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일본 총리의 대만 관련 발언이 양국 관계의 균열을 깊게 만들며 일본 경제 전반으로 충격을 퍼뜨리고 있다.
중국의 대응 조치가 연달아 나오자 일본 수산업·관광업·수출 구조가 동시에 흔들리는 흐름을 피하기 어려워졌다.
20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마오닝 대변인은 일본이 최근 대만 문제를 둘러싸고 내놓은 발언을 철회하지 않을 경우 조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일본이 제공하기로 했던 수산물 안전 관련 기술 자료 제출이 지연되고 있다며, 수입 중단은 약속 불이행과 맞물려 불가피하게 내려진 조치라고 말했다.
일본 언론 보도 내용에서는 양국 간 수산물 교역 재개 협의가 중단됐다는 소식이 이어졌다.
교도통신 등은 중국 측 요청으로 일본산 쇠고기 수출 논의까지 취소됐다고 전했고, 일본 관광·소매업계는 중국인의 여행·유학 자제 권고로 매출 감소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교토·오키나와 등 중국 방문객 비중이 높은 지역에서는 내년 2월 춘절 연휴를 앞두고 예약 감소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현지 업계를 중심으로 나오고 있다.
중국 내 전문가들도 일본 내부 상황과 맞물려 충격 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뤼차오 랴오닝대 교수는 대만 문제를 놓고 일본 총리가 취한 태도가 농수산물·관광업뿐 아니라 제조·수출 분야로 여파를 넓힐 가능성을 지적했다.
외교무대에서도 일본의 최근 발언은 집중 비판의 대상이 됐다.
유엔 총회 안보리 개혁 논의 발언록에 따르면, 푸총(傅聪, Fu Cong) 중국 유엔대사는 일본의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 주장은 현실성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 총리의 대만 관련 언급을 “도발적이며 위험한 행위”로 규정하며, 하나의 중국 원칙과 양국 간 문건의 합의를 훼손했다고 지적했다.
러시아 외교부 대변인 자하로바는 인터뷰에서 일본 정부가 역사적 교훈을 되돌아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의 최근 언행이 지역 안정에 부담이 되고 있다며, 2차대전의 경험을 상기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일본 정치권 내부에서도 비판이 이어졌다. 오자와 이치로 의원은 총리의 언행이 국익을 흔들고 있다고 말했고, 오카다 가쓰야 의원은 “생존 위협 상황”이라는 표현을 무리하게 사용했다며 신중한 언행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중국 내 연구기관 분석에서는 중국 관광객 감소와 수입 중단 조치가 일본 GDP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평가가 제시됐고, 일본 현지 업계는 상황을 예의주시하는 분위기가 뚜렷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