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이 자체 개발한 2톤급 전기수직이착륙(eVTOL) 항공기를 활용해 해상 석유 플랫폼에 긴급 물자를 처음으로 공중 수송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 선박·헬기 중심이던 해상 공급 방식에서 기술 기반 물류 전환이 본격화됐다는 분석이다. 3일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중국해양석유총공사(CNOOC)는 선전에서 출발한 eVTOL 항공기 ‘V2000CG 캐리올(CarryAll)’이 총 58분간의 비행을 거쳐 약 150km 떨어진 해상 석유·가스 플랫폼에 착륙했다고 발표했다. 수송 물자는 신선 과일, 응급 의약품, 기타 현장 보급품 등으로 구성됐다. 이번 임무에 투입된 V2000CG는 상하이 스타트업 오토플라이트(AutoFlight)가 지난 7월 납품한 모델로, 최대 이륙중량은 2톤, 적재중량은 400kg, 순항속도는 시속 200km, 최대 항속거리는 200km에 달한다. CNOOC 선전지사의 렌융이(任永义) 부조정관은 “기존에는 선박으로만 물자를 운반했기 때문에 왕복 10시간 이상이 소요됐고, 긴급 상황에는 헬기를 동원했지만 단가가 높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시범 운항은 응급 대응 속도, 운항비용, 친환경성, 착륙 유연성 면에서 기존 수단을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이 보하이만에서 해상 중질유 개발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 1억톤 규모의 켄리 10-2 유전이 정식 가동에 들어갔다. 22일 중국해양석유총공사(CNOOC)에 따르면, 텐진에서 약 245km 떨어진 보하이만 남부 해역에 위치한 켄리 10-2 유전이 이날부터 본격적인 생산을 시작했다. 해당 유전은 수심 약 20m의 얕은 해역에 있으며, 보하이만 분지의 함몰지대에서 발견된 최초의 1억톤급 층상지질 유전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중국이 처음으로 해상에서 ‘가지형 분포 중질유’를 개발하는 사례로 꼽힌다. 유전 내 석유와 가스는 나뭇가지처럼 얽힌 곡선형 사층구조에 흩어져 분포돼 있어, 기존 개발 방식으로는 채굴이 매우 까다롭다. 유체 점성도 다양하고 지질 조건도 복잡해 기술적 난도가 높은 편이다. 그러나 이번 가동으로 중국 해양 중질유 개발은 새로운 기술적 이정표를 세우게 됐다. 켄리 10-2는 향후 유사 구조 유전 개발에 기준점을 제공하는 동시에, 올해 보하이유전의 4천만톤 생산 목표 달성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정부는 해양경제를 미래 성장동력으로 설정하며 관련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해양관광, 수산업, 운송, 석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