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화웨이 신제품 출시 기대와 무위안식품의 깜짝 실적이 A주 시장을 흔들었다. 가전과 축산업 관련주가 집단 급등하며 오후 장을 주도했다. 26일 증권시보에 따르면 상하이 종합지수는 장중 3,888선을 넘기도 했으나 0.39% 하락한 3,868.38로 마감했다. 선전 구성지수는 0.26% 상승했고, 차이넥스트 지수는 0.75% 내렸다. 이날 시장에서 2,800개 이상의 종목이 상승세를 보였다. 가전 부문에서는 화웨이 관련주가 장을 이끌었다. 화웨이 쿤펑 지수와 홍멍 지수가 모두 2% 이상 상승했고, 준이디지털과 에어로스페이스 그랜드비전은 상한가를 기록했다. 오는 27일 공개될 화웨이 AI SSD 신제품 출시 소식이 촉매가 됐다. 여기에 상하이자동차(SAIC)와 공동 개발한 ‘상제 H5’ 사전판매 개시도 호재로 작용했다. 이 차량은 ADS4 보조주행시스템, 192라인 레이저 레이더, 홍멍(Hongmeng) 콕핏 등 첨단 기술이 탑재됐다. 화웨이 클라우드 사업부의 대규모 구조조정도 시장의 이목을 끌었다. 화웨이는 일반 컴퓨팅, 지능형 컴퓨팅, 스토리지를 핵심으로 하는 “3+2+1” 체제로 재편하고, AI와 데이터베이스, 보안 역량을 집중 강
[더지엠뉴스] 미국 자동차 업체 제네럴모터스(GM)가 중국 사업에 대한 대대적인 구조조정에 나선다는 외신의 보도에 대해 제너럴모터스 차이나는 14일 “중국 현지 파트너인 상하이자동차(SAIC)와 파트너십, 합작 투자의 장기적인 발전을 촉진하려는 우리의 약속은 변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제너럴모터스 차이나는 측은 이날 성명을 통해 “앞으로도 중국 소비자들에게 최고의 제품과 기술을 제공하고, 미래를 위한 제품 기획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장기적인 발전 목표 달성을 위해 합작 파트너사인 SAIC와의 협력과 교류가 그 어느 때보다 가까워져 수익성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달성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앞서 외신들은 제너럴모터스(GM)가 정리해고, 감산, 사업 구조조정 등 중국 사업에 대한 대규모 구조개혁을 단행할 계획이라고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중국 매체 펑파이신문 등에 따르면 실제 최근 몇 년간 제너럴모터스는 중국 내 고급 수입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전기차 생산능력을 확대해 왔다. 2022년 6월 제너럴 모터스는 상하이 푸둥 신지구와 프로젝트 투자 계약을 체결하고 새로운 고급 수입 사업을 구축하기 위해 1억 달러의 투자를
[더지엠뉴스] 중국 정부가 차세대 전기차의 핵심 분야인 전고체 배터리 연구개발(R&D)을 독려하기 위해 업계 최대 규모인 약 60억위안(약 1조1300억원)을 투자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중국 관영 영자지 차이나데일리는 29일 소식통을 인용, 세계 최대 전기차 배터리 제조업체 CATL과 웰리온 등 배터리업체와 비야디(BYD), 디이자동차(FAW), 상하이자동차(SAIC), 지리자동차 등 자동차업체의 최소 7개 프로젝트가 지원 대상에 포함됐다면서 이같이 보도했다. 이들 자금은 2027년 전고체 배터리 생산 계획을 최근 밝힌 CATL의 2개를 포함해 8∼9개 프로젝트에 초점이 맞춰져 지원될 것으로 전해졌다. 배터리 제조업체 신왕다(Sunwoda)는 차이나데일리에 에너지 밀도가 400Wh/kg 이상인 전고체 배터리 연구개발을 완료했고 2026년까지 양산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배터리 제조업체 고션(Gotion)도 2027년까지 전고체 배터리를 소량 생산한 뒤 2030년부터 양산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SAIC도 2026년까지 전고체 배터리 양산할 것이라고 지난 28일 발표했다. 다만 현재 차이나데일리에선 해당 기사가 사라진 상태다.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