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이 남태평양에 군사기지를 설치하려 한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 주피지 중국대사관이 정면으로 반박했다. 대사관은 피지 총리 발언을 과장·왜곡한 호주 언론을 겨냥해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허위 내러티브”라고 밝혔다.
4일 대사관 발표에 따르면, 호주 언론들은 최근 피지 총리 시티베니 라부카(Sitiveni Rabuka)가 내셔널프레스클럽에서 중국 군사기지 가능성을 부정하는 동시에 “환영하지 않는다”고 발언한 것을 부각했다. 그러나 중국 측은 해당 발언이 중국의 실제 의도와 활동을 왜곡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사관은 “라부카 총리 본인도 중국이 군사기지를 추진하고 있다고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며, “중국은 단 한 번도 남태평양 지역에서 군사 분쟁을 일으킨 적이 없고, 현지 주권을 침해하거나 군사협정을 강요한 사례도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국의 활동은 인프라 구축과 민생 개선에 집중돼 있으며, 군사와는 무관하다”고 덧붙였다.
성명은 또한 “중국은 핵확산금지조약(NPT)과 남태평양 비핵지대조약을 철저히 준수하며, 태평양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은 피지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안보 협력도 지속하고 있으며, 라부카 총리가 제시한 ‘평화의 바다’ 구상에도 공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사관은 이와 함께 “태평양은 강대국의 지정학 경쟁장이 아니라 협력의 무대”라며, “중국과 태평양 도서국 간 관계를 경쟁 시각으로 보는 건 편협한 발상”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이들 국가에 선택을 강요하거나 영향력을 주입하려는 외부 세력은 지역 발전에 기여하기보다 혼란을 유발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산둥대 국제정치경제학과 위레이(于磊, Yu Lei) 교수도 “중국과 태평양 국가 간 협력이 확대되자 서방은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며, “이번 사안은 외교적 압박 수단으로 중국을 고립시키려는 시도”라고 해석했다. 그는 “중국은 늘 상호 존중과 평등을 기반으로 관계를 구축해왔으며, 세력 확장에 관심이 없다”고 밝혔다.
중국 외교당국은 이번 성명을 통해 태평양 도서국들이 외부 압력 없이 자율적으로 외교 정책을 결정할 수 있어야 하며, 개방성과 발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