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이 희토류(稀土) 수출 관리 조치를 둘러싼 유럽연합(EU)과의 갈등에 정면 대응하며 “협의는 환영하지만 보호무역주의는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양측이 브뤼셀에서 긴급회의를 추진하면서, 세계 공급망의 핵심 자원인 희토류를 둘러싼 무역 긴장이 새로운 외교 전선으로 부상하고 있다. 23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전날 브리핑에서 프랑스 AFP 기자가 “EU 집행위원회가 중국 상무부 왕원타오(王文涛, Wang Wentao) 부장과의 화상 회담 후 브뤼셀에서 긴급회의를 열기로 했다”고 묻자, 궈자쿤(郭嘉昆, Guo Jiakun) 대변인은 “중국 관련 부처가 이미 성명서를 발표했다”며 사실을 확인했다. 그는 “중국과 유럽의 경제 관계는 본질적으로 상호보완적이고 상생적”이라며 “유럽이 자유무역의 원칙을 지키고, 보호무역주의를 배격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또 “중국의 희토류 정책은 자국의 합법적 산업 이익과 세계 공급망의 안정을 함께 고려한 조치”라며 “세계무역기구(WTO) 규범에 따라 모든 국가에 공정하고 투명한 환경을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마로슈 셰프초비치 EU 무역·경제안보 담당 집행위원은 전날 “양측이 희토류 수출 통제를 논
일본 자민당의 다카이치 사나에 총재가 총리로 공식 선출되면서 동북아 외교 지형이 미묘하게 흔들리고 있다. 중국은 일본이 역사 문제와 대만 관련 정치적 약속을 엄중히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새로운 내각에 “협력과 상호 이익의 길”을 촉구했다. 미국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대만 관련 발언을 내놓으며 미·중 관계의 새로운 긴장선을 드러냈다. 22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궈지아쿤(郭嘉昆, Guo Jiakun) 대변인은 전날 정례 브리핑에서 “선거 결과는 일본의 내정 문제로 존중한다”며 “중국은 일본이 중일 4대 정치문건의 원칙을 따르고, 역사와 대만 문제 등 주요 현안에서의 정치적 약속을 지키며 양국 관계의 정치적 기반을 공고히 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일본과 중국은 지리적으로 가깝고, 경제적 연계가 깊은 이웃으로 협력 확대는 양국 모두의 이익”이라고 덧붙였다.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중국은 대만을 침공하길 원하지 않는다”며 미군 보고서의 ‘2027년 대만 점령’ 평가를 공개적으로 반박했다. 이어 “우리는 중국과 매우 잘 지내고 있으며 내년 초 중국 방문을 준비 중”이라고 밝혀, 사실상 미·중 정상 간 소통 재개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에 대해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 외교부가 파라과이(巴拉圭, Bālāguī) 정치권의 ‘대중 수교 논의’ 움직임에 단호한 입장을 내놨다. 대만(台湾, Táiwān)과의 외교 관계는 국제사회의 흐름에 역행하는 ‘죽은 길’이라며, 모든 국가는 결국 하나의 중국(一个中国, Yī gè Zhōngguó) 원칙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21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대변인 궈자쿤(郭嘉昆, Guo Jiakun)은 전날 정례 브리핑에서 “하나의 중국 원칙은 국제사회의 보편적 합의이자 국제 관계의 기본 규범”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만 당국과 이른바 ‘외교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출구가 없는 막다른 길로, 국제사회의 확고한 공감대를 흔들 수 없다”며 “중국의 통일은 시대의 대세이며, 이를 바꿀 수 있는 세력은 없다”고 밝혔다. 궈자쿤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키는 것은 국제 정의이며, 인류가 향하는 방향이고, 시대의 흐름”이라며 “파라과이를 포함한 극소수 국가들이 현실을 인식하고 양심 있는 인사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한다”고 했다. 그는 “민심의 흐름을 외면하지 말고, 자국 국민의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이익에서 출발해 올바른 정치적 결단을 내리길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