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 해군은 22일, 첫 전자기 사출 시스템을 갖춘 항공모함 푸젠(福建, Fujian)에서 J-15T 중형 전투기, J-35 스텔스 전투기, KJ-600 조기경보기의 사출 이륙과 착함 훈련이 성공적으로 진행됐다고 발표했다. 이번 성과는 해군 항모 항공단 전력의 완성 단계로 평가되는 ‘5종 세트’ 전력 체계를 사실상 구현한 것으로, 중국이 세계 최첨단 항모 보유국 대열에 올랐음을 보여준다.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푸젠은 이미 전 갑판 운영 능력을 확보했으며 독자 개발한 전자사출·착함 시스템이 다양한 함재기와 호환됨을 입증했다. 이로써 푸젠은 본격적인 작전 능력을 갖추고 실전 편제를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 중국은 랴오닝, 산둥에 이어 3척 체제를 곧 갖추게 되며, 원양 작전 능력이 크게 강화될 전망이다. 군사 전문가들은 J-35의 스텔스성과 제공권 장악 능력, J-15T의 고폭장 타격 능력, KJ-600의 장거리 조기경보 능력이 결합하면서 항모 전단의 원해 전투 능력이 비약적으로 향상됐다고 분석했다. 푸젠은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의 전자사출 기술을 안정적으로 적용한 항모로 평가되며, 중국이 근해 방어에서 원해 작전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 최신형 항공모함 푸젠(福建, Fujian)이 처음으로 남중국해에 진입해 시험 운항에 돌입했다. 이는 지금까지 진행된 해상 시험 가운데 가장 긴 항해로, 장거리 전개 능력과 호위함대와의 합동 작전 능력을 점검하는 단계로 평가된다. 13일 중국 해군에 따르면, 푸젠은 최근 대만해협을 거쳐 남중국해 임무 해역으로 이동했다. 해군 대변인 량궈웨이(冷国伟, Leng Guowei) 대좌는 “이번 항행은 건조 과정의 정례적 절차일 뿐 특정 대상을 겨냥한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푸젠은 이번까지 아홉 번째 해상 시험을 진행했으며, 방산 전문가 우페이신은 “호위함대와의 합동 능력 검증이 목표일 것”이라며 “신형 함재기 탑재도 임박했다”고 분석했다. 앞서 해군은 푸젠에서 전자기 catapult를 활용한 발진 시험 영상을 공개했고, 새 스텔스 전투기 J-35를 비롯한 함재기도 공개한 바 있다. 푸젠은 2022년 상하이에서 진수된 중국 최초의 전자기 catapult 탑재 항모로, 8만 톤급 이상 초대형 항모 체제 구축을 상징한다. 지난주 베이징 열병식에서는 J-35 스텔스 전투기, KJ-600 조기경보기, J-15DT 전자전기 등 푸젠 탑재 항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 해군의 항공모함 산둥함이 최근 원양 작전 중 외국 군용기의 근접 정찰 시도에 대응해 J-15 전투기를 긴급 출격시켜 격퇴했다고 중국 관영 매체가 19일 전했다. 군 채널 CCTV는 훈련 당시 전단 전체가 즉각적인 대응 태세를 갖추고, 항공모함 기반 전투 작전이 실시간으로 수행됐다고 밝혔다. 당시 산둥함의 비행 갑판에서는 장교와 수병들이 초단위 협업으로 전투기를 무장시키고 이륙시켰으며, 출격한 전투기들은 근접 비행 중이던 외국 군용기를 추적 끝에 철수시켰다. 이와 관련해 한 함대 장교는 “모든 지원 단계는 순간의 정밀성과 완벽한 정확성이 요구된다”며 긴박했던 당시 상황을 전했다. 공식 SNS 계정에 올라온 내용에 따르면, 이번 작전은 두 척의 항모 전단이 함께한 합동 훈련의 일환이었다. 산둥함은 야간에도 전투기를 발진시키는 등 고난도 임무를 수행했으며, 외국 군용기의 정찰과 감시 시도에 실시간 대응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군사전문가 장쥔서는 산둥함 전투기가 비정상 표적에 신속히 대응한 것은 지휘체계, 조종사, 장비 모두가 실전 태세를 갖추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그는 특히 “이번 훈련은 조기경보, 지휘통제, 전천후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 항공모함 ‘랴오닝(辽宁, Liaoning)’함이 사상 처음으로 제2열도선을 넘는 원해(遠海) 작전을 펼친 가운데, 중국 외교부는 일본 측의 공개에 정면으로 대응하며 “훈련은 국제법에 완전히 부합한다”고 강조했다. 9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린젠(林剑, Lin Jian) 대변인은 전날 정례 브리핑에서 일본 언론이 제기한 랴오닝함 훈련 관련 질문에 대해 “중국 해군 함정의 관련 수역 활동은 모두 국제법과 국제 관례에 따른 것”이라며 “중국은 시종일관 방어적 국방정책을 견지하고 있으며, 일본이 이를 객관적이고 이성적으로 바라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앞서 일본 방위성은 중국 해군 랴오닝함과 호위함 등 8척이 미나미토리시마(南鳥島) 남서쪽 약 300km 태평양 공해상에서 항공기 이착륙 훈련을 실시했다고 발표했다. 일본 언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이번 훈련이 랴오닝함이 제2열도선, 즉 오가사와라제도와 괌을 포함하는 지역을 넘은 첫 사례라고 분석했다. 중국 군사 전문가 푸첸샤오(傅前哨)는 환구시보(Global Times)와의 인터뷰에서 “항공모함이 먼 바다에서 훈련하는 것은 정상적이며, 제2열도선 바깥까지 진출한 것은 랴오닝함의 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