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의 신에너지차 시장이 내연기관차와의 격차를 빠르게 좁히고 있다. 올해 상반기 전체 승용차 판매 중 44.3%가 전기차로 집계됐다. 5일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6월 한 달간 NEV의 국내 소매 비중은 53.3%까지 올라섰다. 자국 브랜드 기준으로는 75.4%에 달했고, 고급차 부문에서도 30.3%가 전기차였다. 중국승용차시장정보연석회(CPCA)의 쭈이둥수(崔东树, Cui Dongshu) 비서장은 “이제 전기차는 정책의 수혜를 넘어서 스스로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BYD는 7월 34만4,300대를 판매하며 누적 판매 250만 대에 근접했다. 같은 달 해외 수출은 8만200대로 전년 대비 159.5% 증가했고, 이는 글로벌 확장의 분기점으로 평가된다. 상하이자동차(上汽, SAIC)는 7월 33만8,000대를 출하했고, 그 중 11만7,000대가 NEV로 64.9% 증가했다. 지리(吉利, Geely)는 23만7,700대를 기록하며 58% 상승했고, 전기차는 13만100대로 두 배 이상 늘었다. 샤오펑(小鹏, XPeng)은 3만6,700대 출고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고, 연간 누적은 23만3,900대다. 샤오미는 첫 SUV ‘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7월 한 달간 1000% 넘는 상승률을 기록했던 상웨이신차이(上纬新材, Shangwei Xincai)가 5일 장 시작과 함께 거래를 재개했다. 4일 밤 회사는 실적 하락 예고와 함께 급등 경계 메시지를 공시했다. 5일 상하이증권보에 따르면, 상웨이신차이는 2025년 상반기 매출이 7억8,400만위안(약 1,464억원)으로 전년 대비 12.5% 증가했지만, 순이익은 2,990만위안(약 55억8,000만원)으로 32.91% 감소했다. 비정상 요인을 제외한 순이익도 2,604만위안으로, 같은 기간 37.02% 줄었다. 이 회사는 풍력발전용 복합소재, 환경 고내식 소재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실적 부진의 원인으로 해외 운송비와 수수료 상승, 환차손, 재활용 신제품 연구개발 비용 증가 등을 제시했다. 상웨이신차이는 7월 31일부터 주식 거래를 중단한 상태였다. 앞서 7월 9일부터 30일까지 주가는 누적 1083.42% 상승해, 올해 A주 시장에서 처음으로 10배 넘게 오른 종목이 됐다. 회사는 공시에서 “현재까지 기업의 기초 재무 구조나 사업 내용에 중대한 변화는 없었다”면서도, “최근 주가가 현 경영 실적과 동떨어진 흐름을 보이고 있어,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뉴욕증시 정규장을 4.14% 상승으로 마친 팔란티어는 이어진 시간외거래에서 4.52% 추가 상승하며 167.92달러(약 22만2,000원)를 기록했다. 사상 최고가다. 5일 증시에 따르면, 팔란티어는 장 마감 직후 실적 발표에서 2분기 매출이 10억달러(약 1조3,200억원)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예상치였던 9억4,000만달러를 웃도는 수치로, 창사 이래 분기 기준 첫 10억달러 돌파다. 같은 보고서에서 주당순이익은 16센트로 집계돼, 월가 추정치 14센트를 상회했다. 전년 동기 대비 144% 급증한 수치다. 전체 매출 역시 1년 전보다 4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회사는 연간 매출 전망치를 기존 39억달러에서 41억달러(약 5조4,200억원)로 상향 조정했다. 실적과 함께 공개된 100억달러(약 13조2,000억원) 규모의 미 육군 계약도 주가 상승의 결정적 계기로 작용했다. 웨드부시 증권의 댄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는 “이번 계약은 미 국방부 역사상 가장 규모가 큰 소프트웨어 공급 사례 중 하나”라며 “미국 정부 전반의 인공지능(AI) 전환 흐름에서 팔란티어가 핵심 위치에 있다”고 분석했다. 장외 거래 급등에 힘입어 팔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의 상반기 서비스 무역이 전년보다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며 총규모 3조 8천억 위안을 넘어섰다. 특히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수출 확대와 해외여행 수요 급증이 전체 흐름을 밀어올렸다. 