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브라질 정부가 베이징 주재 외교 인력을 대폭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 외교부가 이에 대해 환영의 뜻을 밝혔다. 반면 우크라이나 측이 주장한 ‘중국계 용병 참여설’에는 강경히 선을 그었다. 7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궈자쿤(郭嘉昆, Guo Jiakun) 대변인은 전날 정례 브리핑에서 브라질이 베이징에 연방경찰과 세무 전담 인력을 추가 파견하고, 육군·해군 무관도 장성급으로 격상 배치할 예정이라는 질문에 "중·브라질 양국은 전략적 지도 아래 공정하고 지속 가능한 공동체를 향해 나아가고 있으며, 이는 양국 현대화에 기여하는 발전도상국 협력의 모범"이라며 "다양한 분야의 협력을 한층 심화시키겠다"고 밝혔다. 또 독일 언론이 보도한 '중국 스파이 의혹'과 관련해, 궈 대변인은 "이른바 '중국 간첩 위협론'을 계속 부풀리는 행위는 중단해야 한다"며 "중국은 근거 없는 비방과 왜곡을 강력히 반대한다"고 반응했다. 독일에서는 극우정당 ‘독일을 위한 선택지’(AfD) 소속 정치인의 화교 출신 보좌관이 중국 정보기관을 위한 활동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으며, 중국 국적 여성도 항공편 정보 제공 혐의로 함께 기소됐다. 우크라이나가 제기한 '중국계 용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이 유엔 안보리 회의에서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군사작전을 강하게 비판하며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휴전을 거듭 촉구했다. 동시에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수립을 유일한 해법으로 지지한다고 공개 천명했다. 6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겅솽(耿爽, Geng Shuang) 유엔주재 중국 부대표는 전날 열린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사태 관련 안보리 공개회의에서 “가자지구의 무력충돌이 2년에 가까워지며 민간인 희생이 전례 없는 수준에 도달했다”며 “군사적 수단으로는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오직 즉각적 휴전만이 생명을 구하고 인질을 귀환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겅 부대표는 “1월 타결된 휴전 합의가 희망을 줬으나 깨졌고, 인질은 여전히 구금 중이며, 고통은 계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스라엘의 가자 전면 점령 계획 보도가 잇따르는 상황에서, 이는 매우 위험한 움직임이며 즉각 중단돼야 한다”고 경고했다. 그는 “가자지구 민간인 200만 명은 전쟁의 희생자가 되어서는 안 되며, 극단적 봉쇄 속에서 인도적 위기가 급속히 악화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구호물자 차단은 집단적 처벌을 심화시키고 인질과 민간인 모두를 위험에 빠뜨리는 결과”라며, 이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이 캄보디아와 태국 사이의 무력 충돌 완화 국면에 외교 채널을 확대하고 있다. 말레이시아가 주선한 다자 회의 구조를 통해 삼국 간 조율이 공식화됐다. 6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궈자쿤 대변인은 캄보디아와 태국 국경 지역에서 지난달 말 이후 교전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양국이 합의한 휴전 조치가 꾸준히 이행 중이라고 전날 정례브리핑에서 밝혔다.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리는 국경총위원회(GBC) 특별회의에 중국도 참석할 예정으로, 휴전 감독 체계 설계에 참여하고 관련국들과 소통을 이어갈 방침이다. 중국은 지난달 30일 열린 삼국 간 비공식 회의 이후 현지 정세가 완화됐다고 평가하며, 캄보디아·태국 양측과 함께 긴장을 낮추기 위한 후속 조율을 계속해 왔다고 설명했다. 이번 GBC 회의는 동남아 지역 내 군사적 충돌 방지 및 상설 협의 채널 구축의 일환으로 추진됐으며, 아세안 의장국인 말레이시아의 외교적 조정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중국은 아세안 주도 체제를 존중한다는 입장을 다시 밝혔고, 향후에도 건설적 방식으로 정세 완화에 기여하겠다는 뜻을 표명했다. 한편 인도와 필리핀이 남중국해에서 실시한 합동 군사 훈련을 두고는 관련 영유권 문제는 당
