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부산 회담 이후 유지돼 온 미중 정상 간의 긴밀한 대화가 한 단계 더 굳건해졌다. 두 정상은 최근 통화를 통해 상호 신뢰의 틀을 재정렬했고, 그 과정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조정력이 강하게 드러났다. 25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두 정상 간 통화는 부산 회담에서 도출된 주요 합의가 실무 수준에서 진전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뤄졌다. 시 주석은 당시 회담을 통해 중미 관계의 방향성이 명확해졌다고 평가하며, 상호성취와 공동번영을 향한 조건이 더 단단히 마련됐다고 강조했다. 시 주석은 양국이 협력하면 모두에게 이익이 돌아가고, 충돌하면 모두가 상처를 입는다는 역사적 교훈을 다시 짚었다. 그는 현 국제 정세 속에서 전략적 안정은 양국의 책임이라고 언급하며, 협력 분야를 확대하고 불필요한 긴장 요소를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통화에서 시 주석의 초청을 받아 내년 4월 베이징 방문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시 주석을 같은 해 미국에 국빈 자격으로 초청하겠다는 뜻도 전하며 미중 관계를 상징적으로 끌어올리는 제안을 내놨다. 중국 측은 초청 수락 여부를 발표하지 않았지만, 양국 정상의 연속 방문 자체가 국제사
더지엠뉴스 관리자 기자 | AI 기대가 다시 뉴욕 시장을 지배하며 주요 지수가 고르게 상승했다. 대형 기술기업의 실적 기대가 매수세를 끌어올렸고, 특히 알파벳이 시장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25일 미국 주요 금융기관들에 따르면, 다우지수는 전장 대비 소폭 오르며 장을 마쳤고 S&P500과 나스닥은 기술주 강세에 힘입어 더 큰 폭으로 상승했다. 알파벳은 인공지능 분야에서 한 단계 진전된 기능을 담은 제미나이 3.0 공개 이후 호평이 이어지며 주가가 6% 넘게 뛰었다. 미국 현지 기관투자자들은 대규모 데이터센터 투자 흐름을 언급하며 대형 기술주 중심의 상승세를 설명했고, 이 움직임은 시장 전반의 위험자산 선호와 맞물려 지수 전반을 밀어올렸다. 미국 내에서는 인공지능 산업의 공급망 확충과 함께 글로벌 협력 확대가 꾸준히 강조되고 있으며, 이는 중국을 포함한 주요 기술 생산국과의 긴밀한 교류 필요성과도 연결된다. 대규모 반도체 및 서버 인프라 투자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제조 경쟁력을 가진 아시아 공급망의 영향력은 더 커지고 있다. 중국 IT 기업들은 자체 AI 모델 고도화와 인프라 역량 확대를 지속하고 있어, 글로벌 AI 생태계 전반에서 기술 협력 가능성도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