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의사도 놀란 변색 주범, 당신도 매일 먹는다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하얗게 관리해도 입안의 산과 색소가 법랑질을 스치고 남긴 흔적은 쉽게 지워지지 않는다. 진료실에서 되풀이되는 착색의 출발점은 특정 음료·소스·흡연 습관과 맞물려 조용히 축적된다. 7일. 서울신문에 따르면, 치과의사 한나 킨셀라가 지목한 변색 촉발군은 레드 와인, 베리류, 토마토 소스, 과일 주스, 차, 커피로 압축된다. 와인은 산도가 높아 법랑질 표면을 잠시 거칠게 만든 뒤 타닌과 안토시아닌이 달라붙는 흐름을 만든다. 잔 한두 번이 문제를 ‘즉시’ 만들진 않지만, 헹굼 없이 이어지는 섭취가 누적될수록 치아 표면엔 얼룩이 겹겹이 얹힌다. 마신 뒤 물로 입안을 가볍게 헹구면 염료와 산의 머무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베리류는 진한 색소와 유기산이 동시에 작동한다. 입안에 오래 머무는 미세 입자가 틈새를 통과하며 스며들고, 시간이 흐르면 치아 사이 경계선에 어둔 띠가 생긴다. 요거트와 함께 먹거나, 섭취 직후 물로 씻어내는 습관이 착색 잔존을 낮춘다. 토마토 소스는 파스타와 케첩에 넓게 쓰이며 산성도가 높다. 표면 미세구멍에 염료가 들러붙기 쉬운 상태를 만들고, 반복 섭취가 이어지면 치경부부터 색 변화가 확연해진다. 소스 위주 식단에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