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세계 주요 다국적 기업들이 최근 분기 실적을 잇따라 공개하며 중국 시장의 존재감을 다시 확인시켰다. 스타벅스, 로레알, 애플 등 글로벌 대표 기업들이 중국 내 매출 호조를 기록하며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31일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글로벌 기업들은 단순히 실적뿐 아니라 중국 내 사업 확대를 본격화하고 있다. 스타벅스는 9월 28일 마감된 2025 회계연도 4분기 실적에서 중국 매출이 8억3,160만 달러(약 1조1,450억 원)로 전년 대비 6%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4분기 연속 성장세를 이어간 것으로, 회사 측은 중국 시장이 “회복의 궤도 위에서 안정적으로 확장 중”이라고 평가했다. 지난 29일 로이터통신은 애플이 4조 달러(약 5,500조 원)를 돌파한 뒤 발표 예정인 4분기 실적에서 아이폰17 시리즈와 아이폰 에어의 중국 판매가 실적을 견인할 것으로 보도했다. 로레알 역시 10월 21일 발표한 3분기 실적에서 중국 내 럭셔리 브랜드 매출이 호전돼 전체 매출이 4.2% 상승했다고 전했다. 싱가포르의 페레니얼 홀딩스는 상하이 자오퉁대학 의과대학 부속 루이진병원과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해당 기업은 지난 2월 톈진에서 중국 내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7월 주요 경제지표는 전반적으로 둔화했지만, 첨단 제조업과 녹색산업이 성장세를 이어가며 구조적 강점을 보여줬다. 전문가들은 하반기 재정 확대와 통화 완화, 부동산 규제 완화까지 포함된 새로운 조치가 추진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18일 국가통계국 발표에 따르면 7월 사회소비품 소매총액은 전년 동월 대비 3.7% 늘었지만, 올해 들어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산업생산 증가율 역시 5.7%로 주춤했으나, 집적회로 제조업(26.9%), 전자재료(21.7%)가 크게 뛰었고, 신에너지차(17.1%), 리튬이온 배터리(29.4%), 풍력발전 설비(19.3%) 등 녹색산업이 두드러졌다. 정부는 경기 대응을 위해 초장기 국채를 통한 소비재 교체 보조, 설비투자 확대, 개인소비·서비스업 대출 지원책을 연이어 내놓았다. 발개위와 재정부는 올해 세 번째로 690억 위안(약 13조 원)을 투입했고, 10월에도 같은 규모의 자금이 추가 지원될 예정이다. 인민은행은 첨단 제조와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자금 배분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외부 수요 둔화와 부동산 시장 조정이 이어질 경우 4분기 초반 새로운 대규모 부양책이 나올 것으로 보
[더지엠뉴스]국가통계국은 27일, 올해 1~2월 중국 전국 규모 이상 공업기업의 매출이 전년 대비 2.8%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2024년 전체 증가율보다 0.7%포인트 빠른 수치다. 같은 기간 이들 기업의 순이익은 0.3% 감소했으나, 2024년 연간 낙폭보다 3.0%포인트 줄어들며 회복 조짐을 보였다. 통계에 따르면 총수익에서 생산 원가를 제외한 기준으로 집계한 이익은 2024년 전체 0.3% 감소에서 올해 1~2월 2.0% 증가로 전환됐다. 국가통계국 공업사 우웨이닝(于卫宁, Yu Weining) 통계사는 “1~2월 산업 기업의 매출과 이익 모두 회복세를 나타냈고, 특히 설비제조와 원자재 산업은 손실에서 이익으로 전환됐다”고 평가했다. 설비제조업의 경우, 1~2월 매출은 전년 대비 8.1% 늘어나 전체 산업 평균보다 5.3%포인트 높았다. 이익도 5.4% 증가하며 산업 전체 이익 상승에 1.4%포인트 기여했다. 이 분야 8개 산업 중 6개 업종이 흑자 전환했다. 원자재 제조업 이익은 15.3% 증가하며, 작년 22.9% 감소에서 큰 폭의 개선세를 보였다. 특히 신에너지 수요 증가로 비철금속 산업 이익은 20.5% 급등했다. 정부의 대규모 설비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