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동풍자동차가 멍시 브랜드를 전면에 내세우며 화웨이와 손잡고 지능형 오프로드 차량 사업을 확대한다. 합작법인은 자본금 84억7천만 위안(약 1조6천억 원) 규모로, 멍시 상표권과 독점 주행기술 자산이 포함됐다. 18일 제일재경에 따르면, 생산 거점은 샹양(襄阳, Xiangyang), 우한(武汉, Wuhan), 스옌(十堰, Shiyan) 등으로 나뉘어 차종별로 특화 운영된다. 샹양은 경형, 우한은 대형 승용 오프로더에 집중하며, 기존 닛산 인피니티 라인을 대체하게 된다. 신설 법인은 정부 지도와 기업 주도의 산업 협력 모델을 채택하고, 독립적인 의사결정 구조와 유연한 경영 방식을 도입할 예정이다. 업계 소식통은 동풍그룹의 민영화 추진과 신에너지 전환 가속화 흐름 속에서 이번 합작법인이 신흥 전력 브랜드와 유사한 운영 체계를 갖추게 될 것이라 전했다. 화웨이는 IPD·IPMS 등 내부 관리 프로세스를 개방해 차량 개발·마케팅 전반을 지원하고, 동풍은 이를 바탕으로 ICT 융합형 자동차 기업으로 도약을 시도한다. 이번 협력은 GAC와 화웨이 합작 모델과 유사하게, 단순한 부품 공급을 넘어 스마트카 생태계 구축을 겨냥한 심화 협력으로 평가된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상무부(商务部, Shangwubu)를 포함한 9개 부처가 서비스 소비를 전면적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종합 대책을 내놨다. 이번 문건에는 플랫폼 조성, 고품질 서비스 공급, 새로운 성장 모델, 금융 지원, 통계 시스템 개선 등 5대 분야 19개 세부 조치가 담겼다. 18일 중국 정부에 따르면, 이러한 정책은 내수 확장과 생활 서비스 전환을 뒷받침하는 데 집중돼 있다. 세부 내용을 보면, 우선 전국적인 ‘서비스 소비 시즌’을 정례화해 소비 분위기를 조성하고, 유명 IP와 협업한 융합형 소비 공간을 적극 늘리기로 했다. 인터넷·문화·교육·의료 등 서비스업의 대외 개방 폭을 키우고, 극장·박물관·미술관·과학기술관 같은 공공 인프라 확충에도 투자가 이어진다. 지역 상황에 맞춰 박물관·명승지의 운영시간을 늘리고 예약 절차를 단순화하며, 무예약 입장을 권장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국제적 흐름을 겨냥한 조치도 눈에 띈다. 외국인의 중국 방문을 늘리기 위해 무비자 제도를 확대하고, 우수 인재에게는 5년 복수비자를 발급한다. 중국 유학 브랜드 강화, 전통 음식과 중의약, 문화유산을 활용한 관광 상품 개발도 추진된다. 디지털 전환과 맞물려 온라인·오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미국에서 틱톡 사용 금지 시한이 미뤄질 수 있다는 보도가 나오자, 중국은 정상 간 외교의 전략적 의미를 강조하며 대응했다. 외교부는 틱톡 문제는 이미 관련 부처가 설명을 제공했다면서도, 고위급 소통이 미중 관계에서 갖는 중요성을 부각했다. 17일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린젠(林剑, Lin Jian)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미중 정상 통화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정상 외교는 양국 관계에서 대체 불가한 전략적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틱톡 관련 사안은 중국의 해당 부처가 이미 필요한 정보를 공개했다”며 추가 언급을 피했다. 그는 미중 간 고위급 교류와 정상 간 직접 소통이 현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채널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틱톡 문제를 둘러싼 미국 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가운데, 중국은 해당 사안을 단일 기업 이슈가 아닌 양국 관계 전반의 맥락 속에서 다루려는 태도를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