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31일 오전 톈진에 도착해 중국 순방 일정을 시작했다. 푸틴 대통령의 이번 방문은 4일간 이어지며,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 참석을 중심으로 양국 협력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날 중국 매체 펑파이신문(The Paper)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날 오전 9시 22분 전용기를 통해 톈진에 도착했다. 그는 중국 방문 기간 동안 시진핑 국가주석과 회담을 갖고 에너지, 무역, 안보 분야를 포함한 협력 방안을 집중 논의할 계획이다. 푸틴 대통령의 중국 방문은 올해 들어 두 번째다. 그는 지난 5월 베이징을 찾아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진 바 있으며, 당시 러시아-중국 관계 강화를 재확인했다. 이번 순방은 SCO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 다자 무대 참여와 양자 회담을 병행하는 일정이다. 상하이협력기구는 2001년 출범한 지역 다자 안보·경제 협력체로, 중국과 러시아를 비롯해 중앙아시아 4개국 등이 창립 회원국이다. 올해 톈진 정상회의에는 20여 개국 정상과 국제기구 대표들이 참석해 지역 안보와 경제 협력을 논의할 예정이다.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과 상하이협력기구(SCO) 회원국 간 교역이 빠르게 늘어나며 역내 경제 협력이 새로운 국면에 들어섰다. 무역·투자와 더불어 에너지와 디지털 산업까지 협력이 확장되면서 글로벌 경제에도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28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카자흐스탄 접경지인 신장 호르고스 국제협력센터에서는 하루 3만 명이 넘는 인원이 오가며 활발한 교역과 관광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올해 들어 7월까지 누적 이동 인원은 500만 명을 넘어섰으며, 2,000여 개 상점 중 200곳 이상이 면세점으로 운영되고 있다. SCO는 2001년 출범 이후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등 10개 회원국으로 확대됐고, 현재 전 세계 인구의 절반과 경제 총량의 4분의 1을 차지한다. 지난해 중국과 회원국 간 교역액은 3조6,500억 위안(약 672조 원)으로 출범 초기 대비 36배 이상 증가했다. 올해 1~7월 교역액은 2조1,100억 위안(약 388조 원)으로 집계됐으며, 7월 한 달간만 3,260억 위안(약 60조 원)을 기록해 올해 최고치를 경신했다. 협력 범위도 넓어지고 있다. 카자흐스탄 악몰라 지역에 중국 기업이 건설한 풍력발전단지는 중앙아시아 최대 규모로
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국가발전개혁위원회(国家发展改革委, NDRC)는 국무원이 발표한 ‘인공지능+ 행동 심화 시행에 관한 의견’을 설명하며, 산업 전 분야의 지능화를 촉진하고 인공지능 응용 서비스 기업을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27일 NDRC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인공지능이 실험 단계를 넘어 가치 창출 단계로 진입하면서 산업 효율을 높이고 전요소 생산성을 끌어올리는 현실적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위원회는 인공지능이 경제·사회 전반에 구조적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 상황에서 전략적 인도와 정책적 조율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견’은 여섯 가지 중점 분야를 중심으로 ‘인공지능+’ 행동을 추진한다. 과학기술, 산업 발전, 소비 고도화, 민생 복지, 거버넌스, 국제 협력이 주요 축이며, 모델·데이터·연산능력·응용·개방·인재·제도·안전 등 여덟 가지 기반 체계를 뒷받침하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산업 전환을 촉진하고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를 확대하는 것이 목표다. 또한 제조·의료·교통·금융·에너지 등 핵심 영역에 국가급 인공지능 응용 중시(中试) 기지를 구축해, 공통 기술 문제 해결과 표준화·규모화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산학연 연계를 강화하고 인공지능 전
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화웨이 신제품 출시 기대와 무위안식품의 깜짝 실적이 A주 시장을 흔들었다. 가전과 축산업 관련주가 집단 급등하며 오후 장을 주도했다. 26일 증권시보에 따르면 상하이 종합지수는 장중 3,888선을 넘기도 했으나 0.39% 하락한 3,868.38로 마감했다. 선전 구성지수는 0.26% 상승했고, 차이넥스트 지수는 0.75% 내렸다. 이날 시장에서 2,800개 이상의 종목이 상승세를 보였다. 가전 부문에서는 화웨이 관련주가 장을 이끌었다. 화웨이 쿤펑 지수와 홍멍 지수가 모두 2% 이상 상승했고, 준이디지털과 에어로스페이스 그랜드비전은 상한가를 기록했다. 오는 27일 공개될 화웨이 AI SSD 신제품 출시 소식이 촉매가 됐다. 여기에 상하이자동차(SAIC)와 공동 개발한 ‘상제 H5’ 사전판매 개시도 호재로 작용했다. 이 차량은 ADS4 보조주행시스템, 192라인 레이저 레이더, 홍멍(Hongmeng) 콕핏 등 첨단 기술이 탑재됐다. 화웨이 클라우드 사업부의 대규모 구조조정도 시장의 이목을 끌었다. 