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라싸를 찾아 시짱(西藏, Xizang) 자치구 설립 60주년 경축식에 참석했다. 국가주석으로는 사상 처음 행사에 모습을 드러낸 이번 방문은 인도와 관계 개선 기류 속에 이뤄졌다. 21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은 전용기를 타고 라싸에 도착해 티베트 관리와 주민들의 환영을 받았다. 그는 전통 스카프 하다를 목에 걸고 행사장에 나섰으며, 주민들은 오성홍기를 흔들며 전통춤으로 맞이했다. 시 주석은 자치구 당위원회 보고를 청취한 자리에서 “정치·사회 안정과 민족 단결, 종교 화합을 유지해야 한다”며 “국가 통용 언어 보급과 민족 교류 확대를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종교의 중국화를 체계적으로 추진해 티베트 불교가 사회주의 사회와 조화를 이루도록 인도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얄룽창포강 하류 수력발전, 쓰촨~티베트 철도 등 대형 프로젝트를 질서 있게 추진하고, 올해 초 강진으로 큰 피해를 입은 르카쩌 딩르현의 재건을 서두르라고 지시했다. 또 부패를 방지하고 청렴한 정치 생태계를 조성하라고 강조했다. 이날 일정에는 왕후닝 전국정협 주석과 차이치 중앙서기처 서기 등 당 지도부 핵심 인사들도 함께했다. 시짱 자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이 티베트 지역에서 세계 최대 규모 수력발전소 건설을 본격화하자 인도와 방글라데시가 환경과 생계 피해를 우려하며 공개 반발에 나섰다. 이에 대해 중국 정부는 “국가 주권의 범위”라며 외부 간섭을 일축했다. 23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궈자쿤(郭子昆, Guo Zakun) 대변인은 전날 브리핑에서 “야룽창포강(雅鲁藏布江, Yarlung Zangbo)의 수력개발은 청정에너지 확대, 현지 민생 개선, 기후 대응이라는 중국의 합법적 발전권 행사”라며 “인도와 방글라데시의 우려는 과도하다”고 밝혔다. 얄룽창포강은 중국 티베트(시짱, 西藏) 지역에서 발원해 인도, 방글라데시를 거쳐 벵골만으로 흘러드는 총 3,000km 길이의 국제 하천이다. 중국명 야룽창포강, 인도명 브라마푸트라강으로도 불리며, 이번에 중국이 착공한 발전소는 그 하류 구간에 위치해 있다. 수력발전 프로젝트는 지난 19일 티베트 린즈(林芝, Linzhi)시에서 공식 착공식을 열고 본격화됐다. 총 1조2,000억 위안(약 232조원)을 투입해 야룽창포강 일대에 5기의 폭포식 발전소를 건설하며, 완공 시 연간 3,000억㎾h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세계 최대 규모다. 이는 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