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빙설 활동이 계절형 레저를 넘어 도시 소비와 여행 수요를 함께 끌어올리는 역할을 하며 겨울 경제 전반의 동력을 재편하고 있다. 산업 전반에서 소비 기반이 넓어지면서 지역 관광과 설상 체험이 결합된 구조적 성장 흐름이 감지되고 있다. 21일 중국 카이롄프레스에 따르면, 2025~2026년 설상 시즌이 시작되자 전국 실내외 스키장의 이용률이 상승했고 2024년 기준 빙설 산업 규모는 전년 대비 약 9% 증가한 9천억 위안대까지 확대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 관련 기관은 2025년 전체 시장 규모가 1조 위안 수준에 도달할 가능성을 제시했으며, 국내 소비를 끌어올리는 주요 동력이 될 것으로 바라봤다. 빙설 산업은 상류의 자원 개발·장비 제조, 중류의 시설 운영·서비스 공급, 하류의 소비·관광 상품으로 이어지는 다층 생태를 갖추고 있다. 장비·인프라 분야에서는 창춘과 쑤저우에서 스키장 설비 구축에 참여한 기업이 산업 사슬 핵심 공급자로 자리했으며, 관광산업에서는 창바이산(长白山, Changbaishan)이 국제적 설질 경쟁력을 기반으로 대표 목적지로 부상해 지역 소비를 넓히는 역할을 하고 있다. 각 부문의 성장이 연계되면서 겨울철 여행과
[더지엠뉴스] 중국 외교부 대변인 궈자쿤은 6일 정례 브리핑에서 한국, 일본, 미국 등 일부 국가들이 인공지능 기업 딥시크(DeepSeek)에 대한 접근을 제한한 것에 대해 강하게 반발했다. 그는 “중국 정부는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보안을 법적으로 보호하고 있으며, 기업이나 개인이 불법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저장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국은 국가 안보 개념을 과도하게 확대하거나, 경제 및 기술 문제를 정치화하는 행위를 일관되게 반대한다”고 덧붙였다. 궈 대변인은 “딥시크에 대한 접근 제한은 중국 기업의 합법적인 권익을 침해하는 행위”라며, “중국은 이러한 부당한 조치에 단호히 맞서 기업 보호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궈 대변인은 중국의 빙설 산업 발전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지난해 ‘얼빈(哈爾濱)’이 빙설 매력으로 큰 인기를 끌었으며, 신장과 내몽골 등지의 빙설 관광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20232025년에는 5억 2천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 인한 관광 수입은 6,300억 위안을 초과할 전망이다. 궈 대변인은 “설날 영화 관람은 이미 새로운 전통으로 자리 잡았다”며, “2025년 설 연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