4일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올해 1~6월 중국의 서비스 수출입 총액은 3조 8,872억 6천만 위안(약 7,670조 원)으로 집계됐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8.0% 증가한 수치다. 수출은 1조 6,883억 위안(약 3,333조 원)으로 15.0% 증가했고, 수입은 2조 1,989억 6천만 위안(약 4,337조 원)으로 3.2% 상승했다. 전체 무역수지는 5,106억 6천만 위안(약 1,007조 원) 적자였지만, 전년보다 1,522억 1천만 위안(약 300조 원) 감소했다. 지식집약 서비스 분야는 안정적인 증가 흐름을 이어갔다. 이 부문의 수출입 총액은 1조 5,025억 4천만 위안(약 2,964조 원)으로 6.0% 늘었으며, 세부적으로 기타 상업 서비스는 6,391억 위안(약 1,259조 원), 통신·컴퓨터·정보 서비스는 5,293억 8천만 위안(약 1,044조 원)을 기록했다. 두 항목의 증가율은 각각 3.1%, 12.7%였다. 수출은 8,65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당국이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수수료 체계를 정비하기 위한 새로운 기준을 공개했다. 핵심은 입점 상인의 부담을 줄이고, 각종 서비스 요금의 적법성과 투명성을 강화하는 데 있다. 3일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SAMR)은 온라인 플랫폼 수수료와 관련한 준수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고, 수수료 부과의 기준과 절차, 금지 행위 등을 명확히 규정했다. 이 가이드라인은 지난달 31일자로 시행에 들어갔다. 새로운 규정에 따라 플랫폼은 수수료, 서비스 이용료, 회원비, 기술지원비, 마케팅비, 데이터 서비스비 등의 항목을 명확히 구분하고, 공정하고 합리적인 기준에 따라 책정해야 한다. 모든 수수료 구조는 홈페이지에 명시해야 하며, 거래규칙과 서비스 계약 역시 쉽게 접근 가능하도록 공개해야 한다. 수수료 정책 변경 시에는 법률에 따른 공청회를 거쳐야 하며, 과거 정책의 모든 버전은 시행일 기준 최소 3년간 보관해야 한다. 플랫폼은 내부적으로는 수수료 검토 및 리스크 평가 전담 부서를 설치하고, 준법 교육과 사전 승인 절차를 강화해야 한다. 특히 이번 가이드라인은 입점 상인을 대상으로 한 중복 청구, 서비스 미제공 상태에서의 요금 징수,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정부가 저출산 대응의 일환으로 사실상 ‘현금 수당 패키지’를 꺼내들었다. 2022년 이후 태어난 아동을 둔 가정이라면 누구나, 8월 말부터 연간 3600위안(약 68만 원)의 육아지원금을 3년간 받을 수 있다. 중앙정부가 총 900억 위안(약 17조 원)을 들여 전 국민 육아 지원에 나선 셈이다. 2일 21세기경제보도에 따르면 이번 현금성 지원은 단일 출산 혜택에 그치지 않는다. 임신부터 출산, 양육까지 전 과정에서 총 7종류의 금전적 지원이 병렬적으로 제공된다. 산전검진비, 산후 수당, 남편의 출산휴가 수당, 신생아 양육에 대한 세액공제, 지역별 출산장려금까지 포함된다. 일괄 신청할 경우 많게는 10만 위안(약 1900만 원) 이상 수령도 가능하다는 게 정책 분석가들의 설명이다. 특히 각 지방정부의 ‘보태기’ 경쟁도 본격화되고 있다. 네이멍구(内蒙古, Nei Menggu) 자치구의 중심 도시 후허하오터(呼和浩特, Hohhot)는 자녀 수에 따라 보조금을 3단계로 구분해 1자녀는 1만 위안, 2자녀는 5만 위안, 3자녀는 무려 10만 위안을 현금으로 지급한다. 저장(浙江, Zhejiang), 광둥(广东, Guangdong) 등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가 곧 발표된다. 이와 맞물려 채권 이자 과세제도와 홍콩 증시 거래 단위 조정도 예고되면서, 다음 주 금융시장에는 복합적인 변수가 동시에 작동할 전망이다. 3일 제일재경에 따르면 국가통계국은 오는 9일 7월 CPI 및 PPI 통계를 발표한다. 카이위안증권은 농산물 도매가격과 CRB 현물지수 등 고빈도 지표 흐름을 분석한 결과, 7월 CPI는 전월 대비 보합, 전년 동기 대비로는 약 -0.5% 수준일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PPI는 전월과 전년 대비 모두 상승 전환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다. 세금 체계에도 변화가 생긴다. 