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중국 동북 지역에서 발생한 일본인 2명 피살 사건과 관련해, 중국 정부가 공식 입장을 내놓고 법적 절차에 따라 처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민감한 외교 사안으로 비화할 가능성도 제기되는 가운데, 중국은 사안의 형사적 성격을 강조하며 정치적 해석을 경계했다. 3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린젠(林剑, Lin Jian)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중국은 법치 국가이며, 모든 사건은 법률에 따라 엄정하게 처리된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은 외국인들의 안전과 합법적 권익을 일관되게 보호해 왔고, 이번 사건도 법에 따라 수사·처리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사건은 지난 1일 랴오닝(辽宁, Liaoning)성 다롄(大连, Dalian)시에서 발생했다. 현지 공안은 중국 국적의 리(李, Li) 모 씨를 용의자로 체포하고, 그가 일본 국적의 남녀 2명을 살해한 혐의로 형사 구류 조치를 취했다고 발표했다. 중국 관영 언론은 이번 사건이 사적 갈등에 기인한 범행으로 보이며, 정치적 동기나 조직적 배경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일본 외무성은 사건 발생 직후 주중 일본대사관을 통해 중국 측에 사실 확인과 신속한 수사를 요청했으며, 언론을 통
더지엠뉴스 관리자 기자 |중국 현지에서 쇼핑을 목적으로 하는 외국인 관광객들 사이에서 “중국 갈 땐 빈 캐리어를 가져가야 한다(去中国要带空箱子)”는 말이 회자되고 있다. 이는 중국 제품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현지 직접구매가 ‘가성비 쇼핑’으로 각광받고 있다는 방증으로 해석된다. 3일 중국 관영 매체와 SNS에 따르면,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중국은 이제 공산품을 사는 나라가 아니라, 쓰고 싶어서 찾아가는 나라”라는 글이 다수 공유되고 있다. 특히 전자기기, 의류, 생활잡화, 미용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품질이 향상되며 외국인 구매자가 늘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판 틱톡인 더우인(抖音, Douyin)이나 샤오홍슈(小红书, Xiaohongshu) 등에서는 ‘빈 캐리어 챌린지’ 콘텐츠도 등장했다. 외국인 여행객이 빈 캐리어만 들고 입국한 뒤, 돌아갈 때는 가득 채운 장면을 보여주는 형태로, 특히 한국·동남아 사용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 매체 환구망은 “이제 중국은 세계 공장의 이미지가 아니라, 디자인·품질·기술력을 두루 갖춘 제조 선도국가로 재인식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한 “소비자들이 한 번 써보고 반해 다시 찾는 제품들이 많아지고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习近平) 중국 국가주석 간 정상 통화가 추진 중이라는 백악관 발표가 나온 직후, 중국은 이에 대해 함구하며 기존의 신중한 외교 태도를 유지했다. 3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린젠(林剑, Lin Jian) 대변인은 지난 2일 백악관이 양국 정상 간 통화가 곧 이뤄질 예정이라고 밝힌 데 대해,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제공할 수 있는 정보가 없다”고 밝혔다. 린 대변인은 “중미 양국은 여러 계기를 통해 각급에서 소통을 이어가고 있다”면서도, 구체적인 통화 일정이나 의제에 대해서는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 전날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는 “트럼프 대통령이 조만간 시진핑 주석과 통화할 예정”이라고 언론에 공식 발표했으며, 이 내용은 복수의 미국 언론을 통해 보도됐다. 특히 미국 측은 이번 통화가 무역, 기술 규제, 타이완 해협 문제 등을 포괄하는 핵심 전략 대화를 위한 사전 정지작업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중국 외교부는 이 같은 미국 측의 공식 언급에도 불구하고, 정상 간 소통 여부를 확인해주지 않았다. 이는 중국 정부가 외교 사안에 있어 실질적인 합의 이전에는 공식 확인을 자제하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세계 최대 파운드리 기업인 대만 TSMC(台积电)가 아랍에미리트(UAE) 공장 설립설에 대해 “검토 중이나 결정된 바 없다”는 공식 입장을 내놨다. 