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 15.1℃흐림
  • 강릉 15.7℃흐림
  • 서울 16.5℃흐림
  • 대전 19.4℃흐림
  • 대구 19.1℃흐림
  • 울산 19.5℃흐림
  • 광주 22.1℃흐림
  • 부산 21.7℃흐림
  • 고창 23.2℃구름많음
  • 제주 26.3℃맑음
  • 강화 15.4℃흐림
  • 보은 18.0℃흐림
  • 금산 19.7℃구름많음
  • 강진군 23.0℃흐림
  • 경주시 18.6℃흐림
  • 거제 21.8℃흐림
기상청 제공

2025.10.26 (일)

중국

전체기사 보기

중국 4중전회 폐막, 15차 5개년 계획 청사진 확정

고품질 발전과 위험대응 강화, 사회주의 현대화 가속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 공산당 제20기 중앙위원회 제4차 전체회의(4중전회)가 23일 베이징에서 폐막하며, ‘국가경제·사회발전 제15차 5개년 계획(2026~2030년)’에 대한 권고안을 공식 채택했다. 회의는 향후 5년간 중국이 사회주의 현대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전략적 방향과 구체 목표를 확정지었다. 24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회의는 시진핑 총서기의 보고와 정치국의 업무 평가, 15차 5개년 계획 초안 설명을 청취하고 이를 전면 채택했다. 회의는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이 주재했으며, 시진핑 총서기가 여러 차례 중요 연설을 진행했다. 이번 권고안은 향후 5년을 ‘중국식 현대화의 토대 구축기’로 규정하고, 2035년 사회주의 현대화의 기본 실현을 위한 중간 목표를 제시했다. 이번 권고안의 핵심은 고품질 발전, 과학기술 자립, 개혁 심화, 문화·윤리 진전, 민생 개선, 생태문명 강화, 국가안보 체계 고도화 등 일곱 가지로 요약된다. 23일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공보에 따르면, 중국은 14차 5개년 계획(2021~2025년) 기간 동안 주요 목표 달성을 눈앞에 두고 있으며, 15차 계획은 이를 계승해 산업구조 현대화, 실물경제 기반 강화, 신질적 생산력

中, 다카이치 새 일본 총리 축전 여부에 “외교 관례에 따라 적절히 조치”

궈자쿤 대변인 “중·일은 이웃…4대 정치문서 원칙 준수해야”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 외교부가 다카이치 사나에(高市早苗, Sanae Takaichi) 일본 신임 총리 취임과 관련해 축전을 보낼지 묻는 질문에 “외교 관례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 중국은 양국 관계에 대한 기본 입장은 명확하고 일관되며,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관계를 발전시키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23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궈자쿤(郭嘉昆, Guo Jiakun)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과 일본은 가까운 이웃이며, 중국의 대일 관계 입장은 항상 명확하고 일관됐다”고 말했다. 이어 “일본이 중국과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기를 희망하며, 양국이 체결한 4대 정치문서의 원칙을 준수하고, 역사 문제와 타이완 문제 등 주요 현안에서 정치적 약속을 성실히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러한 원칙을 지키는 것이 양국 관계의 정치적 기반을 공고히 하고, 전략적 호혜 관계를 전면적으로 추진하는 길”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발언은 다카이치 총리가 보수적 안보정책과 대중 강경노선으로 알려진 인물이라는 점에서, 중국이 초기 외교 메시지를 신중히 조율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국은 일본 새 내각 출범 이후에도 실용적 대화를 유지하면서, 역사·주권

선전, 20조 위안 시대 연다…대규모 인수합병 정책 가동

첨단 제조·AI·바이오 중심 ‘20+8 산업군’ 육성 총력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선전시가 기업 인수합병(M&A) 시장을 본격적으로 재가동하며 대형 산업 재편에 나섰다. ‘2025~2027년 선전시 인수합병 고품질 발전 행동계획’이 발표되면서, 상장사 총 시가총액 20조 위안(약 3,980조 원) 돌파를 목표로 한 초대형 정책이 공식화됐다. 23일 중국 선전시 금융관리국에 따르면, 이번 정책은 상장사의 우량 자산 편입과 구조조정 촉진을 핵심으로 하며, 첨단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20+8’ 전략 신흥 산업군과 미래 산업 발전을 집중 지원한다. 계획에는 10대 핵심 과제가 담겼고, 2027년까지 누적 인수 프로젝트 200건 이상, 총 거래 규모 1,000억 위안(약 199조 원) 이상을 달성한다는 목표가 제시됐다. 정책의 핵심은 산업 융합과 기술력 강화를 위한 실질적 인수합병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는 산업의 깊이, 기술의 높이, 생태의 폭을 모두 아우르는 구조적 변화를 이끌 전략”이라며 “미국의 애플,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처럼 기술 혁신을 M&A로 가속하는 모델을 중국식으로 구현하려는 시도”라고 분석했다. 특히 반도체, 인공지능(AI), 신에너지, 바이오의약 등 전략 신산업 분야에서 ‘체인

