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국가발전개혁위원회(国家发展改革委, NDRC)는 국무원이 발표한 ‘인공지능+ 행동 심화 시행에 관한 의견’을 설명하며, 산업 전 분야의 지능화를 촉진하고 인공지능 응용 서비스 기업을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27일 NDRC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인공지능이 실험 단계를 넘어 가치 창출 단계로 진입하면서 산업 효율을 높이고 전요소 생산성을 끌어올리는 현실적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위원회는 인공지능이 경제·사회 전반에 구조적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 상황에서 전략적 인도와 정책적 조율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견’은 여섯 가지 중점 분야를 중심으로 ‘인공지능+’ 행동을 추진한다. 과학기술, 산업 발전, 소비 고도화, 민생 복지, 거버넌스, 국제 협력이 주요 축이며, 모델·데이터·연산능력·응용·개방·인재·제도·안전 등 여덟 가지 기반 체계를 뒷받침하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산업 전환을 촉진하고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를 확대하는 것이 목표다. 또한 제조·의료·교통·금융·에너지 등 핵심 영역에 국가급 인공지능 응용 중시(中试) 기지를 구축해, 공통 기술 문제 해결과 표준화·규모화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산학연 연계를 강화하고 인공지능 전
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화웨이 신제품 출시 기대와 무위안식품의 깜짝 실적이 A주 시장을 흔들었다. 가전과 축산업 관련주가 집단 급등하며 오후 장을 주도했다. 26일 증권시보에 따르면 상하이 종합지수는 장중 3,888선을 넘기도 했으나 0.39% 하락한 3,868.38로 마감했다. 선전 구성지수는 0.26% 상승했고, 차이넥스트 지수는 0.75% 내렸다. 이날 시장에서 2,800개 이상의 종목이 상승세를 보였다. 가전 부문에서는 화웨이 관련주가 장을 이끌었다. 화웨이 쿤펑 지수와 홍멍 지수가 모두 2% 이상 상승했고, 준이디지털과 에어로스페이스 그랜드비전은 상한가를 기록했다. 오는 27일 공개될 화웨이 AI SSD 신제품 출시 소식이 촉매가 됐다. 여기에 상하이자동차(SAIC)와 공동 개발한 ‘상제 H5’ 사전판매 개시도 호재로 작용했다. 이 차량은 ADS4 보조주행시스템, 192라인 레이저 레이더, 홍멍(Hongmeng) 콕핏 등 첨단 기술이 탑재됐다. 화웨이 클라우드 사업부의 대규모 구조조정도 시장의 이목을 끌었다. 화웨이는 일반 컴퓨팅, 지능형 컴퓨팅, 스토리지를 핵심으로 하는 “3+2+1” 체제로 재편하고, AI와 데이터베이스, 보안 역량을 집중 강
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배우 송하윤에게 학창시절 학교 폭력을 당했다고 주장한 남성이 100억원 규모 손해배상 소송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단순한 개인 간 갈등이 아니라 사회적 경고 차원의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26일 파이낸셜뉴스에 따르면 피해자라고 밝힌 A씨는 전날 온라인 커뮤니티에 글을 올려 “처음에는 분쟁으로 끌고 가려는 의도가 없었으나 송하윤 측이 제안을 거절해 소송을 준비하게 됐다”며 “정신적 고통, 명예훼손, 무고 피해 등 직접·간접적 피해를 모두 포함해 100억원 청구를 진행한다”고 주장했다. A씨는 지난해 4월 JTBC ‘사건반장’에 “2004년 고등학교 재학 시절 송하윤에게 90분간 뺨을 맞았다”고 제보한 바 있다. 이후 송하윤에게 보낸 DM과 소속사 관계자와의 메시지를 공개했다. 그러나 송하윤 측은 “일면식도 없는 사람”이라며 의혹을 부인했다. 송하윤 법률대리인 법무법인 지음은 지난달 A씨를 명예훼손과 업무방해 혐의로 형사 고소했다. A씨는 이번 민사 소송을 통해 “개인의 복수를 넘어 학폭 재발 방지와 공익적 경고가 목적”이라고 강조했다.
