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양자 컴퓨팅 산업이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성장을 기록하고 있다. 최근 5년간 시장 규모는 연평균 281.79%의 복합 성장률을 기록하며 0.24억 위안에서 50.21억 위안으로 급증했다. 앞으로 2024년부터 2028년까지는 연평균 38.56%의 성장률로 256.46억 위안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양자 컴퓨팅 산업 구조
양자 컴퓨팅은 업스트림, 미들스트림, 다운스트림으로 나뉘어 주요 기술과 제품을 구성한다.
업스트림: 양자비트 측정제어 시스템, 희석냉각기 등 환경 및 하드웨어 기술이 포함되며, 극저온 공정 등이 핵심 기술로 자리 잡았다.
미들스트림: 초전도, 이온트랩, 광양자 기술을 중심으로 한 하드웨어 제조와 초기 단계의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운스트림: 클라우드 플랫폼과 산업 응용 단계로, 양자 컴퓨팅 기술의 실질적인 활용을 담당한다.
글로벌 경쟁력 분석
전 세계적으로 양자 컴퓨팅 관련 기업은 278개에 달하며, 이 중 완성품 제조 기업은 76개로 집계된다.
미국: IBM,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가 양자 컴퓨팅 기술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 IBM은 1,000개 이상의 양자비트를 가진 Condor 프로세서를 발표하며 주목받았다.
유럽: 독일은 기업 수에서 1위를 차지했으나, 기술력에서는 미국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프랑스는 ‘양자기술국가전략’을 통해 PASQAL 등 기업을 지원하며 성장을 도모 중이다.
중국: 텐센트와 화웨이를 비롯한 대기업들이 양자 컴퓨팅에 적극적으로 투자 중이며, ‘지우장 3호’ 광자적 양자 컴퓨팅 프로토타입 발표로 국제적인 입지를 강화했다.
미래 전망
양자 컴퓨팅은 기술 개발과 함께 지역별 정책과 협력을 통한 산업 통합이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중국은 ‘뭐즈호’ 위성을 발사하며 양자 기술 선도국으로의 도약을 준비 중이다.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각국의 기술 및 전략적 방향성이 산업의 판도를 결정할 것이다.
KIC중국(글로벌혁신센터·김종문 센터장)은 2016년 6월 중국 베이징 중관촌에 설립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비영리기관이다.
한국 창업기업과 혁신기업의 중국시장 개척을 지원하는 것이 주요 업무다. 또 중국 진출의 정확한 로드맵을 제공하고 플랫폼 역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