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미중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중국 본토 기업들이 미국 증시 대신 홍콩을 우선 선택지로 삼고 있다. 그 결과 올해 상반기 홍콩 증권거래소 상장 신청 건수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7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올해 1∼6월 동안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을 신청한 기업 수는 총 208곳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1년 상반기 기록이었던 189곳을 뛰어넘는 수치다. 특히 6월 한 달 동안에만 75개 기업이 상장을 신청하며 단월 기준으로도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기업들의 홍콩행은 단순한 신청 수 증가에 그치지 않았다. 회계법인 KPMG에 따르면, 올 상반기 홍콩 증시 신규 기업공개(IPO) 및 2차 상장을 통한 자금 조달 규모는 총 138억달러(약 18조9천억원)에 달했다. 이는 같은 기간 나스닥(92억달러), 뉴욕증권거래소(78억달러)를 앞선 글로벌 1위 규모다. 이처럼 홍콩 IPO 시장에 자금이 몰리는 배경에는 미중 간의 무역·기술 갈등과 지정학적 리스크가 자리하고 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의 재집권으로 불확실성이 커지자, 다수의 중국 기업들이 미국 대신 홍콩 증시를 택하고 있다. FT는 “미국의 상장 규제가 강화되고, 상장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반도체 산업 전면 전환을 위해 중국 지방정부가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다. 이번에는 첨단기술의 교차점이자 민간·군수 융합 산업의 거점으로 꼽히는 션전이 본격적인 ‘자립형 시스템’ 구축에 나섰다. 6일 선전시 정부에 따르면, 최근 반도체 및 집적회로 산업 고도화를 위한 새 정책이 공식 시행되며, 50억 위안(약 9,700억 원) 규모의 산업 전용 펀드도 함께 조성됐다. ‘사이미(赛米) 산업 사모펀드’로 명명된 이 기금은 반도체 산업 전 영역의 체질 개선을 목표로 설계됐으며, 자금 공급과 정책 유도를 병행하는 ‘정책+자본’ 모델로 추진된다. 반도체 설계·제조·소재·장비·패키징 등 주요 고리마다 자금이 투입될 예정이며, 투자 대상은 선전 지역 핵심 프로젝트 및 유망 기업에 집중된다. 지원정책은 총 10개 조항으로 구성됐다. 고성능 칩 개발, 국산 설계도구(EDA) 확산, 주요 장비·부품 국산화, 封装(패키징) 기술 고도화, 화합물 반도체 실용화 등이 핵심 항목이다. 특히, 지방정부가 산업 자원 배분의 주체로 나서고 중앙정부의 ‘신형 국가 시스템’과 연계하는 구조를 명확히 제시했다. 현재 선전에는 하이실리콘(海思半导体, HiSilicon),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여름 소비시장을 겨냥한 초대형 보조금 경쟁이 메이퇀과 알리바바를 정면 충돌로 이끌었다. 수억 위안대 쿠폰이 쏟아진 첫 주말, 단 두 시간 만에 2천만 건의 주문이 몰렸다. 6일 중국 외식 플랫폼 내부 자료에 따르면, 메이퇀(美团, Meituan)은 5일 밤 10시 54분 기준 하루 누적 주문 건수가 1억2000만 건을 넘어섰다. 이 중 음식 배달 주문이 1억 건 이상으로 전체의 80%를 상회했다. 오후 8시 45분 기준 1억 건을 넘어선 뒤 불과 두 시간 만에 추가로 2000만 건이 발생했다는 점에서, 실시간 주문 증가폭이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 같은 소비 폭발은 알리바바(阿里巴巴, Alibaba) 계열 타오바오(淘宝)의 ‘선착순 전액 할인’ 등과 함께 메이퇀이 진행한 ‘무조건 할인’ 쿠폰 정책이 동시에 개시되면서 촉발됐다. 여름 방학 소비시즌 첫 주말이자 외식 플랫폼의 정기 판촉일이 겹친 이날, 두 플랫폼은 ‘25위안(약 4,700원) 이상 시 21위안(약 3,950원) 할인’, ‘16위안(약 3,000원) 이상 시 전액 할인’ 등 고강도 보조금을 대거 살포했다. 이날 오후 메이퇀 앱은 이용자 급증으로 일부 지역에서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올해 상반기 중국 부동산 시장에서 ‘천억 클럽’에 속한 기업 수가 역대 최저 수준으로 줄었다. 3일 중국 부동산 통계기관 중즈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1~6월 중국 부동산 상위 100대 기업의 누적 매출은 1조8,364억1,000만 위안(약 3,592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8% 감소했다. 