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A주 시장에서 현금 배당이 주류로 자리 잡으면서 ‘배당왕’ 기업들이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일부 기업은 상장 후 지급한 배당금 총액이 조달 자금의 수십 배를 넘어섰다. 22일 제일재경에 따르면, 윈드(Wind) 데이터 기준 전날까지 160개 상장사가 올해 중간 배당 계획을 공시했으며, 23개사는 21일 저녁에 발표했다. 무위안식품(牧原股份, Muyuan Foods)은 10주당 9.32위안(약 1,770원)을 배당해 총 50억 위안(약 9,485억 원) 이상을 지급하겠다고 밝혀 시장의 관심을 모았다. 지빗(吉比特, G-bits)과 푸야오글라스(福耀玻璃, Fuyao Glass)도 각각 주당 6.6위안(약 1,250원), 0.9위안(약 170원)을 배당한다고 공시했다. 배당 규모는 4억 7,400만 위안(약 899억 원), 23억 4,900만 위안(약 4,458억 원)에 달한다. 두 회사 모두 상장 이후 배당금 누적액이 조달액을 웃도는 사례다. 윈드 데이터는 배당금 대비 자금조달 비율이 가장 높은 상위 10개 기업으로 귀주마오타이(贵州茅台, Kweichow Moutai), 산시펀지우(山西汾酒, Shanxi Fenjiu), 닝후고속도로(宁
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유럽 정상들과 마주한 장면이 공개되자 유럽 내 반발이 거세다. 단순한 회동 사진이 아니라 외교 격식의 파격으로 비춰지면서 현지 언론과 온라인 공간에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21일 영국 인디펜던트에 따르면 지난 19일 백악관은 워싱턴 집무실에서 열린 다자 회동 장면을 소셜미디어에 공개했다. 사진 속 트럼프 대통령은 책상에 혼자 앉아 있었고,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 조르지아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총리,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알렉산데르 스투브 핀란드 대통령,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마르크 뤼터 나토 사무총장은 의자에 부채꼴로 둘러앉았다. 다수 정상이 모일 때 원형 테이블을 두고 상석을 없애는 것이 관례지만 이번 자리 배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홀로 상석에 앉은 모습으로 연출됐다. 영국 언론은 “마치 학생들을 꾸짖는 장면 같다”는 비판을 전했다. 백악관은 사진에 ‘힘을 통한 평화(Peace through strength)’라는 문구를 덧붙이며 “역사적 날”이라고 설명했지만, 유럽 온라인 공간에선 “숨 막히게 무례하다”,
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상하이 종합지수가 3,700선을 넘어섰다. 선전 구성지수와 차이넥스트 지수, 베이징 증권거래소 50 지수 등도 동시에 고점을 경신하며 중국 본토 주요 증시가 10년 만에 일제히 최고치를 기록했다. 거래대금은 며칠 연속 2조 위안(약 384조 원)을 돌파했고, 전체 시가총액은 처음으로 100조 위안(약 1경 9,200조 원)을 넘어섰다. 20일 제일재경에 따르면, 이번 랠리는 과거 레버리지나 단기 테마 장세와 달리 정책, 자금, 밸류에이션이라는 세 가지 구조적 요인이 맞물린 결과다. 중국 정부는 “성장 안정”과 “개혁 촉진”을 양축으로 한 정책 패키지를 가동하고 있다. 상반기 인프라 투자는 전년 대비 8.2% 증가해 건설기계와 건자재 수요를 키웠고, 신인프라 및 신에너지 분야가 재정 지원의 핵심으로 떠올랐다. 통화 측면에서도 M1 증가율이 7월 5.6%로 반등하며 기업 요구불 예금이 회복세를 보였고, 이는 실물과 자본시장에 우호적 환경을 조성했다. 등록제 개혁은 자원 배분을 규모 중심에서 질 중심으로 바꾸며 과학기술혁신판과 베이징거래소를 통해 첨단 기업에 직접 자금조달 통로를 열어주었다. 자금 유입은 시장 모멘텀을 더욱 강화했다. 7
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영국에서 신생아 7명을 숨지게 한 전직 간호사 루시 렛비(35)가 교도소에서 15분마다 상태 점검을 받으며 보호되고 있다. 19일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서리주의 교도소에 수감된 렛비는 동료 수감자들의 공격 위험 때문에 교도관들이 24시간 교대로 감시한다. 범죄가 다큐멘터리로 공개된 이후 조롱과 위협이 더 거세졌다는 설명이다. 렛비는 2015년 6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체스터 백작 부인 병원 신생아실에서 근무하며 남아 5명과 여아 2명을 살해했다. 그는 신생아들에게 공기를 주입하거나 우유를 강제로 먹였고, 두 명은 인슐린 중독으로 숨졌다. 피해자 중에는 미숙아와 쌍둥이도 포함됐다. 2018년 체포 당시 그의 집에서는 범행을 인정하는 자필 메모가 나왔다. “아기들을 일부러 죽였다. 나는 끔찍하고 악한 사람이다”라는 문구가 담겨 있었다. 사건 당시 한 어머니가 아기를 공격하는 장면을 목격했을 때도 그는 “나는 간호사예요”라며 태연히 대응했다. 영국 법원은 2023년 렛비에게 신생아 7명 살해와 8명 살해 미수 혐의로 가석방 없는 종신형을 선고했다.