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중국 정부가 디지털 기반시설 확대를 위한 금융지원을 대폭 강화한다. 5G, 산업인터넷, 데이터센터, 연산능력센터 등 핵심 분야에 중장기 대출을 확대하고, 다양한 금융수단을 동원해 자금 공급 경로를 넓히기로 했다. 5일 계면신문(界面新闻)에 따르면 인민은행(中国人民银行)을 포함한 7개 부처는 공동으로 ‘신형공업화 금융지지에 관한 지도의견(关于金融支持新型工业化的指导意见)’을 발표했다. 이 문건에는 디지털경제와 실물경제의 깊은 융합을 촉진하겠다는 방향과 함께, 관련 인프라에 대한 금융기관의 대출지원을 강화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특히 5G망 구축, 산업인터넷 플랫폼, 데이터센터, 연산능력(算力) 센터와 같은 디지털 기반시설에 대해서는 중장기 금융지원을 확대하고, 리스금융(融资租赁), 부동산투자신탁(REITs), 자산유동화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자금 공급경로를 다변화하기로 했다. 또 금융기관이 인공지능, 블록체인, 빅데이터 등 신기술을 활용해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 제조업 고객에 대한 금융서비스 절차를 간소화하고, 효율을 높이도록 유도하는 내용도 담겼다. 중국은 ‘신형공업화’ 추진 전략 아래, 전통 제조업에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 경쟁력을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 공안부가 인공지능 모델의 훈련 데이터에 내재한 오염 위험을 강하게 경고하고 나섰다. 오차가 적더라도 AI 시스템 전반에 심각한 오류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을 부각했다. 5일 중국 공안부에 따르면 공식 웨이신(微信, WeChat) 계정을 통해 공개한 글에서 “AI 훈련에 사용되는 데이터 품질이 들쭉날쭉하며, 거짓 정보·조작 콘텐츠·편향된 시각이 광범위하게 포함돼 있다”고 밝혔다. 공안부는 “전체 데이터 중 단 0.01%만 허위 내용이 포함돼도 AI의 유해 출력은 11.2%까지 증가할 수 있다”며 “이른바 ‘데이터 오염’은 단발성 오류에 그치지 않고, 다음 세대 AI 훈련에 재사용됨으로써 오염이 누적되고 확대되는 ‘유전적 효과’(pollution legacy effect)를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AI의 3대 핵심 요소로 꼽히는 알고리즘, 연산능력, 데이터 중에서도 ‘데이터’가 가장 본질적인 자원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공안부는 “AI 성능은 훈련용 원재료인 데이터의 질에 좌우되며, 이는 AI 응용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결정짓는 기반”이라고 설명했다. 정확도가 높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는 AI 모델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지만, 오염된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시진핑(习近平, Xi Jinping) 국가주석이 제15차 5개년 계획(2026~2030) 수립과정에서 온라인을 통한 국민 참여 결과를 충분히 분석하고 반영하라고 지시했다. 그는 해당 절차가 ‘전 과정 인민민주’의 구체적 사례라고 강조했다. 4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진핑 주석은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이자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자격으로 관련 지시를 내렸다. 그는 “각급 당 조직과 정부가 민생 현장을 더 가까이 들여다보고, 국민의 요구와 기대를 면밀히 수렴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번 지시는 5월 20일부터 6월 20일까지 진행된 온라인 대국민 의견 수렴 캠페인을 마친 뒤 내려진 것이다. 해당 캠페인에서는 총 311만 건이 넘는 제안과 의견이 접수됐으며, 시 주석은 이를 “광범위한 참여와 활발한 반응”으로 평가하며, 유의미한 의견이 다수 제시됐다고 언급했다. 시 주석은 이를 바탕으로 “계획 수립에 관련된 부처들이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적극적으로 흡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의 5개년 계획은 1950년대부터 시작된 중장기 국가 발전 전략으로, 각 시기별 정책 방향과 중점 과제를 제시하는 핵심 문서다.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 인민해방군이 대규모 상륙작전 훈련 장면을 담은 드문 영상을 공개하며 육·해·공 전력의 통합 작전 수행 능력을 선보였다. 4일 중국중앙텔레비전(CCTV)에 따르면, 훈련은 날짜가 명시되지 않은 장소에서 진행됐으며, 075형 강습상륙함 비행갑판에 탑승한 병력이 Z-8C 헬리콥터를 타고 이륙하는 장면으로 시작됐다. CCTV 보도에 따르면 훈련 첫날 밤, 육군 여단 소속 05형 상륙전투장갑차가 해군 상륙함에 탑승했고, 항해 둘째 날에는 상륙함이 미확인 공중 표적을 포착했다. 이에 따라 해상에서 구축함이, 육상에서는 항공부대가 대응해 합동작전으로 위험 요소를 제거하는 훈련이 이어졌다. 셴위(Shen Yu) 소령은 이번 훈련이 해상 지휘 체계에 실제로 참여한 첫 사례였으며, 육·해·공 병력이 실전처럼 통합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그는 상륙 편대에서 돌연 이탈한 아군 함정들을 보며 혼란을 느꼈으나, 이후 항공모함 전단의 존재를 확인하고 강력한 지원 체계를 실감했다고 말했다. 최종 상륙 단계에서는 전투기, 군함, 육지에서 발사된 미사일과 로켓이 포문을 열었다. 공격이 성과를 거두자 05형 장갑차는 071형, 072형 상륙함에서
