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중국과 한국 외교 수장이 처음으로 연결됐다. 왕이 외교부장은 조현 신임 장관과의 통화에서, 양국 관계가 제3국의 간섭 없이 안정적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28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통화는 한국 측 요청으로 진행됐으며, 양국 정상 간 소통 이후 이뤄진 첫 고위급 외교 접촉이었다. 왕 부장은 통화에서 "한중은 불가분의 협력 이웃이며, 전략 동반자 관계는 외부 압력에 흔들려선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이 한국에 대해 일관되고 예측 가능한 정책 기조를 유지해왔다고 강조하며, 한국 측 역시 유사한 태도를 취해줄 것을 요구했다. 또한 "중한은 서로의 경제에 깊이 얽혀 있으며, 생산·공급망의 분리나 탈동조화는 양국 모두에 손실이 될 것"이라며, 글로벌 공급망 안정 유지를 위한 공동 대응을 촉구했다. 중국은 아울러 한국이 하반기 주최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대해 전폭적인 지지를 표명했다. 조 장관은 "한중 전략 협력의 미래를 확장할 수 있는 기회"라며, 양국 간 고위급 외교 접촉을 더욱 정례화하고 자유무역협정(FTA) 협상도 가속하겠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역사 문제에 대한 인식 차이와 관련해서도 "정직한 태도
[더지엠뉴스] 한중일 통상장관 회의가 이달 29∼30일 서울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이번 회의는 2019년 12월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이후 5년 만에 재개되는 것으로, 자유무역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주요 의제다. 한국 측에서는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일본에서는 무토 요지 경제산업상이 참석할 예정이다. 중국 측 참석자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2019년 회의에서는 중국 상무부 부장이 대표로 나섰다. 이번 회의는 미국의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는 가운데, 동아시아 지역 내 자유무역 확대 필요성을 확인하는 자리로 평가된다. 교도통신은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다시 집권할 경우 관세 인상 등 무역 장벽이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며 "이에 대비해 한중일 3국이 공급망 안정과 자유무역협정(FTA) 강화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의 추진 가능성과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내에서의 협력 강화가 주요 의제로 떠오를 전망이다. 이번 회의는 동아시아 경제 협력에 있어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