이는 최근 일부 외신을 통해 흘러나온 ‘중동 공장 진출설’이 확대 재생산되자, 회장이 직접 진화에 나선 것이다. 3일 대만 경제일보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웨이저자(魏哲家) TSMC 회장은 “아랍에미리트 현지 정부와 기술 협력에 대해 논의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현시점에서 생산 시설 건설을 포함한 구체 계획은 확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그는 “당사 정책은 모든 신규 투자에 대해 신중을 기한다”며 “중동 역시 그중 하나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발언은 지난달 블룸버그와 니혼게이자이신문 등에서 보도된 ‘TSMC의 아부다비 진출 가능성’ 기사 이후 이어진 것으로, 당시 일부 일본 언론은 “TSMC가 UAE에 제2 아시아 거점 역할을 고려 중”이라고 전했다. TSMC는 이미 미국 애리조나, 일본 구마모토, 독일 드레스덴 등지에 생산 기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과 EU의 반도체 공급망 내재화 전략과도 맞물린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동 진출은 단순한 수출 협력을 넘어, 지정학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중국이 인구 감소 흐름에 제동을 걸기 위한 전방위 정책을 본격 가동하고 있다. 출산율 반등이 지연되자, 결혼 장려와 함께 육아·보육 인프라 확충, 경제적 유인까지 아우르는 종합 대책이 동시에 추진되는 양상이다. 3일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 및 국무원 관련 부처에 따르면, 최근 발표된 ‘인구 고품질 발전 정책 로드맵’에는 ‘결혼-출산-양육’ 3단계 전 과정에 걸쳐 국가가 지원하는 내용이 포괄됐다. 특히 저출산과 고령화가 동시에 진행되는 구조 속에서, 정책 초점은 ‘결혼과 출산을 포기하는 이유’에 대한 근본적 해소에 맞춰졌다. 우선 결혼 장려를 위해 정부는 성혼 연령을 실질적으로 낮추는 방향의 행정 개입과 함께, 간소한 혼례 문화를 적극 권장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선 신혼부부 대상의 주택 우선 공급과 금융 지원, 공동체 기반의 집단 결혼식 추진 등도 진행 중이다. 출산 단계에선 산모 건강보험 확대, 출산 장려금 확대, 2자녀·3자녀 출산 가정에 대한 교육비 감면 혜택 등이 포함된다. 특히 3자녀 이상 가정에는 국유기업이나 공공기관 취업 시 우대 조치를 적용할 수 있도록 지역별 시범정책이 가동되고 있다. 양육 분야에서는 공공 보육시설 확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중국 정부가 전통적인 혼례 문화를 간소화하고 실용적인 결혼을 장려하는 내용의 새로운 정책을 내놓으며, 결혼율·출산율 동반 하락에 대응하는 행보에 나섰다. 3일 중국민정부는 전국적으로 통일된 결혼문화 개혁 시범지역을 지정하고, 각 지역 정부가 ‘간소·절제형 혼례모델’을 도입하도록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이 조치는 젊은 층의 결혼 비용 부담을 완화하고, 사치·낭비 풍조를 줄이는 동시에, 사회 전반의 결혼 장려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결혼식 규모를 축소하고, 혼수나 예단 등을 생략하거나 축소할 수 있도록 권장하며, 지역 사회 단위에서 공공장소 결혼식, 집단 혼례 등의 공동 방식도 장려된다. 일부 지역에선 시범적으로 ‘공공 혼례장’을 설치해 예식 비용을 정부가 일부 지원하는 제도도 시행 중이다. 중국 각지에서는 이미 여러 도시가 독자적인 결혼문화 개혁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저장(浙江, Zhejiang)성 원저우(温州, Wenzhou)시는 신혼부부에게 임대주택 우선 입주권과 생활 보조금을 제공하고 있으며, 산둥(山东, Shandong)성 지난(济南, Jinan)시는 간소한 결혼을 선택한 커플에게 포인트 혜택이나 장려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 교육부가 전국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인공지능(AI) 기초과목을 도입하기로 하며, 미래 산업에 대비한 인재 양성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3일 중국 교육부 발표에 따르면, 당국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AI 기초교육 시범사업을 이르면 오는 가을 학기부터 일부 지역에서 시행하고, 2026년까지 전국적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주요 내용은 알고리즘 개념, 코딩 기초, 스마트 기술 이해 등으로 구성되며, 단계별 커리큘럼과 전용 디지털 교재가 함께 배포될 예정이다. 