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불확실한 국제 정세 속에서, 동북아 국가 간 다자주의와 지역 협력 강화가 시급하다는 인식이 다시 부상하고 있다. 중국 다이빙 대사와 임병진 동북아시아지역자치단체연합(NEAR) 사무총장은 서울 회동에서, 중국과 한국을 포함한 역내 지방정부가 외부 리스크에 공동 대응하고 협력 구조를 확대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27일 주한중국대사관에 따르면, 다이빙 대사는 지난 25일 임병진 사무총장과 만나 “중한 양국은 서로 중요한 이웃이자 협력 파트너”라며 “양국관계는 한국의 새 정부 출범 이후 좋은 출발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NEAR는 중한을 포함한 동북아 국가들이 교류와 협력을 확대할 수 있는 훌륭한 장”이라며, “국제 정세가 복잡한 상황일수록 지역이 연대해 다자주의를 수호하고, 불확실성을 함께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러한 시기일수록 연합회가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임병진 사무총장은 이에 “중국 지방정부는 연합회에서 지속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고 밝히며, NEAR의 연혁과 최근 주요 활동을 소개했다. 또한 “앞으로도 중국과 함께 한중 간 지역 교류를 더욱 심화시키고, 실질적이고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에서 결혼휴가를 대폭 늘리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전국 28개 성·자치구·직할시가 이미 관련 조치를 시행 중이다. 23일 중국 매체에 따르면, 후베이성이 이달 결혼휴가를 기존 3일에서 15일로 연장한 데 이어, 산둥성과 쓰촨성은 각각 18일, 25일까지 확대했다. 이 가운데 산시성과 간쑤성은 가장 긴 30일 휴가를 보장한다. 허난과 헤이룽장성 역시 각각 28일, 25일까지 부여하고 있다. 결혼휴가 확대는 혼인율 하락에 대한 대응책으로 추진되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결혼 등록 건수는 181만 쌍으로, 전년 대비 8% 감소했다. 이는 198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광둥성은 여전히 3일 기준을 유지하고 있어, 지역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최소 10일 이상’으로 늘려야 한다는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결혼휴가 정책은 각 지방이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도록 돼 있어 지역 간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당국은 결혼과 출산을 유도하기 위한 인센티브 제공이라는 점에서, 향후 전국적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중국 내 일부 지역은 이동 혼인등록소를 야외 행사장에 설치하는 등 등록 장벽을 낮추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