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이 지구 근접 천체를 탐사하는 최초의 우주 임무를 본격 가동한다. 톈원(天问) 2호는 29일, 태양계를 향한 9년 반의 항해를 시작할 예정이다. 27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과 중앙TV에 따르면, 국가항천국(CNSA)은 쓰촨성(四川, Sichuan) 시창(西昌, Xichang) 위성발사장에서 톈원2호의 발사 준비가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고 발표했다. 이 탐사선은 창정(长征, Changzheng) 3호乙(야오-110) 로켓에 탑재되어 이륙하게 된다. 톈원2호의 1차 임무는 지구의 준(準)위성으로 불리는 ‘카모오알레바’(Kamo'oalewa)에서 표본을 채취한 뒤, 이를 2027년 지구로 회수하는 것이다. 채취한 표본은 이 천체가 달에서 떨어져 나온 암석이라는 기존 가설을 검증하는 데 결정적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어지는 2차 임무에서는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에 위치한 혜성 ‘311P/판스타스’를 대상으로 탐사가 진행된다. 전체 탐사 일정은 약 9년 반으로, 중국 우주탐사 역사상 최장기간 프로젝트다. 카모오알레바는 2016년 하와이의 천문대에서 처음 발견된 소행성으로, 지름 약 50미터의 이 천체는 지구 궤도와 유사한 경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이 반도체와 첨단기술 분야에 대한 국가 차원의 전략 재편에 나섰다. 제조업 중심 국가로의 도약을 선언한 지 10년 만에, 후속 구상이 베일을 벗기 시작했다. 27일 블룸버그통신 보도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2015년 발표한 '중국제조 2025'의 다음 단계를 내부에서 검토 중이다. 이는 전기차, 조선업 등에서 이미 국제적 우위를 확보한 중국이 반도체 장비 등 미진했던 분야에 본격 투자하려는 신호로 해석된다. 중국은 전 세계 공급망 충격과 미국의 고강도 압박 속에서도 제조업을 국가 안보와 고용의 핵심으로 간주하고 있다. 이번 전략은 이름은 바꾸되, 기본 구조는 유지하며 고도화된 형태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 블룸버그는 이 계획이 아직 비공개 상태이며, 복수의 익명 소식통이 현재 관련 구상이 내부 협의 중이라고 전했다. 특히 반도체 장비 국산화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으며, 미국과의 기술격차를 줄이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새 전략은 '15차 5개년 계획'(2026~2030)을 준비하는 작업과도 연계돼 있다. 해당 계획은 국가 인프라와 복지, 환경 등 광범위한 영역을 포괄하며, 내년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공식 발표될
더지엠뉴스 관리자 기자 | 27일 중국공산당 중앙판공청과 국무원판공청이 공동으로 ‘중국 특색 현대기업제도 개선에 관한 의견’을 정식 발표했다. 이번 문건은 당의 지도 아래 기업지배구조를 정비하고, 전 산업의 경영효율과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전략적 조치로서, 시진핑(习近平, Xi Jinping) 총서기의 사회주의 현대화 로드맵이 반영된 국가 차원의 중장기 계획이다. 약 5년 내 주요 국유기업과 민간기업의 거버넌스 개편을 완료하고, 2035년까지 국제 수준의 현대기업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목표가 명확히 제시됐다. 기업 운영 전반에 걸쳐 당 조직의 역할을 제도화하는 한편, 비공유제 기업에도 당 건설을 강화하도록 유도했다. 의견서는 총 8개 항목, 19개 세부조치로 구성되며, 국유기업의 이사회 권한 강화와 그룹-자회사 간 역할 정립, 민간기업의 투명한 자본구조 도입 및 전문경영 체계 확산을 병행 추진하도록 했다. 전략기획과 예산, 인사, 투자에 이르는 기업의 과학적 경영을 강조하며, 내부 통제와 위험관리, 디지털 전환, 데이터 자산 활용 등 경영 전 분야에서 구조적 혁신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자본시장을 활용한 거버넌스 개선 조치도 담겼다. 독립이사 비율 확대,
