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이 국경 간 디지털 위안화 확산을 위한 국제운영센터를 상하이에 열며 금융 질서 재편 움직임을 가속하고 있다. 인민은행은 26일 센터가 공식 개소했다고 발표하며, 디지털 통화 인프라의 해외 확장 기반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26일 중국 중앙은행 발표에 따르면, 이 센터는 디지털 위안화 국제화를 목적으로 설계된 국경 간 결제 플랫폼,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디지털 자산 관리 시스템 등을 기업과 금융기관에 홍보하는 기능을 맡는다. 루레이 인민은행 부행장은 “디지털 시대 화폐 체계의 발전은 역사적 필연”이라며, 개방적이고 혁신적인 결제 해법을 통해 국제 금융 네트워크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판궁성 인민은행 총재가 지난 6월 상하이 루자쭈이 포럼에서 구상을 밝힌 뒤 불과 석 달 만에 현실화된 것이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중국이 스테이블코인 열풍 속에 디지털 위안화를 글로벌 대안으로 내세우며 달러 중심 금융 구조에 도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국제은행간통신협회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위안화는 전 세계 결제에서 3.75% 비중을 차지해 달러(49%), 유로(21.74%), 파운드(6.94%)에 이어 네 번째로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미중 간 금융 갈등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중국 중앙은행 최고 책임자가 달러 중심 국제 금융질서에 정면으로 문제를 제기했다. 판궁성 인민은행 당서기 겸 행장은 달러화가 지정학적 이해관계 속에서 도구화되고 있다며 국제 통화체제와 국제기구의 구조 개편을 촉구했다. 17일 중국공산당 이론지 추스(求是, Qiushi)에 따르면, 판 행장은 시진핑 국가주석이 상하이협력기구 정상회의에서 제안한 글로벌 거버넌스 구상을 근거로 국제 금융 분야의 변화를 강조했다. 그는 2차 세계대전 이후 달러가 기축통화 지위를 유지해왔으나, 단일 통화 의존은 구조적 불안정을 낳고 위기 상황에서 세계적 파급을 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전쟁이나 제재 상황에서 기축통화가 정치적 무기로 사용되는 현실을 비판했다. 판 행장은 유로화와 위안화 등 다수 통화가 경쟁하는 구도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또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SDR)과 같은 다자적 기축통화 논의는 현실적 제약이 크다고 보면서도, 기존 국제 결제망이 정치화되는 문제를 막기 위해 다원화된 결제 인프라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IMF를 비롯한 국제 금융기구의 거버넌스 개혁도 요구했다. 주요 기구의 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