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의 7월 경제 지표가 첨단 제조업과 신산업 성장세를 뚜렷이 보여주며 연간 성장 목표 달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산업 로봇·드론·스마트 장비 등 혁신 산업이 급성장했고, 서비스업과 수출도 확대세를 이어갔다. 16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7월 규모 이상 산업 부가가치는 전년 동월 대비 5.7% 증가했다. 특히 첨단 제조업은 9.3%, 장비 제조업은 8.4% 늘었다. 무인항공기 제조는 80% 급증했고, 차량용 스마트 장비는 21% 증가했다. 산업 로봇 생산량은 24%, 민간용 드론은 18.9% 늘어 지능형 제품 수요 확대를 반영했다. 푸링후이 대변인은 혁신과 산업 융합을 통해 고급화·지능화·친환경 전환을 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8일부터 베이징에서 열린 세계로봇대회와 세계휴머노이드로봇대회에는 16개국 500여 대의 휴머노이드 로봇이 참가해 첨단 제조 경쟁력을 부각시켰다. 내수도 꾸준히 회복세다. 1~7월 사회소비재 소매총액은 3조8,780억 위안(약 540조 원)으로 3.7% 증가했다. 서비스업 생산지수는 5.8% 올랐고, 정보전송·소프트웨어·IT 서비스는 11.9% 증가했다. 가전제품 교체 촉진 정책으로 가전 소매액은 30.4%
[더지엠뉴스]중국 경제가 미국과의 무역 갈등이 재점화된 가운데서도 예상보다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16일 발표된 중국 국가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은 31조8천758억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5.4% 증가했다. 이는 로이터와 블룸버그가 각각 예상한 5.1%와 5.2%를 상회한 수치이며, 지난해 4분기와 같은 수준을 유지한 것이다. 중국은 올해도 ‘5% 안팎’의 성장 목표를 설정하고, 내수 확대를 경제 정책의 핵심으로 삼았다. 국가통계국은 소비 진작 정책의 지속적인 효과로 소매판매가 4.6% 상승했다고 밝혔다. 특히 3월의 소매판매는 5.9% 증가해 1∼2월 수치(4.0%)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했으며, 로이터 전망치인 4.2%도 웃돌았다. 산업생산 역시 6.5% 증가했으며, 3월 한 달만 놓고 보면 7.7% 상승해 시장 기대치를 크게 초과했다. 성장을 이끈 주요 품목은 신에너지차(45.4%), 3D 프린팅 장비(44.9%), 공업용 로봇(26.0%) 등으로, 첨단산업 분야가 중심을 이뤘다. 고정자산 투자는 4.2% 증가했지만, 부동산 개발 투자는 9.9% 줄며 부동산 경기 침체는 계속됐다.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