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완식 기자 | 중국 국무원은 ‘인공지능+ 행동 의견’을 발표하며 향후 10년간의 국가 전략을 제시했다. 이번 전략은 2017년 ‘차세대 인공지능 발전 규획’ 이후 첫 대규모 업데이트로, 2027년·2030년·2035년의 3단계 목표를 통해 중국식 현대화 과정에서 인공지능을 핵심 동력으로 삼겠다는 청사진을 담았다. 2일 중국 정부에 따르면 첫 단계인 2027년까지는 인공지능과 과학기술, 산업, 소비, 민생, 거버넌스, 글로벌 협력 등 6대 분야의 깊은 융합을 추진하고, 스마트 단말과 지능형 로봇 등 신형 응용의 보급률을 70% 이상으로 끌어올린다. 아울러 ‘스마트 경제’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해 디지털 경제에서 지능화 시대로의 전환을 가속하겠다는 방침이다. 2030년까지는 새로운 스마트 단말의 보급률을 90% 이상으로 높이고, 인공지능을 통한 고품질 발전을 전면적으로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최종적으로 2035년에는 ‘인공지능+’ 전략을 국가 현대화와 결합시켜 스마트 경제·사회로의 전환을 완수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는 ‘2035년 기본적 현대화 달성’이라는 장기 국가 비전과 맞물려 있다. 이번 문건은 인공지능과 6세대 이동통신, 양자기술, 생물제조의
더지엠뉴스 김완식 기자 | 중국 정부가 내수 소비 확대를 위해 개인 소비자금 대출과 서비스업 대출에 대한 이자 보조 정책을 내달 1일부터 시행한다. 13일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재정부 등 3개 부처는 개인 소비 대출에 대해 1인당 최대 3천 위안(약 41만7천 원)까지 이자 보조를 제공하고, 별도로 8개 서비스업 분야 대출에도 연 1%포인트 한도의 이자 지원을 하기로 했다. 개인 소비 대출 보조는 2026년 8월 31일까지 적용되며, 신용카드를 제외한 실제 소비 목적의 대출만 해당된다. 서비스업 지원 대상 업종은 음식·숙박, 의료, 노인 돌봄, 아동 돌봄, 가사, 문화·엔터테인먼트, 관광, 스포츠이며, 대출 기간은 올해 3월 16일부터 12월 31일까지다. 지원 한도는 100만 위안(약 1억4천만 원)이며, 재정부가 90%, 지방정부가 10%를 부담한다. 이번 조치는 소비 인프라 확충과 서비스 공급 능력 제고를 위한 것으로, 가전·자동차 교체 프로그램과 병행할 수 있다. 중국건설은행, 중국은행, 교통은행, 중국농업은행 등 주요 은행들은 해당 정책 시행을 위한 준비에 착수했다. 랴오민 재정부 부부장은 “재정과 금융이 협력해 내수를 촉진하는 또 하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