저우제룬, 2천300만 위안 가상자산 논란…실종설 친구에 공개 경고

연예인 자산·가상자산 분쟁, 소셜 공개 경고와 법적 공방 조짐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음악과 가족 일상을 공유하던 저우제룬(周杰伦, Zhou Jielun)이 돌연 소셜미디어에서 옛 친구를 찾아 나섰다. 그는 마술사 친구 차이웨이저(蔡威泽, Cai Weize)를 향해 “재등장하지 않으면 끝”이라는 취지의 강한 경고를 잇달아 게시했고, 곧바로 팔로우를 끊으며 관계 균열 신호를 드러냈다. 23일 디이차이징(第一财经, Di Yi Caijing)에 따르면, 현지 보도는 사건 배경에 거액의 가상자산 위탁운용 문제가 놓여 있다고 전했다. 복수 매체에 의하면 저우제룬은 몇 해 전 차이웨이저에게 비트코인 운용을 맡겼는데, 규모는 1억 신타이완달러(약 420억 원)로 추산되며 위안화로는 2천300만 위안(약 430억 원)에 해당한다는 설명이 붙었다. 최근 차이웨이저의 장기 잠적설이 불거지자 저우제룬은 “여러 변명에 믿음을 줬다. 제대로 마무리하라. 다시 나타나지 않으면 끝”이라는 메시지를 공개했으며, 이후 두 사람의 소셜 계정 연결도 끊긴 정황이 포착됐다. 회사 차원으로 번진 조짐도 나왔다. 저우제룬의 소속사 제웨얼인위에(杰威尔音乐, Jie Weier Yinyue)는 제3자로부터 채권 관련 통지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고, 차이웨이저가

中 희토류 수출 통제 “유럽 보호무역주의에 단호히 반대”

中-EU ‘긴급회의’ 추진, 무역 긴장 속 자원외교 전면전 예고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이 희토류(稀土) 수출 관리 조치를 둘러싼 유럽연합(EU)과의 갈등에 정면 대응하며 “협의는 환영하지만 보호무역주의는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양측이 브뤼셀에서 긴급회의를 추진하면서, 세계 공급망의 핵심 자원인 희토류를 둘러싼 무역 긴장이 새로운 외교 전선으로 부상하고 있다. 23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전날 브리핑에서 프랑스 AFP 기자가 “EU 집행위원회가 중국 상무부 왕원타오(王文涛, Wang Wentao) 부장과의 화상 회담 후 브뤼셀에서 긴급회의를 열기로 했다”고 묻자, 궈자쿤(郭嘉昆, Guo Jiakun) 대변인은 “중국 관련 부처가 이미 성명서를 발표했다”며 사실을 확인했다. 그는 “중국과 유럽의 경제 관계는 본질적으로 상호보완적이고 상생적”이라며 “유럽이 자유무역의 원칙을 지키고, 보호무역주의를 배격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또 “중국의 희토류 정책은 자국의 합법적 산업 이익과 세계 공급망의 안정을 함께 고려한 조치”라며 “세계무역기구(WTO) 규범에 따라 모든 국가에 공정하고 투명한 환경을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마로슈 셰프초비치 EU 무역·경제안보 담당 집행위원은 전날 “양측이 희토류 수출 통제를 논

농업은행 14일 연속 상승, A주 에너지주 강세 지속

은행·에너지 동반 상승, 성장주 조정 속 ‘가치 회복’ 신호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A주 시장이 완만한 등락을 이어가는 가운데, 농업은행이 사상 처음으로 14일 연속 상승하며 금융주 랠리를 주도했다. 동시에 셰일가스와 석유 관련 종목이 강세를 보이며 에너지 산업 전반의 상승세가 이어졌다. 22일 중국 증권시보(证券时报)에 따르면, 이날 상하이종합지수와 선전성분지수는 약보합세를 보였으나, 상하이50과 북증50은 소폭 상승했다. 거래액은 1조6,900억 위안(약 3,420조 원)으로 최근 두 달 반 새 최저치를 기록했다. 시장에서 셰일가스, 은행, ST, 인조육 관련 종목이 활발한 반면, 귀금속·소비전자·군수산업 등은 약세를 보였다. 기계설비 업종에는 500억 위안(약 10조 원), 은행에는 430억 위안(약 8.7조 원)의 자금이 유입된 것으로 집계됐다. 농업은행은 이날도 14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며 주가가 사상 처음 8위안(약 1,620원)을 돌파했다. 이는 상장 이후 최장기간 상승 기록으로, 은행업지수 역시 10거래일 연속 상승해 2개월 만에 최고 수준에 근접했다. 민생은행, 평안은행, 상하이은행 등 주요 상장 은행 8곳이 중기 배당을 마쳤으며, 공상은행·농업은행·중국은행·건설은행 등 4대 국유은행은 총




통찰·견해


포토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