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중국 정부가 일본 총리 다카이치 사나에의 대만 관련 언급을 공개적으로 지적하며 외교적 대응 수위를 높였다.
중국은 최근 일본 지도부의 발언이 역내 긴장을 자극하고 양국 간 외교적 신뢰를 흔드는 요소라고 보고 대응 기조를 더욱 명확히 하고 있다.
13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린젠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다카이치 총리의 국회 발언을 거론하며 “대만을 둘러싼 불필요한 자극이 지속된다면 책임은 일본이 감당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일본 측이 중국의 항의를 전달받고도 입장을 바꾸지 않은 상황을 강조하며, 중국의 주권과 안전을 훼손하는 시도가 있을 경우 단호히 맞대응하겠다는 원칙을 다시 제시했다.
린 대변인은 일본이 역사·지역 문제에서 민감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하면서, 대만 문제에 관심이 있는 국가라면 역내 안정을 저해하는 발언을 경계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그는 중국이 유엔 헌장과 국제 규범에 따라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말하며, 중국 내정 사안에 대한 외부 개입을 용인하지 않겠다는 점을 재확인했다.
중국 주요 매체들도 이날 일본 정부의 최근 태도를 다양한 방식으로 언급하며 비판 목소리를 이어갔다.
중국중앙TV 계열 계정은 일본 지도부의 발언이 양국 관계의 구조적 긴장을 키울 수 있다고 지적했고, 대만 문제를 정치적으로 활용하는 행위가 역내 안정과 동떨어진 접근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다카이치 총리는 중의원 회의에서 대만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할 경우 일본이 무력행사 요건에 해당할 수 있다고 언급해 논란을 낳았다.
해당 발언은 일본 내부에서도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견해를 불러왔지만, 그는 입장 철회는 고려하지 않겠다고 못 박은 바 있다.
발언 이후 양국 간 외교 채널에서는 일본 측 항의와 중국 측의 반박이 잇따라 제기됐다.
오사카 주재 중국 총영사 쉐젠은 개인 계정을 통해 일본 정치권의 대응을 비판하는 글을 올려 파장을 일으켰고, 일본 여권 정치인 일부는 외교적 조치를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일본 외무성은 쉐젠 총영사의 발언을 두고 공식 항의를 전달했고, 관계 악화를 피하기 위한 대응을 중국 측에 촉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자민당 내부에서는 중국 외교관의 발언을 문제 삼아 본국 송환 가능성을 언급하는 등 대응 방향을 논의하는 움직임도 관측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