재정부와 국가세무총국은 8일부터 새로 발행되는 국채, 지방채, 금융채 이자에 대해 부가가치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면세 혜택을 누려왔던 국공채 이자 수익에도 과세가 적용되며, 시장에서는 채권 투자 수익률에 일정 부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홍콩증권거래소는 같은 주 월요일인 5일부터 거래제도 개편 1단계를 시행한다. 이에 따라 주가 1050홍콩달러 구간은 0.05달러에서 0.02달러로 줄어든다. 적용 대상은 일반 주식뿐 아니라 리츠와 워런트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상하이 증시가 과학기술혁신위원회의 제5차 상장기준을 통과한 첫 기업의 상장을 공식 승인했다. 1일 상하이 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주하이에 본사를 둔 바이오제약 기업 타이레누맙은 과학기술혁신판(STAR Market) 상장을 위한 심사를 통과하고 공식 상장 승인을 받았다. 타이레누맙은 2015년에 설립된 생명과학 전문 기업으로, 항체 기반 치료제와 면역질환 치료 기술을 개발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공개 설명서에 따르면, 회사는 경험 많은 기관투자자들로부터 다수의 투자를 유치했으며, 이번 IPO는 해당 상장기준이 재개된 이후 처음으로 승인된 사례다. 과학기술혁신위원회는 기술력 중심의 기업에 상장 문턱을 낮추기 위해 총 5개 기준을 운용하고 있다. 그중 '제5차 기준'은 아직 수익을 내지 못한 기업도 핵심 기술력과 연구개발 능력, 성장 가능성을 증명할 경우 상장을 허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그래픽 협업 플랫폼 피그마(Figma)가 뉴욕증시에 상장한 첫날, 주가가 공모가 대비 3배 상승하며 화려한 데뷔를 알렸다.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피그마는 전날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종목코드 ‘FIG’로 상장됐으며, 공모가 33달러(약 4만 3,000원)에 책정된 주식은 첫 거래일 종가 기준 99달러(약 12만 8,000원)를 기록했다. 이번 IPO로 피그마는 약 4억 1,100만 달러(약 5,300억 원)를 조달했으며, 상장 직후 시가총액은 188억 달러(약 26조 원)에 달했다. 당초 IPO 공모가는 30~32달러로 전망됐지만, 투자 수요가 몰리면서 상단을 넘겼다. 피그마는 웹 기반의 디자인 협업 도구로, 팀 단위 실시간 그래픽 편집 기능을 제공한다. 어도비와의 인수 협상이 무산된 이후에도 성장세를 이어왔으며, 벤처캐피털로부터 유치한 누적 투자금은 약 14억 달러에 달한다. IPO 직후, 테슬라 창업자 일론 머스크의 플랫폼 ‘엑스(X)’의 제품 책임자가 피그마 주식을 “밈 주식으로 변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하며 온라인 투자 커뮤니티에서도 주목을 받았다. 머저마켓(Mergermarket)의 사무엘 커 책임자는 “피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정부가 인공지능의 산업 활용 확대를 위한 국가 전략을 본격 추진한다. 31일 중국중앙(CC)TV에 따르면, 리창(李强) 총리는 국무원 상무회의를 주재하고 ‘인공지능+’ 심화 추진을 위한 행동방안을 심의·통과시켰다. 이번 방안은 인공지능 기술의 대규모 상용화를 중심에 두고 있다. 회의에서는 인공지능을 경제·사회 각 분야에 폭넓게 접목해 혁신과 응용이 선순환하는 생태계를 조성할 것을 주문했다. 이를 위해 정부 부처와 국유기업이 개방형 테스트 환경을 제공하며 선도적으로 기술 실증에 나서야 한다는 점도 강조됐다. 핵심 추진 요소로는 세 가지 기술 기반이 지목됐다. 연산능력(算力), 알고리즘, 데이터다. 당국은 이 세 가지 자원을 집중 공급하는 동시에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인공지능 전문 인력 양성을 포함한 전방위 생태계 조성에 주력할 방침이다. 또한, 개방형 소스와 협력 네트워크 중심의 시스템 구축도 함께 추진된다. 한편 회의에서는 AI 기술 확산에 따른 보안 문제 대응도 병행해야 한다는 점이 지적됐다. 이에 따라 다양한 주체가 협력하는 유연하고 복합적인 AI 거버넌스 체계를 조속히 구축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중국은 앞서 생성형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