이 중 실질 소유 기준 매출은 1조2,812억7,000만 위안(약 2,507조원), 판매 면적은 6,570만 제곱미터였다. 과거 대형 건설사의 기준으로 여겨졌던 ‘연간 매출 1천억 위안’은 이제 일부 기업만이 도달할 수 있는 허들로 전락했다. 올해 상반기 매출이 1천억 위안을 넘은 기업은 폴리디벨롭먼트(保利发展, Poly Developments), 중하이디찬(中海地产, China Overseas), 화룬즈디(华润置地, CR Land), 자오샹셔커우(招商蛇口, China Merchants Shekou) 네 곳뿐이다. 폴리디벨롭먼트는 1,452억 위안(약 284조원)으로 1위를 지켰고, 녹성중국(绿城中国)이 1,221억 위안(약 239조원), 중하이디찬이 1,201억 위안(약 235조원)으로 뒤를 이었다. 화룬즈디는 1,103억 위안(약 216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올해 상반기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중국 기업들의 약진이 시가총액 순위에 그대로 반영됐다. 기술 혁신과 판매 호조를 바탕으로 중국 완성차 업체 17곳이 전 세계 시총 상위 50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3일 중국 매체에 따르면 테슬라와 토요타가 각각 1위와 2위를 유지한 가운데, 샤오미가 전기 SUV ‘YU7’의 돌풍을 앞세워 세계 3위로 올라섰다. 반면 포르쉐는 실적 부진에 따른 주가 하락으로 톱10 밖으로 밀려났다. 샤오미는 6월 26일 저녁 YU7을 정식 출시했고, 출시 18시간 만에 24만 대 예약을 돌파했다. 다음 날 개장과 동시에 주가는 8% 급등해 61홍콩달러를 넘겼으며, 시가총액은 1조5,500억 홍콩달러(약 276조원)에 달했다. 샤오미의 1분기 실적도 호조를 보였다. 매출은 1,113억 위안(약 218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했고, 자동차 부문 영업이익률은 전분기 대비 2.8%포인트 오른 23.2%를 기록했다. 특히 YU7의 선예약 계약금만 약 12억 위안(약 2,340억 원)에 달해 시장 가치를 끌어올리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비야디 역시 강세를 이어갔다. 6월 한 달간 38만2,600대를 판매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고급 백주 시장의 상징인 구이저우마오타이가 6월 말까지 52억 200만 위안(약 1조 1,200억 원)을 투입해 자사주 매입에 나선 것으로 3일 확인됐다. 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마오타이는 해당 주식을 소각해 등록 자본을 축소하는 방식으로 직접적인 주가 방어에 착수했다. 2024년 11월 이사회 승인 이후 마오타이는 자사주 매입을 위해 집중매매 방식을 도입했고, 총액 30억~60억 위안의 계획 아래 운영 자금을 투입해왔다. 회사 측은 매입 목적에 대해 “상장사 가치 수호와 투자자 신뢰 회복”을 명확히 하며, 경영 전략과 장기 발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선에서 자사주를 단계적으로 소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 6월 28일에는 연례 배당 이후 주가 조정을 반영해 자사주 매입 상한가를 1,744.30위안으로 수정 고시했으며, 실제 거래 가격은 주당 1,408.29위안에서 1,639.99위안 사이에서 형성됐다. 최신 공시에 따르면, 마오타이는 6월 한 달간 7만 2,000주를 매입했고 누적 기준으론 338만 2,100주를 확보했다. 이는 전체 발행 주식의 0.2692%에 해당하며, 현재까지의 집행 총액은 52억 위안을 돌파했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스마트기기 제조업체 샤오미(小米, Xiaomi)가 내놓은 첫 AI 안경이 출시 직후 폭발적인 판매량을 기록하며 ‘AI 백경전(百镜战)’ 경쟁 구도의 중심에 떠올랐다. 2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샤오미가 ‘차세대 개인형 스마트 디바이스’로 내세운 AI 안경은 발매 후 5일 만에 온라인 플랫폼에서 판매량 1만 개를 돌파했고, 상하이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변색 렌즈 모델이 품절됐다. 일부 기본형 제품만 소량 남아 있으며, 인기 제품은 배송까지 2주 이상이 걸리는 상황이다. 샤오미 CEO 레이쥔(雷军, Lei Jun)은 해당 제품이 1,200만 화소 카메라와 AI 기반 음성 인식, 실시간 영상 공유 기능을 갖췄다고 설명했다. 기본 가격은 1,999위안(약 38만 원)으로 책정됐으며, 실시간 1인칭 시점 영상 녹화, 번역, 통화, 영상 스트리밍 등도 가능하다. 이 제품의 강점은 영상 촬영 기능이다. 