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중국 정부가 한국과 일본을 포함한 46개국에 적용 중인 무비자 입국 제도를 내년 말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대외 교류와 관광 산업을 활성화하려는 고수준 개방 정책의 일환이다. 4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비자 면제 조치는 당초 올해 말 종료될 예정이었으나 2026년 12월 31일까지로 1년 더 연장됐다. 이번 연장 대상에는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네덜란드 등 유럽 32개국과 한국, 일본,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쿠웨이트, 바레인 등 아시아 6개국, 호주·뉴질랜드 등 오세아니아 2개국, 그리고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페루, 우루과이 등 중남미 5개국이 포함됐다. 이 조치에 따라 해당국 일반여권 소지자는 중국 내에서 관광, 비즈니스, 친지 방문, 교류 활동, 경유 목적 등으로 최대 30일간 무비자 체류가 가능하다. 외교부는 “이번 연장은 중국공산당 20기 4중전회 정신을 실천하고, 국제 왕래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실질적 조치”라고 밝혔다. 중국은 2023년부터 내수 진작과 글로벌 개방 확대를 위해 순차적으로 무비자 정책을 시행해왔으며, 한국은 같은 해 11월 처음으로 대상국에 포함됐다. 이후 한시적으로 운영되던 비자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중국이 비밀리에 핵실험을 하고 있다”고 주장한 가운데, 마오닝(毛宁, Mao Ning)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3일 “중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이자 책임 있는 핵보유국으로서 평화적 발전 노선을 확고히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마오 대변인은 중국이 ‘핵무기 선제 불사용’ 정책을 일관되게 지켜왔으며, 자위적 핵전략을 유지한 채 핵실험 중단 약속을 충실히 이행해왔다고 강조했다. 3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마오 대변인은 “중국은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의 권위를 지키고 국제 핵군축·비확산 체제를 보호하기 위해 모든 당사국과 협력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은 CTBT 의무와 핵실험 중단 공약을 성실히 이행하고, 실질적 조치를 통해 세계 전략 균형과 안정을 유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마오 대변인은 “중국의 입장은 명확하며, 허위 주장과 왜곡된 비난으로는 국제사회의 신뢰를 얻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중국은 책임 있는 대국으로서 평화적 핵정책을 유지할 것이며, 국제사회의 공동 안보를 위한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