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29일 중국 외교부 마자오쉬(马朝旭, Ma Zhaoxu) 부부장은 베이징에서 열린 전승 80주년 기자회견에서 한반도 정세를 포함한 지역 현안에 정치적 해결이 필요하다며 중국이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이 아시아 안보 모델로 대화와 협상을 통한 분쟁 조정,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면서 공동 번영을 추구하는 방식을 제안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진핑 국가주석이 주변국을 외교 전략의 최우선 위치에 두고 있으며, 18차 당대회 이후 첫 방문지는 언제나 주변국이었다고 강조했다. 중앙주변공작회의에서 시 주석이 제시한 ‘주변 운명공동체’ 구상이 언급되면서, 중국이 주변 외교의 노선과 목표를 명확히 설정했다는 점도 부각됐다. 마 부부장은 이를 통해 지역의 평화·안정과 발전을 촉진하는 데 중국이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전승절 80주년 기념행사에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포함해 26개국 정상급 인사가 참석할 예정이다. 국제무대에서 중국이 중심적 외교 무대를 마련하고 있다는 점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마 부부장은 또한 미국이 유네스코와 파리기후협정에서 탈퇴한 점을 거론하며 “소수 국
[더지엠뉴스]중국 정부가 미국의 관세전쟁에 대응해 브릭스(BRICS) 국가들과의 전략적 공조를 강화하고 나섰다. 21일 중국 정부와 매체에 따르면, 마자오쉬(马朝旭, Ma Zhaoxu) 외교부 부부장 겸 브릭스 국가 사무 조정관은 이날 베이징에서 브릭스 회원국 및 파트너국 주중 외교단과 집단 회견을 진행했다. 마 부부장은 미국의 글로벌 관세 남용과 무역전 전개를 “전형적인 일방주의, 보호주의, 경제적 강압”으로 규정하며, 이는 국제사회의 정당한 권익을 침해하고 세계무역기구(WTO) 규범에 대한 중대한 도전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미국의 관세전쟁은 글로벌 경제 질서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며, 브릭스 국가들이 단결해 다자무역체제의 기본 원칙을 수호하고, 국제 공정성을 지켜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브릭스 플랫폼에 대한 평가도 함께 제시됐다. 그는 “브릭스는 신흥시장과 개발도상국 간 협력의 핵심적 축이며, 단결을 통해 공동의 이익을 지켜낼 수 있는 중요한 구조”라고 밝혔다. 중국의 대응은 단순한 반격을 넘어 국제 규칙과 공정성 회복을 위한 조치라는 점도 분명히 했다. 마 부부장은 “중국의 조치는 자국의 권익을 방어하는 동시에 글로벌 남방국가들의 발전 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