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1990년대 홍콩 액션 영화를 상징하던 이연걸(李连杰, Li Lianjie·62)이 병상 사진을 공개하며 건강 논란과 사망설을 직접 잠재웠다. 19일 중국 매체 중화망에 따르면 그는 지난 16일 웨이보에 입원 당시 사진을 올리며 “예상치 못한 시련을 겪었지만 지금은 회복 중”이라고 밝혔다. 공개된 영상에는 이동식 침대에 실려 병실로 향하는 장면이 담겼고, 그는 “하드웨어에 문제가 생겨 수리했다. 큰 걱정은 필요 없다”는 농담 섞인 글도 남겼다. 현지 매체와 지인에 따르면 진단은 양성 종양으로, 수술 후 상태는 안정적이다. 이연걸은 퇴원 직후 식사하는 사진을 추가로 올리며 “걱정해줘서 감사하다. 모두 건강하고 평안하길 바란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이연걸은 1982년 영화 ‘소림사’로 데뷔해 ‘황비홍’, ‘동방불패’, ‘보디가드’로 홍콩 액션의 황금기를 이끌었다. 2000년대에는 할리우드에서 ‘로미오 머스트 다이’, ‘익스펜더블’ 시리즈에 출연하며 세계적 인지도를 쌓았다. 그러나 2010년 갑상선 기능 항진증 진단과 척추·다리 부상으로 긴 공백을 겪었다. 최근 그는 14년 만의 복귀작 ‘표인: 풍기대막’ 촬영을 마쳤다.
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상하이가 국자모펀드를 앞세워 미래산업 육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불과 넉 달 사이에 두 차례 대규모 결정을 내리며 12개 자펀드에 자금을 집행했다. 18일 화샤스바오에 따르면, 지난 14일 열린 투자결정위원회에서 상하이 미래산업펀드는 푸칭번차오(浦清本草, Puqing Benchao), 비린싱 4기(比邻星, Bilinxing), 첸지캉루이(千骥康睿, Qianji Kangrui), 카이펑카이싱(凯风开兴, Kaifeng Kaixing), 딩펑웨이라이넝위안(鼎峰未来能源, Dingfeng Weilai Nengyuan), 무셴치항하이허(无限启航海河, Wuxian Qihang Haihe) 등 6개 창업투자 기업에 출자를 승인했다. 이로써 4월에 확정된 6개와 합쳐 12개 자펀드가 완성됐다. 상하이 미래산업펀드는 2024년 설립됐으며 총 규모는 100억 위안(약 1조9천억 원)이다. 전액 시 재정이 출자했고, 상하이궈터우가 주도해 운영한다. ‘투자 시기를 앞당기고, 소규모로 나눠 하드테크에 집중한다’는 원칙 아래 직접투자와 자펀드 투자를 병행하는 구조를 갖췄다. 만기는 15년이며, 필요할 경우 3년 연장도 가능하다. 이번 두 번째 투자 라운드에서
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홍콩 증시에서 신생 제약사 이누오제약(Yinuo Pharmaceuticals)이 상장 첫날 주가가 206% 폭등하며 시가총액 260억 홍콩달러(약 4조4천억 원)를 돌파했다. 올해 가장 주목받는 IPO 중 하나로 꼽히며 체중 감량제 관련주 전반에 매수세가 몰렸다. 16일 증권타임즈에 따르면 이누오제약은 공모 단계에서 25만6천 건이 넘는 청약을 받아 5,341.6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핵심 제품인 에수파글루타이드 알파(esupaglutide α)는 중국에서 승인받은 인체 유래 지속형 GLP-1 수용체 작용제로, 올해 1월 제2형 당뇨병 치료제로 시판 허가를 받았다. 현재 비만·과체중 치료용 임상 2b/3상도 진행 중이다. 이누오제약 주가 급등은 페이지 바이오파마슈티컬스(Page Biopharmaceuticals·32.45% 상승), 아스클레티스 파마슈티컬스(Ascletis Pharmaceuticals·13.72% 상승) 등 다른 GLP-1 관련 종목도 끌어올렸다. 중국 지우위안진(Jiuyuan Gene)과 이노벤트 바이오로직스(Innovent Biologics)도 각각 23%, 1.66배 상승했다. A주 시장에서는 보루이제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