더지엠뉴스 관리자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리창(李强, Li Qiang) 중국 국무원 총리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를 찾아 중국 기업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자국 경제의 회복력과 외부 변수 대응 능력을 직접 강조했다. 26일 중국 신화통신 보도에 따르면, 리창 총리는 전날 인도네시아 현지에서 열린 중국 기업 심포지엄에 참석해 국제 경제 질서의 불확실성을 지적하며, 중국은 이에 완벽히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 산업과 공급망은 지속적으로 분절되고 있으며, 무역 장벽이 확산돼 전 세계 경제에 충격을 주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중국은 대외 무역에서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경기 순환에 맞춰 거시정책을 탄력적으로 조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리창 총리는 이 자리에서 적극적 재정정책, 완화적 통화정책을 함께 운영하고 있으며, 고용 안정을 중심으로 한 경기부양 조치도 실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필요 시 상황에 맞춰 새로운 정책수단도 즉시 도입할 준비가 돼 있다고 덧붙였다. 중국이 외부 충격 속에서도 경제 안정을 유지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아세안 중심부인 인도네시아에서 발신한 점은 주목할 만하다. 리 총리는 이날 심포지엄에 참석한 중국에너지투자유한회사(CH
[더지엠뉴스]중국 완구 브랜드 팝마트(泡泡玛特, Pop Mart)가 자사 대표 IP ‘라부부(LABUBU)’의 폭발적 흥행에 힘입어 주가와 실적 모두에서 신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그러나 시가총액이 3,000억 홍콩달러(약 56조 원)를 돌파한 이 시점에서, 브랜드가 진정한 글로벌 콘텐츠 기업으로 체질을 전환했는지에 대한 평가는 여전히 분분하다. 23일 21세기경제보도에 따르면 전날 홍콩증권거래소에서 팝마트 주가는 장중 한때 229홍콩달러(약 3만9,000원)까지 상승하며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고, 연초 대비 주가 상승률은 155%에 달했다. 모건스탠리(Morgan Stanley)는 “팝마트의 해외 매출은 2025년까지 전년 대비 152% 증가하고, 2027년까지 전체 매출의 65%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하며, 목표주가를 250홍콩달러(약 4만2,600원)로 제시했다. LABUBU는 단일 캐릭터를 넘어 글로벌 확산력이 입증된 ‘슈퍼 IP’로 분석됐다. LABUBU는 기존의 PVC 피규어를 넘어, 고급 브랜드 가방에 부착 가능한 인형으로 진화하며 ‘착용하는 캐릭터’로 재정의되고 있다. 태국 왕실, 블랙핑크 멤버, 베컴 가족 등 유명 인사들이 SNS에 공유하면서
[더지엠뉴스]중국과 프랑스 정상이 전화 통화를 통해, 다자주의의 복원과 유엔 중심 질서 수호, 양국 간 전략 협력의 강화 필요성에 대해 깊이 있게 논의했다. 양국 모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이자 전후 국제질서의 설계자라는 정체성을 재확인하며, 글로벌 책임을 공유해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23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전날 시진핑(习近平, Xi Jinping) 국가주석은 마크롱(Emmanuel Macron) 프랑스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중국과 프랑스는 세계질서를 지탱하는 신뢰할 수 있는 두 축이며, 개방과 협력을 통해 불확실성을 돌파해야 할 책임이 있다”고 밝혔다. 시 주석은 지난해 5월 프랑스 방문 당시 합의한 '중불 외교 정신'을 다시 꺼내며, 독립성·상호이해·전략적 시야·상생 협력이라는 가치가 새로운 시대에서 더욱 풍부한 의미를 지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에 따르면 양국 관계는 그간 항공우주, 원자력, 투자 등 전통 산업뿐 아니라, 디지털경제, 녹색전환, 바이오의료, 고령사회 분야로까지 확장돼 왔다. 시 주석은 또 “올해는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과 유엔 창설 80주년이라는 역사적 전환점에 해당한다”며 “지금처럼 복잡한 국제 정세일수록, 프랑스와 중국은
[더지엠뉴스]샤오미가 전기 SUV ‘YU7’을 정식 공개하며, 테슬라가 장악한 중고급 순수 전기차 시장에 본격적인 도전장을 내밀었다. 이날 함께 발표된 3나노 공정 자사 칩셋 ‘쉬안제O1’은, 단순한 차량 공개를 넘어 샤오미의 기술 독립 선언이자 산업 전략 재정비의 신호탄으로 받아들여졌다. 23일 중국 매체에 따르면 YU7은 전장 4,999mm, 휠베이스 3,000mm 규모의 중대형 SUV로, 기본형은 단일 후륜 구동, 상위 모델은 듀얼 모터 사륜 시스템을 채택했다. 최고 사양 모델은 240km/h까지 속도를 낼 수 있으며, 96.3kWh 배터리를 기반으로 최대 835km 주행이 가능하다. 모든 트림은 라이다(LiDAR) 센서, 4D 밀리미터파 레이더, 700TOPS급 엔비디아 오린X 칩을 전 모델에 기본 탑재했다. 레이쥔(雷军) 샤오미 회장은 전날 발표회 연단에서 “일부에서 언급된 19만9000위안 가격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으며, “모델Y와 비교해도 손색없는 사양을 갖춘 만큼, 가격은 30만 위안 이상이 합리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구체적인 가격 공개는 상반기 내 상장 이후로 미룬다고 덧붙였다. 자동차 공개 직후, 일부 온라인 중고 플
