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중국의 산업단지 경쟁력이 새롭게 평가됐다. 2024년 산업단지 '미래력' 지수에서 베이징의 중관춘 과학기술 단지가 1위를 차지하며, 중국 내 최첨단 산업 중심지로서의 입지를 다시 한 번 확인했다.
베이징, 상하이 강세…중국 산업단지 경쟁력 변화
중국 청두에서 열린 ‘2024 제13회 중국 상장기업 써밋’에서 2024년 산업단지 ‘미래력’ 지수 TOP 30이 발표됐다. 이 지수는 산업단지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기업 집중도, 혁신 집중도, 자본 집중도 등 세 가지 주요 요소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순위를 매긴다.
이번 발표에서 1위를 차지한 곳은 중관춘 과학기술 단지(하이뎬위안)로, 77.29점의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2위는 중관춘 과학기술 단지(다싱이좡위안), 3위는 상하이의 장장 첨단기술 단지(북구)가 차지했다.
이외에도 4위는 중관춘 과학기술 단지(창핑위안), 5위는 광저우 과학성, 6위는 청두 첨단기술구(남부 단지), 7위는 광구 바이오성, 8위는 선전완 과학기술 생태단지, 9위는 항저우 미래과학기술성, 10위는 창저우 시타이후 과학산업 단지가 이름을 올렸다.
베이징과 상하이가 각각 7개의 산업단지를 순위권에 포함시키며 강세를 보였으며, 청두와 항저우도 각각 4곳과 2곳이 포함되며 높은 성장 가능성을 입증했다.
신성장 산업 중심으로 산업단지 ‘미래력’ 평가
이번 평가에서 주목할 점은 휴머노이드 로봇, 생성형 인공지능, 신에너지 저장, 합성 바이오, 상업용 우주항공, 첨단 복합소재 등 신산업이 산업단지 ‘미래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특히, 베이징 중관춘 과학기술 단지(하이뎬위안)는 이러한 모든 산업에서 균형 잡힌 발전을 보이며 ‘육각형’ 성장을 이룬 유일한 단지로 평가받았다. 반면, 중관춘(다싱이좡위안)과 청두 첨단기술구(남부 단지) 역시 6개 주요 신산업에서 고른 발전을 보이며 강한 경쟁력을 보였다.
창저우 시타이후 과학산업 단지는 신재생 에너지 산업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그래핀 신소재 혁신의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2011년부터 그래핀 연구팀을 유치해 2014년 국가 주도의 산업화 기지를 조성했으며, 현재 섬유 및 복합 소재 분야에서 전국 3위를 기록했다.
중국의 미래를 이끌 산업단지는 어디인가?
중국 정부는 이번 지수를 바탕으로 첨단 기술과 신산업 중심의 산업단지를 집중 육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베이징과 상하이가 여전히 중국 산업의 중심지로 자리 잡고 있지만, 청두, 광저우, 선전 등 주요 도시들도 적극적인 연구개발과 산업단지 조성을 통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향후 중국의 산업 정책과 투자 방향에 따라 이 순위는 지속적으로 변화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산업단지별 특화 분야와 혁신 기술 도입 속도가 주요한 경쟁력 요소가 될 전망이다.
KIC중국(글로벌혁신센터·김종문 센터장)은 2016년 6월 중국 베이징 중관촌에 설립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비영리기관이다.
한국 창업기업과 혁신기업의 중국시장 개척을 지원하는 것이 주요 업무다. 또 중국 진출의 정확한 로드맵을 제공하고 플랫폼 역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