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32.0℃맑음
  • 강릉 33.9℃맑음
  • 서울 32.7℃맑음
  • 대전 32.8℃맑음
  • 대구 31.6℃맑음
  • 울산 31.0℃맑음
  • 광주 32.3℃맑음
  • 부산 31.5℃구름조금
  • 고창 33.1℃맑음
  • 제주 29.9℃구름조금
  • 강화 30.8℃맑음
  • 보은 30.5℃맑음
  • 금산 30.8℃맑음
  • 강진군 33.3℃맑음
  • 경주시 31.9℃맑음
  • 거제 29.1℃구름조금
기상청 제공

2025.07.27 (일)

60년을 속았다. 이 정도만 걸어도 암·치매...

1만보 아닌 새로운 건강 지표…과학적 근거로 신화 깨져

 

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하루 7000보만 걸어도 암과 치매를 포함한 주요 질환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금까지 건강 상식처럼 굳어진 1만보 기준이 과학적으로는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26일 BBC에 따르면, 호주 시드니대학교 찰스 퍼킨스 센터 연구팀은 국제 의학학술지 ‘랜싯 퍼블릭 헬스(Lancet Public Health)’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전 세계 성인 16만 명 이상의 건강 및 활동 데이터를 종합 분석했다. 하루 2000보 이하로 걷는 저활동군과 비교했을 때, 7000보를 걷는 사람은 심혈관 질환 위험이 25%, 치매는 38%, 우울증은 22%, 암은 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하루 4000보 수준의 비교적 적은 활동량도 일정 수준의 건강 개선 효과가 있으며, 대부분 질환에서 7000보 이상부터는 효과가 둔화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심장 건강에 있어서는 걷는 양이 많을수록 추가 이점이 확인됐다.

 

해당 연구를 주도한 멜로디 딩 박사는 “1만보를 반드시 걸어야 한다는 믿음은 과학적 근거가 없는 마케팅 유산”이라고 밝혔다. 이 1만보 기준은 1964년 일본에서 ‘만보계(萬歩計)’라는 만보기 제품이 출시되면서 퍼졌으며, 이후 ‘하루 1만보’가 건강의 상징처럼 굳어졌다고 설명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현재 성인에게 주 150분 이상의 중간 강도 유산소 운동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권장하고 있다. 딩 박사는 이 기준을 존중하면서도, 걸음 수 역시 활동량 측정의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브루넬대학교 다니엘 베일리 박사는 “이번 결과는 1만보에 도전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며 “일반 대중에게는 5000~7000보가 더 현실적인 목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포츠머스대학교 앤드류 스콧 박사는 “수치보다 중요한 것은 얼마나 더 자주 움직이느냐”는 점을 강조했다.

 

임페리얼칼리지런던의 아짐 마지드 교수는 고령자나 만성질환자에게도 적은 걸음 수가 의미 있는 건강 효과를 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청소나 정원 가꾸기처럼 일상에서 이뤄지는 활동도 충분히 유익한 신체 운동에 포함된다고 덧붙였다.



통찰·견해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