중국 주유럽연합대표부가 유럽연합(EU) 외교기구인 대외관계청(EEAS)의 마카오 국가안보법 집행 관련 비판에 대해 강한 불만과 단호한 반대를 표명했다. 3일 중국 관영 환구시보에 따르면, 전날 EEAS는 EU 국적을 가진 마카오 전 입법위원 아우깜산(Au Kam San) 체포에 대해 공식 논평을 내고 우려를 표명했다. 해당 체포는 2023년 마카오 특별행정구에서 국가안보법이 시행된 이후 첫 사례다. 중국 측은 즉각 반박에 나섰다. 주EU 중국대표부 대변인은 “법은 반드시 지켜져야 하며, 법을 어긴 자는 반드시 책임을 져야 한다”며 “외부 적대 세력과의 결탁이나 국가안전을 해치는 행위에 대한 마카오 정부의 법적 처벌은 정당하고 국제법 및 국제 관행에도 부합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마카오 문제는 전적으로 중국 내정이며 외부 세력이 간섭할 여지가 없다”며 “EU는 국제법과 국제 관계의 기본 원칙을 지키고 중국의 주권과 마카오 법치에 대한 존중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EU는 마카오 사안과 중국 내정에 대한 간섭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같은 날 마카오 특별행정구 정부도 성명을 통해 EEAS의 논평에 강한 유감을 표하고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팔레스타인 문제를 국제형사재판소로 가져갔다는 이유로 미국이 팔레스타인 당국과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 관계자를 제재한 데 대해 중국이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1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궈자쿤(郭嘉昆, Guo Jiakun)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이 국제사회의 평화 촉진 노력을 외면하고, 정당한 국제 사법 절차마저 제재 대상으로 삼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며 “공정과 정의에 위배된다”고 밝혔다. 이어 궈 대변인은 “중국은 팔레스타인 국민의 정당한 민족 권리 회복을 지지한다”며 “가자지구와 요르단강 서안을 포함한 전 영토에 대해 자치정부가 실질적인 통치권을 행사하는 것을 지지한다”고 강조했다. 또 “양국 해법을 바탕으로 한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사회와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같은 날 브리핑에서 중국 정부는 세르비아 관리의 코소보 구금 사건, 미국의 대중국 사이버 공격, 신설된 FBI의 뉴질랜드 지부 등 일련의 외교 사안에 대해서도 일관된 입장을 밝혔다. 코소보 당국이 세르비아 정부 코소보 담당 차관을 구금한 것과 관련해선 “모든 당사국은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라 실질적이고 건설적인 대화를 이어가야 한다”며 “일방적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중국과 네팔이 수교 70주년을 맞아 정상 간 축전을 주고받으며 전통 우호를 재확인했다. 1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시진핑(习近平, Xi Jinping) 국가주석은 라므 찬드라 파우델(Ram Chandra Paudel) 네팔 대통령과 수교 70주년을 기념하는 축전을 교환했다. 시 주석은 메시지에서 “중국과 네팔은 산과 물로 이어진 이웃이며, 오랜 시간 상호 존중과 평등, 호혜 협력을 바탕으로 모범적인 양국 관계를 이어왔다”고 평가했다. 그는 특히 “정치적 상호 신뢰가 끊임없이 강화되고 있고, 일대일로(一带一路, yidaiyilu) 협력과 각 분야 교류도 계속 확대되고 있다”며 “양국은 세대를 아우르는 전략적 협력 동반자로서 미래 번영을 함께 구축해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나는 네팔과의 관계를 매우 중시한다”며 “이번 수교 70주년을 계기로 전통 우정을 계승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해 양국 국민에게 더 큰 혜택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파우델 대통령도 화답 메시지에서 “네팔과 중국은 지난 70년간 상호 신뢰, 주권 존중, 평화 공존의 원칙 아래 진정한 우정을 쌓아왔다”며 “중국은 네팔이 가장 신뢰하는 이웃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