안경을 쓰고 시선을 향하면 자동으로 영상이 녹화되고, 해당 영상은 바로 스마트폰으로 전송된다. 그러나 일부 소비자는 “프레임이 무겁고 두껍다”거나 “실시간 대화 기능이 지연된다”는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샤오미의 AI 비서 ‘샤오아이’ 호출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정부가 유럽연합, 영국, 한국, 인도네시아산 스테인리스 제품에 대해 기존의 고율 반덤핑 관세를 2025년 7월 1일부터 추가로 5년간 유지하기로 했다. 중국 내 철강산업 보호와 주요 원재료의 전략적 공급망 안정이라는 명분이 다시 확인됐다. 30일 중국 상무부 발표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2019년 도입한 반덤핑 조치의 유효기간 만료를 앞두고 시행한 ‘기한 종료 재심’ 결과에 따른 것이다. 상무부는 “조치 종료 시, 유럽과 아시아 주요 수출국에서 저가 수입이 재개될 가능성이 높고, 이는 중국 스테인리스 산업에 실질적인 손실을 야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재심 결과에 따라, 상무부는 기존의 고율 관세를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유럽연합(EU)과 영국산 제품에는 43.0%의 반덤핑세가 부과된다. 인도네시아산 제품은 20.2%가 적용된다. 한국 기업 가운데는 포스코에 23.1%의 세율이 매겨졌으며, 그 외 다른 한국 업체들은 최대 103.1%에 달하는 관세를 부담하게 된다. 해당 조치의 적용 대상은 탄소 함량 1.2% 이하, 크롬 10.5% 이상을 포함한 스테인리스 합금강 가운데 열간압연 공정을 거친 판재(Coils 포함)와 강괴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디지털위안화 하드월렛 기반의 터치 결제 기술이 상하이 지하철 전 노선으로 확대됐다. SIM카드, IC카드, 웨어러블 단말기 등을 통한 오프라인 결제 지원이 핵심이다. 30일 중국 현지 언론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지난 14일부터 상하이 자기부상철도를 대상으로 시범 운영해온 ‘디지털위안화 터치 결제(Pay by Touch)’를 전 노선(도시철도 및 광역철도 포함)으로 확대했다. 이로써 탑승객은 휴대전화, 은행카드, SIM 기반 하드월렛 등 다양한 단말기를 통해 개찰구에 ‘터치’만으로 빠르게 통과할 수 있게 됐다. 디지털위안화 하드월렛은 인터넷 연결 없이도 결제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 QR코드 기반의 모바일 결제와는 다른 독립형 시스템이다. 특히 해외 관광객이나 일시 방문자에게는 여권 확인 없이 익명으로 발급 가능해, 프라이버시 보호 측면에서도 장점이 있다는 평가다. 상하이시는 공항, 호텔, 고속철도역 등지에 자동 발급기기를 설치해 외국인 대상 발급을 확대하고 있다. 상하이시는 총 21개 노선, 517개 역사, 약 896km의 철도망을 운영하며, 이는 전체 도시 대중교통 수송의 약 77%를 담당한다. 이에 따라 디지털위안화 결제의 전면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클라우드폰 기술 시장에 중대한 이정표가 등장했다. 화웨이가 4건의 클라우드폰 관련 발명 특허를 공개하며 핵심 기술의 독자적 진전을 입증했다. 30일 국가지식산권국 발표에 따르면, 이번에 공개된 특허는 '클라우드폰 관리 방법 및 장치', '클라우드폰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운영체계', '클라우드폰 상호작용 방식과 장치', '클라우드폰 기반 영상 인코딩 방식 및 서버' 등 총 4건이다. 이들 특허는 모두 화웨이가 출원한 것으로, 클라우드 단말기 운영 시 네트워크 자원 소비를 줄이고, 응답 속도 향상과 서버 부하 분산을 구현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화웨이는 이 기술을 자사의 통합 클라우드 단말 전략인 'CloudDevice'에 탑재하고 있다. 이 전략은 2025년 화웨이 개발자대회에서 공개됐으며, 클라우드폰, AI 기반 피트니스 및 게임 지원 클라우드 셋톱박스, AI 지식 비서 기능을 탑재한 클라우드 스페이스 등 여러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클라우드폰은 ARM 기반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다. 사용자는 물리적 디바이스 없이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탑재된 가상 스마트폰을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다. 하드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