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국제 금 가격이 4000달러(약 540만 원) 선 아래로 밀리며 단기 조정 폭을 키웠다.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일시적 변동성을 전제하면서도 내년 5000달러(약 675만 원) 재돌파 가능성을 제시했다. 28일 로이터와 세계금협회(WGC)에 따르면, 현물 금은 전장 대비 약세를 보이며 온스당 3991달러(약 539만 원) 내외에서 거래됐고, 선물도 약세 흐름을 같이했다. 이달 초 사상 처음 4000달러를 넘긴 뒤 20일에는 4381달러(약 591만 원)까지 치솟았지만, 일주일 남짓한 사이 낙폭이 커지며 과열 해소 구간으로 접어들었다. 니콜라스 프래펠 ABC 정련소는 가격이 3700달러(약 500만 원) 부근까지 내려왔다가 재차 고점을 시험할 수 있다고 말했다. 폴 피셔 LBMA 의장은 급등 구간에서 쌓였던 투기적 포지션 청산이 진행되며 거품이 걷히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존 리드 WGC는 일부 투자자들이 3500달러(약 473만 원)대를 합리적 가격대로 보며, 역사적으로 여전히 높은 수준임을 지적했다. 장기 전망의 배경에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기대와 달러 약세 시그널이 있다. 실질금리 하향은 무이자 자산인 금의 상대 매력을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미국과 중국의 포괄적 무역협상 기대가 커지면서 금 현물 가격이 급락해 온스당 4,000달러(약 560만 원) 아래로 밀렸다. 시장은 위험자산 선호로 기울고, 안전자산에서 이탈하는 자금 흐름이 가속하는 양상이다. 28일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장중 금 현물은 3%대 하락을 기록했고 파생시장에서 레버리지 상품의 손익 변동성도 확대됐다. 최근 20일에는 온스당 4,380달러(약 613만 원)로 사상 최고를 찍은 뒤 차익 실현과 포지션 청산이 이어졌다. 한국 시각으로 30일 예정된 미중 정상회담을 고리로 통상 마찰 완화 기대가 커지며 달러 강세 완화와 주식 변동성 축소가 동반됐다. 세계금협회는 각국 중앙은행의 순매수 속도가 둔화한 점을 짚었고, 일부 매크로 펀드는 물가와 실질금리의 단기 궤적을 근거로 금 비중을 기술적으로 축소했다. 현물과 선물의 베이시스는 급격히 좁혀졌고, 현물·선물 간 차익거래 규모도 줄었다. ETF 시장에선 금 현물 추종 상품의 자금 유출이 포착됐고, 반대로 광범위 지수형·AI 반도체 테마형으로의 환승 매수가 관측됐다. 유럽에서는 장기물 금리 변동 속에 금 가격 민감도가 커졌고, 미국에선 연준의 소폭 금리 인하 관측이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이 7월에도 금을 매입하며 9개월 연속 보유량을 늘렸다. 반면 달러화 강세로 외환보유액은 소폭 줄었지만, 당국은 준비자산 구조의 안정성을 강조하고 있다. 8일 국가외환관리국 자료에 따르면, 7월 말 기준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3조2,922억 달러(약 4,570조 원)로 전월보다 252억 달러, 0.76% 감소했다. 달러지수는 같은 기간 3.2% 상승했고, 이에 따라 엔화·유로·파운드 등 주요 비(非)달러 통화가 일제히 약세를 보이며 달러화로 환산한 외환보유액이 줄었다. 같은 시점 금 보유량은 7,396만 온스로 전월 대비 6만 온스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이후 9개월 연속 확대이며, 증가폭은 다섯 달째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현물 금 가격은 이날 장중 한때 온스당 3,390달러를 돌파했고, 뉴욕상품거래소(COMEX) 금 선물은 3,395.5달러에 마감했다. 전문가들은 미국 새 정부 출범 이후 지정학·경제 환경 변화로 안전자산 선호가 이어지며 금값이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세계금협회가 발표한 2025년 중앙은행 금 보유 조사에 따르면, 응답한 중앙은행의 95%가 향후 1년 내 금 보유를 늘릴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