특히 이번 교육 개편은 고등학교나 대학에서 진행되던 기존 AI 과목을 초등교육 단계까지 끌어내렸다는 점에서 이례적이다. 중국 교육부는 “어린이들이 조기에 기술적 사고력과 디지털 문해력을 갖추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교육 당국은 전국 교사 대상 AI 교과 연수를 동시 진행하고 있으며, AI 교육 인증을 받은 전문 인력을 확보하고 지역별 온라인 플랫폼도 구축하고 있다. 선전(深圳, Shenzhen), 항저우(杭州, Hangzhou) 등 IT 산업 중심지 도시에서 우선 시범운영에 들어가고, 이후 농촌·중소 도시로 확대된다. 중국 언론에 따르면, 일부
더지엠뉴스 김완식 기자 | 중국이 독자 개발한 우주 탐사선 ‘톈원(天问) 2호’가 지구를 벗어나 새로운 목표인 소행성 ‘469219 Kamoʻoalewa’를 향해 본격적인 비행에 돌입했다. 3일 중국국가항천국(CNSA)에 따르면, 전날 오전 6시 10분, 톈원 2호는 ‘지구 스윙바이(중력 도우미)’ 기동을 통해 2차 궤도 전환에 성공했다. 이는 지구 중력을 이용해 비행 속도와 방향을 바꾸는 기술로, 연료 소모를 최소화하며 소행성 접근 가능 거리를 확보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다. 중국 당국은 이 과정이 “탐사선의 궤도 설계 정밀도, 통신 신호 해석 능력, 우주기기 신뢰성을 종합적으로 시험하는 중요한 기술 노드”라고 평가했다. 지구 접근 최단 거리는 약 590㎞였다. 톈원 2호는 향후 약 9개월간 우주를 항해한 뒤, 2025년 4월쯤 소행성에 근접해 표면을 착륙, 샘플을 수집할 예정이다. 이후 이 샘플은 다시 지구로 귀환되며, 귀환 시기는 2025년 말로 잡혀 있다. CNSA는 “톈원 2호가 수행하는 최초의 소행성 직접 착륙 및 샘플 회수 임무는 인류 우주과학기술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은 앞서 톈원 1호를 통해 화성 착륙 및 탐사 임무
더지엠뉴스 관리자 기자 | 제21대 한국 대통령 선거가 3일 오전 6시부터 전국 투표소에서 일제히 시작됐다. 이번 선거는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후 6개월 만에 치러지는 조기 대선으로, 이재명·김문수·이준석·하태경·심상정 등 총 5명의 후보가 경쟁 중이다. 3일 바이두 실시간 검색어 순위에서 ‘한국 대선 투표 시작, 5인 대선 경쟁’이 2위에 올랐다. 중국 내 주요 언론들도 이례적으로 높은 관심을 보이며 다양한 분석을 내놨다. 신화통신(新华社, Xinhua)은 “이번 조기 대선은 한국 민주주의가 체제를 복원하고 국민 신뢰를 회복하는 중요한 분기점”이라고 전했다. 특히 신화는 2022년 윤석열 당선 이후 한중 관계가 급격히 악화된 점을 언급하며, 차기 정권이 대중 정책에서 어느 방향으로 움직일지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청년망(中国青年网)은 “이재명 후보가 여론조사에서 선두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경제민주화’와 ‘사회적 연대’를 핵심으로 내세운 이 후보의 공약이 청년층과 중산층 표심을 자극했다고 분석했다. CCTV(央视, China Central Television)는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이라는 정치적 격변이 아직 민심의 동요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중국 문화산업이 세계무대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전통문화의 현대적 변용과 콘텐츠 산업의 급속한 확장이 맞물리며, 중국식 현대화에 있어 문화강국 건설이 필수 과제로 부상했다. 3일 중국 인민일보에 따르면 전날 칼럼에서 “민족의 강성은 문화적 흥성에 기반한다”며, 문화강국 전략이 단순한 산업 육성을 넘어 중국의 문명적 자립을 실현하는 핵심이라 강조했다. 최근 열린 제21회 문화산업박람회에서는 12만여 종의 문화 제품과 4000건이 넘는 문화 투자 프로젝트가 거래되며, 산업과 정책, 예술과 기술이 유기적으로 융합되는 양상을 보였다. '2025 문화강국 건설 고위급 포럼' 역시 같은 맥락에서, 문화 제도 개혁과 창조 역량 고도화를 중심 의제로 삼았다. 인민일보는 이러한 흐름을 “새 시대 문화 창조의 새로운 물결”로 묘사했다. 시진핑(习近平, Xi Jinping) 국가주석은 지난 2023년 6월 2일 열린 문화유산 전승 발전 좌담회에서 “중화문명의 다섯 가지 고유 특성을 파악하고, 마르크스주의 기본 원리를 중국 현실과 중화 전통문화에 결합하라”고 주문한 바 있다. 칼럼은 “두 가지 결합”이 성공의 핵심이라며, 최근 중국에서 일어난 일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