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중국 외교부가 일본 정부에 대해 양국 정치문서에 담긴 약속을 실제 조치로 옮겨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며, 대만 관련 발언을 반복한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에게 즉각적인 철회를 촉구했다.
중국 외교부는 다카이치 총리가 한 발언이 무력 개입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받아들여졌고, 이는 양국 관계의 근간을 흔들었다고 지적했다.
22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마오닝 대변인은 전날 정례 브리핑에서 다카이치 총리가 양국 관계를 건설적이고 안정적인 방향으로 관리하겠다고 언급한 직후에도 기존의 대만 관련 주장을 사실상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마오 대변인은 대만 문제를 둘러싼 일본 측 언급이 중국 내에서 강한 반발을 일으켰으며, 양국 관계의 정치적 기반을 흔드는 요소라고 강조했다.
일본의 외교·경제계 전반에서는 중국의 대응 조치에 대한 우려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일본 정부가 승인한 경기부양책 추진과 맞물려,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이 일본 내부에서도 정치적 부담을 키우고 있다.
중국의 일련의 조치가 일본 산업 전반에 미치는 실질적 영향도 점차 드러나고 있다.
루차오(吕超, Lü Chao) 랴오닝대학교 미국·동아시아연구소 소장은 다카이치 총리가 언급을 일부 누그러뜨린 듯 보이지만, 근본적으로 발언 철회는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루차오 소장은 최근 가나이 마사아키 일본 외교관의 중국 방문과 함께 일본 정부가 충격 완화를 위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사회과학원 일본연구소의 주장슈(朱庆秀, Zhu Qingxiu) 부연구원은 일본 사회와 경제계의 광범위한 불만을 의식해 다카이치 총리가 표현을 부드럽게 조정하는 수준에 그쳤다고 평가했다.
주장슈 연구원은 다카이치 총리가 장기간 대중적 민족주의 기조로 기반을 유지해 왔기 때문에 언급 변화가 구조적 변화를 의미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일본 국내 정치권에서는 다카이치 발언을 둘러싸고 책임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하토야마 유키오 전 총리는 공자의 구절을 인용하며 발언 철회를 촉구했고, 오자와 이치로 중의원 의원도 총리 발언의 무게를 직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야당 정치인과 일부 매체는 문제 발단을 질의한 쪽으로 돌리려는 행태가 나타나고 있다고 보도했다.
전 총리 노다 요시히코는 다카이치 총리 발언이 사태를 악화시킨 원인이라고 밝히며 책임 전가를 경계했다.
일본 내 불안정한 여론은 경제 영역으로도 번지고 있다.
교도통신은 25일 베이징에서 예정됐던 왕원타오(王文涛, Wang Wentao) 중국 상무부장과 일본 기업인 대표단 회의가 중국 측 요청으로 연기됐다고 전했다.
홋카이도 관광업계에서는 예약 취소가 잇따르고 있으며, 삿포로 일대 방문객 감소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일본 수산업계에서도 중국 기업과의 계약 연기 사례가 나타났다고 NHK가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중국 관광객 감소가 연말까지 최대 12억 달러(약 1조 6,400억 원)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는 분석을 전했다.
2026년까지 방문 감소가 이어질 경우 누적 타격이 더 커질 전망이라는 지적도 제기됐다.
중국 상무부 허융첸(何咏前, He Yongqian) 대변인은 일본이 중국에 손해를 끼치면서 동시에 경제적 이익을 기대할 수 없다고 밝히며, 양국 관계의 기본 원칙을 명확히 했다.
루차오 소장은 일본 기업이 중국 시장에 크게 의존하는 구조에서 긴장이 길어지면 산업 전반의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2024년 중일 교역 규모는 3,083억 달러(약 422조 원)에 달한다.
중국은 일본의 최대 무역 파트너국이자 주요 수출·수입 시장이다.
양국 관계의 안정은 경제 협력의 기반이 되어야 하며, 정치적 신뢰 회복 없이 경제적 어려움은 완화되기 어렵다는 분석이 일본 내에서도 제기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