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국제 금 현물이 온스당 3674.27달러(약 503만 원)까지 치솟으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금값 급등세에 힘입어 홍콩 증시 금 관련 종목이 일제히 폭발적으로 올랐고, 특히 금광 개발 기업 린바오황진(灵宝黄金, Lingbao Gold)은 연초 대비 주가가 529.56% 폭등하며 상장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회사는 허난, 신장, 장시, 네이멍구, 간쑤 등지에서 37개 채굴권과 탐사권을 보유하며 총 131.81톤의 매장량을 관리하고 있다. 14일 증권시보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궈황진궈지(中国黄金国际, China Gold International)는 240.44%, 자오진광예(招金矿业, Zhaojin Mining)는 174.62%, 쯔진광예(紫金矿业, Zijin Mining)는 116.12% 각각 급등했다. 쯔진광예는 상반기 매출 1677억 위안(약 33조 5,400억 원), 순이익 233억 위안(약 4조 6,500억 원)을 기록했다. 리테일 부문에서는 올해 6월 상장한 라오푸황진(老铺黄金, Lao Pu Gold)이 상장가 대비 17.14배 뛰어올라 728.50홍콩달러(약 127,500원)에 마감, 텐센트를 제치고 홍콩 최고가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상무부가 미국산 아날로그칩을 대상으로 반덤핑 조사를 시작하고, 미국이 중국을 상대로 시행한 집적회로(IC) 관련 조치에 대해서도 차별 여부 조사를 개시했다. 이번 조치는 스페인에서 열리는 미중 무역회담을 앞두고 발표돼 긴장이 한층 높아졌다. 14일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장쑤성 반도체산업협회가 국내 업계를 대표해 제출한 신청을 토대로 미국산 40나노 이상 공정의 인터페이스 칩과 게이트 드라이버 칩 등이 조사 대상에 포함됐다. 상무부는 통상적으로 1년 안에 조사를 마치되, 필요 시 6개월 연장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동시에 미국이 2018년 이후 통상법 301조를 근거로 중국산 반도체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고, 2022년 이후에는 반도체 장비 수출을 제한하며, 올해 5월에는 화웨이 칩 사용과 중국 내 AI훈련을 제약한 조치 등을 문제 삼아 반차별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중국 측은 미국이 최근 중국 기업 23곳을 포함한 32개사를 수출규제 명단에 추가한 데 대한 대응임을 분명히 했다. 상무부는 미국의 일방적이고 강압적인 제재를 비판하며 중국 기업의 권익을 지키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하겠다고 강조했다.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 최신형 항공모함 푸젠(福建, Fujian)이 처음으로 남중국해에 진입해 시험 운항에 돌입했다. 이는 지금까지 진행된 해상 시험 가운데 가장 긴 항해로, 장거리 전개 능력과 호위함대와의 합동 작전 능력을 점검하는 단계로 평가된다. 13일 중국 해군에 따르면, 푸젠은 최근 대만해협을 거쳐 남중국해 임무 해역으로 이동했다. 해군 대변인 량궈웨이(冷国伟, Leng Guowei) 대좌는 “이번 항행은 건조 과정의 정례적 절차일 뿐 특정 대상을 겨냥한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푸젠은 이번까지 아홉 번째 해상 시험을 진행했으며, 방산 전문가 우페이신은 “호위함대와의 합동 능력 검증이 목표일 것”이라며 “신형 함재기 탑재도 임박했다”고 분석했다. 앞서 해군은 푸젠에서 전자기 catapult를 활용한 발진 시험 영상을 공개했고, 새 스텔스 전투기 J-35를 비롯한 함재기도 공개한 바 있다. 푸젠은 2022년 상하이에서 진수된 중국 최초의 전자기 catapult 탑재 항모로, 8만 톤급 이상 초대형 항모 체제 구축을 상징한다. 지난주 베이징 열병식에서는 J-35 스텔스 전투기, KJ-600 조기경보기, J-15DT 전자전기 등 푸젠 탑재 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