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중국산 소비재가 미국 일상생활 속에 얼마나 깊게 뿌리내렸는지를 보여주는 분석 기사가 중국 온라인에서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2일 중국 최대 포털 바이두에서는 ‘미국인이 의존하는 중국제조 톱10’ 목록이 검색어 1위에 올랐다. 2일 중국 매체 국제재선(國際在線)에 따르면, 이 목록은 뉴욕타임스(New York Times)가 지난달 24일 보도한 미국국제무역위원회(USITC) 자료 기반 분석을 바탕으로 재구성된 것이다. 미국 수입품 가운데 중국산 비중이 가장 높은 품목은 유모차로, 전체 수입량의 97%를 차지했다. 고급 다기능형부터 기본 접이식 모델까지 대부분이 중국 생산에 의존하고 있었다. 이외에도 인조식물, 우산, 사무용 서류 캐비닛, 진공 플라스크(보온병) 등은 96% 이상이 중국산이었다. 폭죽의 경우 95%에 달해, 중국 언론은 미국 독립 250주년 기념일(2026년) 행사에 차질이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미국 내 장난감 시장의 70%, 가전제품 부품의 60% 역시 중국에서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액 기준으로는 전화기 500억달러(약 68조 원), 컴퓨터 355억달러(약 48조 원), 배터리 170억달러(약 23
[더지엠뉴스]한국과 중국이 공급망 충격과 기술 경쟁이 고조되는 세계 경제 흐름 속에서도, 신뢰와 공동 번영을 위한 경제 협력의 해법을 다시 모색하고 있다. 양국 정부, 기업, 전문가 200여 명이 온라인 공간에서 연결돼 실질적인 전략을 공유하고, 미래 동반자 관계의 틀을 새롭게 다졌다. 16일 중국무역촉진회(中国贸促会, CCPIT)와 한국무역협회 베이징대표처는 공동으로 ‘2025 한중 미래 경제 협력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코로나 이후 불안정한 국제 환경 속에서도 양국이 디지털 전환, 녹색 에너지, 고부가가치 제조업 등 새로운 경제 영역에서 협력의 실마리를 찾기 위해 마련됐다. 개막 연설에서 중국 측 대표는 “한국은 아시아에서 가장 중요한 협력 파트너 중 하나이며, 공급망 안정과 기술 혁신을 위한 동반자로서의 잠재력이 매우 크다”고 강조했다. 한국 측 연사는 “양국 경제는 이미 깊이 얽혀 있으며, 디지털 무역과 ESG 분야에서 제도적 협력을 제안할 시점”이라며 실질적 접근을 주문했다. 세미나에 참석한 양국 기업 관계자들은 기술 중심 산업구조 개편, 글로벌 수요 위축, 해외 시장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해 공동의 산업 전략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더지엠뉴스] 미국과 중국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고위급 무역 협상에서 전격적으로 상호 관세를 대폭 인하하기로 합의했다. 12일 주요 외신에 따르면,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부과하던 관세를 145%에서 30%로 낮추고, 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매기던 보복 관세를 125%에서 10%로 조정하기로 했다. 이번 합의는 지난 10일부터 시작된 협상을 통해 도출된 것으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이후 격화된 양국 간 무역 마찰이 정식 협상을 통해 조정된 첫 사례다. 협상에는 미국 측에서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 대표가, 중국 측에서는 허리펑(何立峰, He Lifeng) 국무원 부총리와 리청강(李成刚, Li Chenggang) 상무부 부부장이 참석했다. 수년간 이어진 고율 관세는 양국의 무역 흐름을 막고, 글로벌 공급망에까지 영향을 미쳐왔다. 이번 조치는 상호 의존적인 경제 구조를 회복하는 데 있어 실질적인 전환점이 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합의된 관세 인하 조치는 우선 90일간 유지되며, 이후 양측은 농업, 서비스, 첨단기술 분야를 포함한 후속 협상에 돌입할 예정이다. 협상이 진행된 제네바는 세계무역기구(WTO)가 소재한 도시로, 중국이
[더지엠뉴스] 미국 정부가 중국 해운·조선업을 겨냥한 새로운 규제를 추진하면서 양국 간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중국 선박과 중국산 선박을 운영하는 해운사에 대해 항만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이 포함되면서, 중국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중국 선박이 미국 항구에 입항할 때 선박당 최대 100만 달러 또는 선박 용적 기준 톤당 최대 1천 달러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또한, 복수의 선박을 운영하는 선사의 경우 최대 150만 달러까지 추가 수수료가 부과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중국 상무부는 이에 대해 즉각 반발하며, 미국의 조치가 국제 무역 규칙을 위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중국은 이미 미국과 여러 차례 소통하며 입장을 전달했지만, 미국이 일방적인 결정을 내렸다고 비판했다. 상무부 대변인은 이번 조치가 미국의 조선업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해운 비용을 상승시켜 물류비 부담을 증가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미국의 항만 사용료가 높아지면 해운업계 전체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는 미국 내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와 함께, 미국 정부는 중국과의 투자 제한 조치도 추진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