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미국이 펜타닐 제조·운송에 사형을 언급하자 중국은 “책임을 전가하지 말라”며 정면으로 반박했다. 이스라엘의 시리아 공습에도 “어떠한 긴장 고조 행위도 안 된다”며 중동 정세 불안에 경고 메시지를 날렸다. 18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린젠(林剑) 대변인은 전날 정례 브리핑에서 “펜타닐 문제는 철저히 미국 국내 문제”라며 “중국은 책임이 없고, 오히려 미국이 대화와 협력을 훼손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이 곧 펜타닐 범죄자에게 사형을 내릴 것”이라 주장한 데 대한 반응이었다. 린 대변인은 “중국은 이미 여러 차례 선의를 보였으나, 미국은 이를 무시하고 오히려 불합리한 관세를 부과했다”며 “이런 조치들은 중미 간 마약 통제 협력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진심으로 협력하고 싶다면, 사실을 직시하고 평등과 상호 존중의 자세로 대화에 임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리아를 겨냥한 이스라엘의 연쇄 공습에 대해서도 중국은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린 대변인은 “시리아의 주권과 영토 보전은 반드시 존중돼야 한다”며 “특히 중동 정세가 계속 불안정한 상황에서 어떤 긴장 고조 행위도 해서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미국이 주요 무역국에 향후 관세율을 서한으로 통보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중국 정부는 양국 정상 간 통화에서 이뤄진 합의를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4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마오닝(毛宁, Mao Ning)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방침 발표와 관련된 질문에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서는 중국의 관계 부처와 협의하길 바란다"고 답했다. 이어 마오 대변인은 "중국은 양국 정상 간 전화통화에서 도출된 주요 합의를 수호하고 실현하기 위해 미국 측이 구체적 조치를 취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노력이 중미 간 경제무역 관계의 건전하고 안정적인 발전을 촉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7월 4일 발표에서 "미국이 수입품에 적용할 관세율을 명시한 공식 서한을 10~12개 주요 교역국에 전달할 예정"이라고 밝혀, 사실상 무역 협상의 압박 수위를 끌어올렸다. 중국은 이와 같은 조치가 자국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두고 긴밀한 내부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고위층 역시 잇따라 미국과의 경제 대화의 중요성을 거론했다. 허리펑(何立峰,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