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중국의 혁신지수가 2024년 한 해 동안 전년 대비 5.3% 상승했다. 이는 과학기술 혁신 역량이 꾸준히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수치로, 고품질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평가된다. 29일 중국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 Guojia Tongjiju)에 따르면 2015년을 100으로 한 기준에서 2024년 혁신지수는 174.2를 기록했다. 혁신 환경, 투입, 산출, 성과 등 네 개의 세부 지수가 모두 상승하며 전반적인 개선세를 나타냈다. 국가통계국은 보고서에서 “중국의 혁신지수는 2024년 이후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과학기술 혁신 역량이 전면적으로 향상되면서 새로운 성장동력이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혁신이 주도한 산업 산출이 빠르게 확대되며, 인공지능(AI), 스마트 이동수단, 디지털 문화·엔터테인먼트 등 신산업이 경제의 새로운 축으로 부상했다. 항저우(杭州, Hangzhou)에서 열린 글로벌 디지털무역박람회에서도 생성형 AI와 다중감각 상호작용 등 첨단기술이 집중 조명됐다. 중국은 향후 15차 5개년계획(2026~2030) 기간 동안 혁신 생태계 강화와 기술 자립도를 높이는 전략을 지속 추진할 방침이다.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의 고용시장이 3분기까지 안정세를 유지하며 도시 신규 일자리 1,057만 개를 창출했다. 이는 연간 목표의 88%에 해당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을 웃도는 성과다. 29일 중국 인력사회보장부(人力资源和社会保障部, Renshebu)에 따르면, 정부는 주요 계층을 위한 맞춤형 지원과 일자리 확대 정책을 강화해 노동시장의 전반적인 안정성을 확보했다. 1~9월 기간 중국은 고용 안정을 위한 환급금 196억 위안(약 3조7,000억 원)과 직업훈련 보조금 166억 위안(약 3조1,000억 원)을 집행했다. 또 14만 개 기업에 9억 위안(약 1,700억 원)의 일회성 채용 보조금을 지급해, 신입 졸업생을 포함한 60만 명의 청년이 혜택을 받았다. 9월 말 기준으로 기본연금보험 가입자는 10억7,400만 명, 실업보험 2억4,800만 명, 산재보험 3억400만 명으로 집계됐다. 사회보장카드를 보유한 인구는 13억9,00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98.9%에 달했으며, 이 중 전자카드 보유자는 11억 명에 이르렀다. 중국은 14차 5개년계획(2021~2025) 기간 ‘고용은 민생의 핵심’이라는 기조 아래, 일자리의 양과 질 모두 개선을 추진하고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부산에서 정상회담을 갖는다. 중국 정부는 한미일 정상회의와 맞물린 외교 일정 속에서 이번 회담을 공식 발표하며, 미중 관계 복원 의지를 드러냈다. 29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시진핑 주석은 30일 부산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을 열고 양국 관계 및 공동 관심 사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이번 회담은 트럼프 대통령의 한국 방문 일정에 맞춰 조율됐으며, 중국이 자국 정상의 일정을 사전 공개한 것은 이례적이다. 궈자쿤(郭家坤, Guo Jiakun) 외교부 대변인은 “정상 외교는 중미 관계에서 대체 불가능한 전략적 인도 역할을 한다”며 “양국 정상이 전략적이고 장기적인 문제를 포함한 중대한 현안을 심도 있게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중국은 미국과 협력해 이번 회담이 긍정적 결과를 내도록 노력할 것이며, 미중 관계의 안정적 발전에 새로운 추진력을 제공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방한을 앞두고 ‘좀비 마약’ 펜타닐 관련 대중 관세 인하 가능성을 언급한 데 대해서는 즉답을 피하며, “중국은 미국과 마약 대응 협력에 개방적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시진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