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3.9℃맑음
  • 강릉 10.6℃맑음
  • 서울 5.5℃맑음
  • 대전 9.0℃맑음
  • 대구 9.9℃구름많음
  • 울산 10.1℃구름많음
  • 광주 9.8℃맑음
  • 부산 11.4℃맑음
  • 고창 7.5℃구름조금
  • 제주 12.9℃구름조금
  • 강화 4.6℃맑음
  • 보은 8.7℃맑음
  • 금산 9.9℃구름조금
  • 강진군 11.1℃구름조금
  • 경주시 11.4℃구름많음
  • 거제 11.3℃구름조금
기상청 제공

2025.11.20 (목)

중국군, 일본 향한 경고 수위 높여 항모 전력까지 동원

대만 방어 개입론과 中전력 대응 교차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군이 일본의 ‘대만 유사시 개입’ 발언 이후 군사·홍보 수위를 끌어올리며 강한 대응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일본의 동향이 동북아 긴장 요소로 확대되자 중국군 각 전구가 상징적 영상과 메시지를 잇달아 공개하며 전력을 드러내는 방식의 대응이 이어지고 있다.

 

20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중국군은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가 지난 7일 대만이 공격받을 경우 일본이 자위권 차원에서 움직일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뒤부터 소셜미디어 채널을 통해 일제히 경고성 콘텐츠를 배출하고 있다.

 

남중국해 함대가 공개한 영상에서는 무장 병력이 “밤에 전투가 열리면 바로 임무에 들어간다”고 외치는 장면과 함께 항공모함 편대 항행, 갑판 이함 장면, 실사격 훈련 과정까지 이어지는 화면이 등장한다.

 

이어지는 영상에는 해상 표적을 겨냥해 미사일을 발사하는 과정도 담겨 있고, 조종사들의 편대 기동과 항모 주변의 탄약 적재 절차 등 실전 상황을 연상시키는 내용이 다수 포함됐다.

 

남부전구 공군은 ‘건방 떨지 마’라는 제목의 랩 영상을 올려 훈련 장면과 결합한 강한 어조의 메시지를 제시했다.

랩 영상은 정밀 훈련을 강조하는 표현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일본의 최근 발언과 맞물려 군 내부 결속과 전력 과시 의미가 함께 드러난다.

 

동부전구는 지난 17일 ‘만약 가서 돌아오지 못하더라도’를 제목으로 한 음악 영상을 통해 선열의 정신을 기리는 방식의 메시지를 제시했다. 18일에도 유사한 영상을 이어 올리며 정기적 군사 홍보 흐름을 유지했다.

 

중부전구 공군은 게시물에서 “장전과 무기 사용 태세는 이미 갖춰졌다”고 밝히며 긴박한 대비 태세를 강조했다.

이와 맞물려 인민해방군 공식 계정 ‘중국군호’는 젠-20 및 젠-16 편대 비행, 항모 갑판 탄약 운반 과정을 담은 영상을 여러 차례에 걸쳐 게시했다.

 

중국군호는 13일 일본어 문구까지 활용해 일본이 대만해협 문제에 개입할 경우 중국이 정면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노출했다.

이와 함께 해방군보는 중국 현대국제관계연구원 쉬융즈(徐勇志, Xu Yongzhi)의 글을 통해 일본이 개입 시 전국적 피해로 확산될 수 있다는 관점을 제기했다.

 

중국 국방부 대변인 장빈(张斌, Zhang Bin)은 소셜 플랫폼에서 “무모한 행동은 중국군의 방비 앞에서 심각한 결과를 맞게 된다”고 밝히며 일본 발언에 직접적으로 대응했다.

 

훈련 역시 서해 전역에서 이어졌다.

장쑤성 옌청 해사국은 17∼19일 서해 중부 해역에서 실탄 사격훈련을 실시한다고 공지했고, 롄윈강 해사국도 18∼25일 서해 남부에서 사격훈련 구역을 설정했다.

 

중국의 세 번째 항공모함 푸젠함(福建舰, Fujian)은 최근 서해에서 취역 이후 첫 실전형 훈련을 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항모 전력은 일본 내 관련 보도와 맞물려 군사적 긴장 요소로 조명되고 있다.

 

일본 방위장비청이 전자포 해상 사격 자료를 공개한 뒤 일본 매체가 푸젠함 격침 가능성을 언급하자 중국 매체들은 관련 전문가 분석을 잇달아 소개했다.

대만 시사평론가 차이정위안은 전자포가 항모 타격에 필요한 에너지를 확보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그는 일본이 역사적 시기 설정을 잘못 보고 있다며 군사적 구조 차이를 지적했고, 왕빙중 등 다른 평론가들도 일본이 대만 문제를 정치적 소재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 견해를 제시했다.

 

대만의 리정제 퇴역 장성은 일본과 중국의 핵 전력 수준을 비교하며 일본의 푸젠함 타격 능력 자체가 현실과 거리가 있다고 말했다.

 

항공잡지 부편집장 푸첸사오 역시 남방도시보 인터뷰에서 일본이 개조한 ‘소형 항모’와 푸젠함의 제원 차이를 언급하며 기술적 간극을 강조했다.

 

그는 일본의 전자포 관련 발표가 군사력 격차를 가리기 위한 정치적 메시지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2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통찰·견해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