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 군 공식지 쥔바오(解放军报, Jiefangjun Bao)가 최근 일본 정치권의 군사적 접근 방식이 역내 안정을 흔들 수 있다고 지적하며, 대만해협 사안을 둘러싼 일본의 발언이 위험한 경로로 향하고 있다고 밝혔다. 논평은 일본 지도부의 최근 발언이 전후 체제의 기반을 흔들고 동아시아 긴장 구조를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16일 중국 군 매체에 따르면, 전날 공개된 논평은 일본 총리 다카이치 사나에의 국회 발언을 기점으로 일본의 군사 전략 변화 과정을 다시 짚었다. 내용은 일본 정부가 대만 문제와 관련해 군사 행동 가능성을 공개적으로 언급한 것은 현직 총리로서는 매우 이례적인 전개이며, 이는 전후 일본이 스스로 설정한 군사적 한계를 무력화하려는 흐름과 맞닿아 있다고 분석했다. 논평은 일본이 지난 10여 년간 추진해온 여러 안전보장 문서 개정 과정을 언급하며 2015년 안보법 제정, 2022년 ‘3대 안보 문서’ 통과 등을 차례로 제시했다. 문서의 핵심은 주변 정세를 명분으로 일본의 작전 영역을 확대하고, 장거리 타격 능력과 고강도 작전 지속력을 갖춘 군사체계를 신속히 구축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장거리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중국 정부가 일본 총리 다카이치 사나에의 대만 관련 언급을 공개적으로 지적하며 외교적 대응 수위를 높였다. 중국은 최근 일본 지도부의 발언이 역내 긴장을 자극하고 양국 간 외교적 신뢰를 흔드는 요소라고 보고 대응 기조를 더욱 명확히 하고 있다. 13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린젠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다카이치 총리의 국회 발언을 거론하며 “대만을 둘러싼 불필요한 자극이 지속된다면 책임은 일본이 감당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일본 측이 중국의 항의를 전달받고도 입장을 바꾸지 않은 상황을 강조하며, 중국의 주권과 안전을 훼손하는 시도가 있을 경우 단호히 맞대응하겠다는 원칙을 다시 제시했다. 린 대변인은 일본이 역사·지역 문제에서 민감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하면서, 대만 문제에 관심이 있는 국가라면 역내 안정을 저해하는 발언을 경계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그는 중국이 유엔 헌장과 국제 규범에 따라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말하며, 중국 내정 사안에 대한 외부 개입을 용인하지 않겠다는 점을 재확인했다. 중국 주요 매체들도 이날 일본 정부의 최근 태도를 다양한 방식으로 언급하며 비판 목소리를 이어갔다. 중국중앙TV 계열 계정은 일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중국 외교부가 일본 정부의 사시창정(谢长廷, Xie Chang-ting) 전 주일 타이베이대표처장에 대한 ‘욱일장(旭日章)’ 수여를 두고 “대만 문제는 넘을 수 없는 레드라인”이라며 강한 경고 메시지를 보냈다. 12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궈자쿤(郭家坤, Guo Jiakun) 대변인은 전날 일본 정부가 ‘대만 독립’ 발언을 지속해 온 인물에게 훈장을 수여한 것은 “대만 문제에서 또 하나의 중대한 잘못된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궈 대변인은 “대만 문제는 중국의 핵심 이익 중의 핵심이며, 중·일 관계의 정치적 토대이자 일본의 기본적 신뢰 문제와 직결된다”며 “이는 절대 침범할 수 없는 레드라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올해는 중국 인민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이자 대만 광복 80주년을 맞이하는 해”라며, 일본이 과거 전쟁 범죄에 대한 역사적 책임을 직시하고, 양국 간 네 가지 정치문건의 원칙과 정신을 준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중국은 일본이 ‘하나의 중국’ 원칙을 실제 행동으로 이행하고, 대만 문제에서 어떤 잘못된 신호도 분리주의 세력에 보내지 말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