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쑨웨이둥(孙卫东, Sun Weidong) 중국 외교부 부부장이 베이징 주중 한국대사관 리셉션에 참석하며 양국 간 신뢰 회복과 외교 협력 확대 의지를 드러냈다.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회담 이후 양국 관계가 실질 협력 단계로 전환되고 있다. 6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쑨 부부장은 지난 6일 한국 국경일 및 국군의 날을 기념하는 행사에서 노재헌 대사와 만나 중한관계의 현안을 폭넓게 논의했다. 그는 시진핑 주석의 방한 성과를 이어가며 “양국 정상의 합의를 토대로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더 깊이 발전시켜 두 나라 국민에게 실질적 혜택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쑨 부부장은 또 “한중 관계는 동북아 평화와 지역 번영의 중요한 축으로서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며, 외교적 신뢰를 기반으로 새로운 협력 공간을 넓히자고 제안했다. 이에 노재헌 대사는 “시 주석의 11년 만의 방한은 한중 관계의 새로운 전환점”이라며 “한국 정부도 양국 정상의 합의를 충실히 이행하겠다”고 답했다.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차이나데일리 | 경주에서 열린 제32차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중국과 한국의 거리가 다시 한 번 따뜻해지고 있다. 양국의 젊은 세대는 정치나 경제보다 한 그릇의 음식으로 더 가까워지고 있다. 6일 중국 매체 차이나데일리에 따르면, 양국 거리의 젊은이들은 떡볶이와 마라탕을 함께 즐기며 자연스레 ‘맛의 동반자’로 자리 잡고 있다. 서울의 번화가나 베이징의 야시장에서도 비슷한 풍경이 이어지고 있으며, 서로의 음식을 배우고, 만드는 과정에서 이해와 호감이 깊어지고 있다. 중국에서는 한국식 분식이 젊은층 사이에서 빠르게 퍼지고 있고, 한국에서는 마라탕과 훠궈 등 중국 음식이 일상 속 간식으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음식 교류는 단순한 미식 경험을 넘어, 문화적 공감대와 상호 존중의 상징으로 확산되고 있다.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학부 학생들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보낸 감사 서한이 양국 정상 외교의 새로운 상징으로 떠올랐다. 5일 중국 주한대사관에 따르면, 다이빙(戴兵, Dai Bing) 주한 중국대사는 한국외대 국제학부 학생회 대표를 통해 시 주석에게 보낸 학생들의 감사 편지에 대한 답례를 전달했다. 시진핑 주석은 이재명 대통령이 주최한 환영만찬에서 “편지에는 한중 관계 발전에 대한 기대가 담겨 있었다”며 “청년은 양국 관계의 미래이며, 양국이 청년 교류를 확대해 우의를 대대로 이어가야 한다”고 밝혔다. 다이 대사는 “시진핑 주석의 발언은 외대 학생들에게 직접적인 답변이자, 양국 청년 교류 활성화를 중시하는 뜻의 표현”이라며 “이는 한중 정상이 이번 국빈방문을 통해 합의한 중요한 공감대 중 하나”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주한 중국대사관은 한국 사회 각계와 함께 양국 국민, 특히 청소년 간의 상호 이해와 우정을 심화시키겠다”며 “한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가 건강하고 안정적으로 발전하도록 민심의 기반을 다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이 대사는 조만간 한국외국어대를 직접 방문해 학생들과 의견을 나누겠다는 뜻도 밝혔다. 한국외국어대 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