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한·중 관계 복원 흐름 속에서 베이징 외교 라인이 언론과의 직접 소통을 통해 양국 협력의 확장성을 부각하며 외교적 신뢰의 폭을 넓히는 데 주력하고 있다. 베이징 주재 중국 대사관은 양국 간 교류 환경이 빠르게 전환되는 상황을 두고 대화를 확대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으며, 외교·경제·안보 전반의 협력 구조를 재정비하려는 움직임을 드러냈다. 14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베이징 주재 다이빙(戴兵, Dai Bing) 대사는 전날 한·중 언론을 초청한 면담 자리에서 최근 양국 정세 변화를 언급하며 폭넓은 인식과 경험을 공유했다. 다이빙 대사는 새 한국 정부 출범 이후 양국이 안정을 향해 재정렬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이번 한·중 정상의 경주 회담과 APEC 계기 교류가 향후 협력의 동력을 강화하는 계기라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시진핑(习近平, Xi Jinping) 주석의 방한을 “미래지향적 교류의 전환점”으로 규정하며, 회담 직전 진행된 준비 과정에서 양국 실무진이 긴밀히 소통했다는 점을 소개했다. 시 주석과 이재명 대통령의 회담이 약 100분간 이어졌다는 점도 언급하며, 양국 간 신뢰 복원이 실질적 논의 확대와 연결돼 있다고 평가했다.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중국 공산당 정치국 위원이자 국무원 부총리인 허리펑(何立峰, He Lifeng)이 12일 베이징에서 미중관계전국위원회 공동의장단을 접견하고, 양국 정상이 부산 회담에서 이룬 핵심 합의의 이행을 함께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3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허리펑 부총리는 이날 그린버그 공동부의장과 오렌스 회장을 만나 “중미 양국은 광범위한 경제협력의 여지가 있으며, 상호 존중과 실무 협력으로 관계의 안정적 발전을 이뤄야 한다”고 말했다. 허리펑은 양국 정상이 합의한 경제·무역 분야의 구체적 성과를 실천하는 것이 양국 관계의 기본 토대라며, “협력의 문을 넓히고, 차이를 통제하며, 부산 회담의 결실을 실질적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또한 최근 열린 중국공산당 제20기 중앙위원회 제4차 전체회의의 주요 내용을 설명하며, 중국이 대외 개방을 지속 확대하고 고품질 발전을 통해 글로벌 경제 안정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미중관계전국위원회 대표단은 “미중 관계의 안정이 양국뿐 아니라 전 세계에 중요하다”며 “위원회가 양국 교류와 협력의 가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만남은 지난달 부산에서 진행된 시진핑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쑨웨이둥(孙卫东, Sun Weidong) 중국 외교부 부부장이 베이징 주중 한국대사관 리셉션에 참석하며 양국 간 신뢰 회복과 외교 협력 확대 의지를 드러냈다.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회담 이후 양국 관계가 실질 협력 단계로 전환되고 있다. 6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쑨 부부장은 지난 6일 한국 국경일 및 국군의 날을 기념하는 행사에서 노재헌 대사와 만나 중한관계의 현안을 폭넓게 논의했다. 그는 시진핑 주석의 방한 성과를 이어가며 “양국 정상의 합의를 토대로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더 깊이 발전시켜 두 나라 국민에게 실질적 혜택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쑨 부부장은 또 “한중 관계는 동북아 평화와 지역 번영의 중요한 축으로서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며, 외교적 신뢰를 기반으로 새로운 협력 공간을 넓히자고 제안했다. 이에 노재헌 대사는 “시 주석의 11년 만의 방한은 한중 관계의 새로운 전환점”이라며 “한국 정부도 양국 정상의 합의를 충실히 이행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