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많은 이들이 꿈꾸는 직업,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아

[더지엠뉴스]유튜버가 초등학생들의 장래희망 1위로 꼽히고 있지만, 실제 수익은 기대와 다를 수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전파진흥협회의 조사에 따르면, 국내 디지털 크리에이터들의 연평균 수익은 약 1,346만 원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일정 규모 이상의 수익이 발생한 1,00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기준으로 해도 크리에이터들의 수익이 그리 높지 않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수익 구조를 살펴보면, 플랫폼 광고가 전체 수익의 44%를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개별 광고 및 홍보가 34.7%, 후원금이 5.3%, 제휴 판매 수수료가 2.9%, 기타 수익이 13.1%로 집계되었다.
디지털 크리에이터들의 연령별 분포를 보면, 30대가 49%로 가장 많았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15.4%포인트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또한, 거주 지역은 서울이 36.8%, 경기·인천이 31.3%로 수도권에 집중된 경향을 보였다.
전업으로 활동하는 크리에이터는 전체의 32.6%에 불과했으며, MCN(멀티채널네트워크) 회사와 계약을 맺고 활동하는 비율은 6.6%에 그쳤다.
콘텐츠를 유통하는 주요 플랫폼은 유튜브가 72.8%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를 인스타그램(17.4%), 틱톡(3.2%), 아프리카TV(SOOP)(2.8%) 등이 따랐다.
유튜브를 주로 이용하는 크리에이터 중 남성 비율은 80.1%, 여성은 62.9%로 조사되었다. 반면, 인스타그램을 주로 이용하는 비율은 여성(25.5%)이 남성(11.4%)보다 높았다.
이들이 해당 플랫폼을 이용하는 이유로는 '이용자가 많아서'가 36.4%로 가장 많았고, '미디어 특성에 맞아서(19.7%)', '수익 창출이 용이해서(18.5%)', '플랫폼 이용이 편리해서(17.7%)'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구독자 수를 기준으로 보면, '1만 명 미만'이라는 응답이 50.6%로 가장 많았다. '1만~10만 명 미만'은 32.4%, '10만 명 이상'은 17.0%로 집계됐다.
한 달 평균 업로드하는 일반 영상 개수는 12.3개, 숏폼 영상은 9개로 나타났다.
영상 제작 과정에서 기획, 촬영, 편집 등을 본인이 직접 수행한다는 응답이 85.4%에 달했으며, 정규 인력을 활용하는 경우는 29.2%, 비정기적 인력을 활용하는 경우는 3.0%로 나타났다.
미디어 콘텐츠 1건당 평균 제작 시간은 20시간이며, 이중 제작이 10.6시간으로 가장 많은 시간을 차지했다. 이어 기획(3.9시간), 계정관리(1.7시간), 라이브 방송 및 진행(1.5시간) 등의 순이었다.
디지털 크리에이터들이 가장 어려움을 겪는 부분으로는 '수익 발생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이 44.8%로 가장 높았다. 그 외에 '미디어 콘텐츠 기획(10.5%)', '기술 부족(10.3%)'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이 원하는 지원 정책으로는 제작비 지원(42.5%)이 가장 많았으며, 장비 지원(15.3%), 제작 공간 제공(12.9%), 사무 공간 지원(11.6%), 교육 프로그램(9.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튜버라는 직업이 여전히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지만, 수익 구조와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했을 때 단순한 꿈만으로 접근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유튜버를 꿈꾸는 이들은 충분한 준비와 현실적인 기대치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