 ‘731’이 개봉일에 눈물로 상영관을 채웠고, 관객 발언과 현장 분위기가 다수의 지역 매체와 플랫폼을 통해 확산됐다. 틱톡에서는 ‘더피’를 계기로 조선 호랑이 멸종사가 데이터와 사진, 지도를 동원해 재구성됐다. ‘정호군’ 조직적 토벌 기록과 함께 “한반도 야생 호랑이는 1920년대 이후 자취를 감췄다”는 설명이 붙었고, 해외 이용자들이 남긴 “일본은 아직 사과하지 않았다” 같은 반응이 상단을 채웠다. 좋아요 18만, 조회 120만 회로 집계된 영상이 추천망을 타며 언어권을 넘어 공유됐다. 몇몇 이용자는 ‘케데헌을 보다가 호랑이 역사를 찾아봤다’는 경로를 밝히며 작품-검색-사실 확인-공유로 이어지는 확산 구조를 제시했다. 일본 제작사 소니 픽처스가 참여한 작품이라는 점은 역설
[더지엠뉴스]중국 외교부가 일본 정부의 역사 인식에 대해 다시 한번 정면으로 문제를 제기하며, 중러 공동성명에서 언급된 ‘일본의 군국주의 청산’ 요구를 재확인했다. 13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린젠(林剑, Lin Jian)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일본 내각관방장관 하야시 요시마사의 발언에 대해 “일본이 아직도 침략의 역사에 대해 올바른 태도를 취하지 못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 발언은 앞서 중러가 공동성명에서 “일본은 역사 교훈을 반성하고, 군국주의와 철저히 결별해야 한다”고 명시한 데 대해 일본 측이 반발하며 “중러의 주장은 근거 없다”고 반박한 데 따른 것이다. 린 대변인은 “2차대전 당시 일본 군국주의는 아시아 전역에 엄청난 참화를 가져왔으며, 피해국들이 여전히 깊은 상처를 안고 있다”며, “그러나 일본 정부는 위안부 문제에서 회피하거나, 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반복하며 역사 왜곡을 일삼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일본이 국제사회 일원으로서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침략의 과거를 철저히 반성하고, 주변국과 국제사회에 진정성 있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고 밝혔다. 린젠 대변인은 특히 올해가 ‘중국 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