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 정부가 내수 소비를 경제 성장의 중심축으로 재배치하는 대규모 전략을 가동했다. 산업·기술·문화 전반을 아우르는 소비 혁신 청사진이 제시되면서, ‘생산에서 소비로’의 경제 패러다임 전환이 본격화되고 있다. 27일 중국 국무원은 정례 정책 브리핑에서 《소비품 공급과 수요 적합성 강화 및 소비 촉진 실행방안》을 발표했다. 상무부, 공업정보화부(工信部), 문화관광부 등 3개 부처가 공동 참여한 이번 계획은 2027년까지 고품질 소비 생태계를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상무부 시장운영소비촉진사 양예(杨枿)는 “자동차 유통·소비 개혁 시범을 확대해 중고차 순환을 촉진하고, 개조·임대·캠핑·모터스포츠 등 자동차 후(後)시장을 활성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소비 전 과정에서 산업사슬을 잇는 새로운 시장 질서를 구축하겠다”고 전했다. 공업정보화부의 셰위안성(谢远生) 부부장은 “이번 정책의 핵심은 ‘양적 팽창’이 아니라 ‘질적 균형’”이라며 “기업이 ‘더 많이 생산하는 것’에서 ‘더 잘, 더 맞게 생산하는 것’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노년용품, 스마트 커넥티드카, 소비전자 등 3대 조(兆)위안급 산업과, 화장품·웨어러블·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가을의 빛이 완연한 경주에서 두 정상이 다시 손을 맞잡았다. 33년의 외교 여정 위에, 양국은 정치와 경제, 문화의 협력 지형을 새롭게 그리기 시작했다. 2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전날 경주박물관에서 이재명 대한민국 대통령과 회담을 갖고 중한 관계의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번 만남은 시 주석의 11년 만의 국빈 방문으로, 양국 관계를 한 단계 도약시키는 분기점이 됐다. 시 주석은 “중국과 한국은 떼어놓을 수 없는 이웃이자 불가분의 동반자”라며 “서로 다른 제도와 이념을 넘어 교류를 이어온 지난 33년의 경험이 그 사실을 증명한다”고 말했다. 그는 “양국이 손을 잡는 일은 양 국민의 근본 이익에 부합하고 시대가 요구하는 올바른 방향”이라고 강조했다. 시 주석은 신뢰를 축으로 한 장기적 협력의 틀을 제시했다. 양국이 서로의 제도와 발전 노선을 존중하며, 핵심 이익을 중시하고, 긴밀한 대화를 통해 이견을 조정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는 또한 외교와 경제, 안보 등 여러 채널의 소통을 상시화해 중한 관계를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관계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경제 분야에서는 호혜와 개방의 원칙이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