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삼양식품이 중국 내 첫 해외 공장 건설에 착수하며 현지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3일 저장성 자싱(嘉兴, Jiaxing)시에서 열린 착공식에는 김동찬 삼양식품 대표와 김영준 주상하이 총영사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삼양식품은 이 공장 건설에 총 2천14억 원을 투입하며, 완공 시 연간 최대 8억4천만개의 불닭볶음면을 생산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추게 된다. 자싱공장은 대지면적 5만5천㎡, 연면적 5만8천㎡ 규모로 건설되며, 총 6개의 생산라인이 들어설 예정이다. 공장 완공 목표는 2027년 1월이며, 생산되는 제품은 전량 중국 내 시장에 공급된다. 삼양식품은 이미 밀양, 원주, 익산 등에 있는 4개의 국내 공장을 통해 미주 및 유럽 수출을 감당하고 있으며, 지난 6월 밀양 제2공장을 새로 준공해 연간 8억3천만 개의 라면 생산 능력을 확보했다. 자싱공장이 가동되면 국내외 총 5개 공장에서의 불닭볶음면 연간 생산량은 35억2천만 개에 달하게 된다. 자싱시는 상하이에서 인접한 도시로, 삼양식품의 중국 판매법인과의 물류 연결성이 뛰어나 전략적 입지로 선택됐다. 중국은 삼양식품 전체 수출 물량의 약 25%를 차지하는 최대 수출처 중
더지엠뉴스 - 월간 <중국> | 중국과 한국은 바다를 사이에 둔 (一衣帶水) 가까운 이웃이자 떼려야 뗄 수 없는 긴밀한 관계다. 그러나 최근 중국과 한국 사회 일각에서는 오해와 불안에서 비롯된 ‘불편한 감정’이 감지되고 있다. 이같은 일부 분위기는 종종 양국 국민 사이에 마땅히 존재해야 할 상호 이해와 존중의 목소리마저 흐리게 만든다. 중한 양국 정상이 지난 6월 10일 전화 통화에서 인문 교류 심화와 민의 기반 다지기를 강조한 것은 현 상황을 냉철하게 파악한 결과다. 그렇다면 이런 장애물을 어떻게 걷어내고 중한 우호의 씨앗을 상호 신뢰 토양에 뿌리내려 튼튼하게 자라나게 할 수 있을까? 이 시대를 살아가는 양국 국민에게 주어진 공동 과제일 것이다. 안개 속 갈림길: 인식 차이와 보이지 않는 장벽 최근 몇 년간 중한 관계가 겪는 어려움의 깊은 뿌리에는 인식 차이에서 비롯된 상당한 괴리가 자리잡고 있다. 안타깝게도 중국과 한국 일부 국민은 특정 사건이나 사실관계가 확인되지도 않은 소식에 주목해 서로에 대한 편협한 인식을 갖게 되고 이는 상대방을 객관적이고 폭넓게 이해하는 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여기에 더해서 일부 언론도 논쟁이 될 만한 이슈에 과도하
더지엠뉴스-월간 <중국> | 이재명 한국 대통령이 7월 3일 취임 30일을 맞는다. 앞서 지난 6월 4일, 서울 국회의사당 중앙홀에서 한국 제21대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선서를 하고 ‘야당 지도자’에서 ‘국가 원수’가 됐다. 상호 간 3대 무역 파트너이자 천 년의 문화적 유대감을 가진 이웃나라임에도 불구하고 중한 관계는 지난 10년 동안 ‘전략적 협력 동반자’에서 ‘사드(THAAD) 갈등’, ‘공급망 경쟁’으로 이르기까지 굴곡진 흐름을 보여 왔다. 이재명 대통령 취임 이후 양국 관계는 ‘냉온탕’을 오가던 불안정한 순환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역사적 인식의 간극과 지정학적 현실이 빚어내는 민감한 이슈 등은 새 정부의 외교적 역량을 시험할 것이다. 현재 양국 간에는 경제 무역 협력 심화, 인문 교류의 회복세가 감지되고 있는 상황에서 양국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난제’는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이 남았다. 과연 이는 기술 협력 장벽인가 아니면 전략적 상호 신뢰 부족인가? 월간 <중국>에서는 중국의 한국 문제 전문가들을 초청해 이재명 정부 임기 동안의 중한 관계 협력 가능성을 집중 조명한다. 정책 해석, 민의 분석, 경제 연동, 농업 과학기술에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