[더지엠뉴스]중국 정부가 미국의 우주 지배 전략인 ‘골든돔(Golden Dome)’ 구상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며, 외공간의 무기화를 차단하겠다는 강경한 메시지를 발신했다. 동시에 대만 독립 주장을 정면 반박하며 “중국의 통일은 반드시 실현된다”고 밝혔다. 23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마오닝(毛宁, Mao Ning) 대변인은 전날 정례 브리핑에서 “대만은 결코 하나의 국가가 아니며, 이 문제에 대한 결정권은 대만인이 아닌 14억이 넘는 중국 인민에게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전날 대만의 린자룽(林佳龙) 전 교통부 장관이 “대만의 이름은 우리가 정한다”고 발언한 데 대한 공식 반응이었다. 마오 대변인은 “이런 언사는 무지와 오만의 표현일 뿐이며, ‘하나의 중국’ 원칙은 국제관계의 기본 질서”라고 지적했다. 그는 “중국의 통일은 반드시 실현될 것이며, 이는 막을 수 없는 역사적 흐름”이라며, 유엔 총회 결의 제2758호가 이를 뒷받침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미국의 우주전략과 관련해 마오 대변인은 “중국은 외공간의 평화적 이용을 일관되게 추구하며, 외공간 무기화와 군비 경쟁을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찰스 솔츠먼 미 우주군 작전부장이 “중국과 러시
[더지엠뉴스]중국이 과학기술 자립을 국가 생존 전략의 최전선에 배치하며, 금융 시스템 전반에 구조적 개편을 단행하고 있다. 과학기술부와 인민은행 등 4대 부처는 22일, 기술기업 중심의 자본 투입 체계를 전면 재설계하며 ‘과학기술-금융-실물경제’ 삼각축 통합을 제도화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날 국무원 주재 기자회견에는 과학기술부 차관 츄융(邱勇, Qiu Yong), 인민은행 부행장 겸 외환국장 주허신(朱鹤新, Zhu Hexin), 금융감독총국 대변인 궈우핑(郭武平, Guo Wuping), 증권감독위원회 발행관리사 사장 옌보진(严伯进, Yan Bojin)이 모두 참석했다. 회의의 핵심은 ‘과학기술금융체계 건설을 통한 국가 기술자립 역량 강화’다. 발표된 정책에 따르면, 기존의 재정 중심 지원 방식에서 벗어나, 금융자본을 과학기술 부문에 본격적으로 투입하기 위한 다층적 메커니즘이 구축된다. 우선, ‘혁신 포인트제(创新积分制)’를 바탕으로 과학기술 기업의 신용등급을 수치화해 은행 대출과 정부 보증에 연결하는 시스템이 가동 중이다. 현재까지 7,000개 이상의 기업이 해당 시스템을 통해 총 880억 위안의 대출 계약을 체결했고, 1.2만 건 이상의 보증 계약이 성사되었
[더지엠뉴스]중국 국가주석 시진핑이 최근 허난(河南, Henan)성에 위치한 루양베어링그룹을 시찰하며, “혁신은 제조업의 생명이며 핵심 기술을 반드시 장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2일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와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을 겸임하는 시 주석은 루양 기업의 고급 베어링 제품 생산 현장을 둘러보며, 전통 산업의 가치와 그 현대화 가능성을 재차 언급했다고 글로벌타임스가 보도했다. 그는 “중국은 항상 실물경제에 기반해 발전해 왔으며, 이는 옳은 길임이 입증되었다”고 말하면서, 제조업은 고용과 재정 수입, 국제 경쟁력을 모두 떠받치는 중추라고 강조했다. 현재 철강, 유색금속, 기계, 섬유 등 전통 산업이 전체 제조업 부가가치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군이 중국의 산업 규모와 체계에서 여전히 중심적 역할을 맡고 있다는 점에서, 단순한 구조조정보다는 '질적 향상'이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를 위해 중국 정부는 디지털 전환과 녹색 에너지 전환을 핵심 전략으로 제시하고 있다. 산업인터넷, 5G, 인공지능(AI) 기술이 대규모로 전통 제조업에 도입되고 있으며, 2024년에는 제조업 기술 업그레이드 투자 규모가 전년 대비 8%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