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완식 기자 | 초반 강한 매수세가 소비전자 전반으로 번지며 시장의 주목을 끌었다. 개별 종목의 급등이 단순한 수급 변화가 아니라 정책 흐름과 맞물린 구조적 움직임이라는 해석이 힘을 얻고 있다. 27일 중국 정부 매체에 따르면, 국무원 관련 부처는 소비품목 혁신과 교체 수요 확대 방안을 설명하는 정례 브리핑을 열고 스마트가전, 착용형 기기, 서비스형 로봇, 드론 등 신형 제품군의 공급 확대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장 초반 소비전자 종목이 강하게 치솟으며 시장 분위기를 이끌었다. 코스닥과 홍콩시장까지 동반 상승 흐름을 보였고, 특히 인공지능 기능을 결합한 단말기와 생활밀착형 전자제품을 둘러싸고는 거래량이 빠르게 늘었다. 오전 개장 직후 유통·영상장비 업체들이 일제히 상한선에 근접했고, 일부 기업은 불과 몇 분 사이 급등세가 이어지며 매수 대기 물량이 쌓였다. 전날 말미부터 나타난 저가 매수세가 이날 초반 강하게 이어진 모습으로, 온라인 유통 기업과 콘텐츠 서비스 업체까지 오름세로 동참했다. 현물 소비와 연관된 식품, 생활 필수품 종목의 단기 강세도 눈에 띄었다. 축산·가공 분야 일부 종목은 개장 후 즉시 상단에 근접했고, 홍콩시장에서는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 국무원이 인공지능 확산을 국가 전략의 핵심에 올려놓았다. 2027년까지 보급률을 70%, 2030년에는 90%로 끌어올려 경제의 새로운 주축으로 삼겠다는 목표다. 27일 중국 정부에 따르면 이번 ‘인공지능+’ 행동계획은 과학기술, 산업 발전, 소비, 민생, 거버넌스, 국제협력 등 여섯 영역을 중심으로 추진되며, 국가발전개혁위원회가 조율을 맡는다. 데이터와 산업 기반, 광범위한 응용 환경을 활용해 산업 고도화와 신성장 동력 창출을 동시에 노린다는 구상이다. 계획은 연구개발 단계에서 인공지능이 새로운 과학 연구 방식을 이끌도록 하고, 기업이 전략과 조직, 운영 전반에 이를 도입해 구조 혁신을 촉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제조, 의료, 금융, 교통, 에너지 등 주요 산업에 국가 차원의 시범기지를 설치해 표준화와 대규모 응용을 앞당기고, 성과를 다른 산업으로 빠르게 확산시키는 방안도 포함됐다. 스마트카, 인공지능 스마트폰, 로봇, 스마트 가전, 웨어러블 등 차세대 단말 생태계를 조성하는 목표도 명확히 했다. 의료와 보험 서비스에서는 기초 의료 수준 향상에 인공지능을 활용하고, 건강 관리와 진료 보조 영역까지 확대해 주민 생활 편의를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이 제14차 5개년 계획 기간(2021~2025년) 동안 디지털 인프라와 핵심 기술 혁신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연산능력 세계 2위에 올랐다. 14일 류례홍(刘烈宏, Liu Liehong) 국가데이터국장은 기자회견에서, 6월 말 기준 중국의 5G 기지국은 455만 개, 기가급 광대역 사용자는 2억2600만 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 같은 인프라 확충이 경제·사회 전반의 발전을 견인했다는 설명이다. 주요 디지털 분야에서의 기술 자립도 강화도 두드러졌다. 집적회로 산업은 설계·제조·패키징·테스트·장비·소재를 아우르는 완전한 산업 사슬을 구축했고, 자국 개발 운영체제인 홍멍OS(鸿蒙OS, HarmonyOS)는 스마트폰, 자동차, 가전 등 1,200여 제품군의 11억9천만 대 이상에 탑재됐다. 인공지능(AI) 분야에서는 세계 AI 특허의 60%를 보유하며 종합 역량을 높였다. 데이터 산업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했다. 2024년 말 기준 관련 기업 수는 40만 개를 넘었고, 산업 규모는 5조8,600억 위안(약 817조 원)으로 제13차 5개년 계획 말 대비 117% 확대됐다. 디지털 경제 성장은 100여 개의 신규 직종을 탄생시켜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