화웨이는 일반 컴퓨팅, 지능형 컴퓨팅, 스토리지를 핵심으로 하는 “3+2+1” 체제로 재편하고, AI와 데이터베이스, 보안 역량을 집중 강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캄보디아 노로돔 시하모니 국왕을 맞아 양국 관계를 전천후 운명공동체로 격상시키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항일전쟁 승리 80주년 기념식을 계기로 전통적 우호를 바탕으로 한 전략적 협력 강화를 천명한 것이다. 26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시진핑 주석과 부인 펑리위안(彭丽媛, Peng Liyuan) 여사는 중난하이에서 시하모니 국왕과 모니네앗(Monineath) 왕비를 접견했다. 시진핑 주석은 4월 국빈 방문 당시 캄보디아 국민의 환대를 회상하며, 두 나라가 국제 정세의 격변 속에서도 변함없는 우정을 이어왔다고 강조했다. 이어 양국이 단결과 협력을 심화해 새로운 시대에 전천후 운명공동체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이 캄보디아 국민이 자국 상황에 맞는 발전의 길을 걸을 권리를 확고히 지지한다고 밝혔다. 또한 항구적인 평화와 안정이 양국 관계의 토대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하모니 국왕과 모니네앗 왕비는 중국 인민이 세계 평화를 수호하는 데 기여한 점을 높이 평가하며, 이번 기념식 참석이 큰 의미를 가진다고 전했다. 두 사람은 양국이 전통적 우호를 계승해 전략적 협력 차원의 동반자 관계를 더 공고히 하겠다고 밝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리청강 중국 상무부 국제무역담판대표가 워싱턴을 찾아 미중 협상 재개에 나선다. 관세와 대두 수입 문제를 둘러싼 최대 갈등이 미국 수도에서 정면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26일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리청강(李成钢, Li Chenggang) 중국 상무부 국제무역담판대표가 워싱턴을 찾아 미국무역대표부와 재무부 고위 인사들을 만나며, 일부 미 기업 관계자와의 접촉도 예정돼 있다.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그는 전날 캐나다 토론토에서 현지 무역위원회 인사들과 먼저 만난 뒤 워싱턴으로 향했다. 미국과의 본격 협상 직전 캐나다를 방문한 배경이 눈길을 끌었다. 이번 협상은 지난 11월 관세 인상을 유예하는 이른바 ‘관세전쟁 휴전’ 합의 이후 양국이 대화를 정례화하는 과정에서 성사됐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미국 수도에서 열리는 첫 협상이기도 하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중국이 미국산 대두 수입 축소 기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기존보다 4배 확대를 요구하면서 이 문제가 핵심 쟁점으로 부상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행정명령 서명 뒤 소셜미디어를 통해 “중국이 신속히 대두 주문을 늘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은 대두나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6일 베이징에서 러시아 하원 격인 국가두마 의장 뱌체슬라프 볼로딘을 접견했다. 전승절 기념식과 대규모 열병식을 앞둔 시점에서 열린 이번 회동은 양국 협력 강화를 부각하는 계기가 됐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은 볼로딘 의장과의 회동에서 양국이 전략적 파트너십을 심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의회 간 교류 확대가 양국 관계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지적하며, 국제무대에서도 공동이익 수호를 위해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볼로딘 의장은 러시아와 중국이 높은 수준의 신뢰와 협력에 기반해 관계를 발전시켜 왔다고 답했다. 그는 국가두마 역시 전국인민대표대회와의 협력을 더욱 강화할 뜻을 전하며, 양국 간 전략적 공조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이번 만남은 최근 양국 고위급 교류가 연이어 이어지는 흐름 속에서 진행됐으며, 전승절 기념일을 앞두고 역사적 연대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다시 확인하는 자리로 기록됐다고 중국 매체는 분석했다.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왕원타오(王文涛, Wang Wentao) 중국 상무부장이 방중한 대통령 특사단을 만나 한국과의 무역적자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양국 간 협력 확대 의지를 드러냈다. 특사단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2단계 협상의 조속한 추진과 희토류를 비롯한 핵심 광물의 공급망 강화를 당부했다. 26일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왕 부장은 전날 베이징 청사에서 박병석 전 국회의장이 이끄는 특사단과 면담을 갖고 “중국은 지난해 한국과의 무역에서 353억달러(약 49조원) 적자를 기록했지만, 이는 양국 무역 구조상 정상적인 현상으로 기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작년 양국 교역 규모는 3천820억달러(약 530조원)를 넘어섰고, 한국은 일본을 제치고 중국의 제2 무역 파트너가 됐다”고 강조했다. 왕 부장은 양국 교역 품목의 90% 이상이 중간재·자본재라는 점을 언급하며 긴밀한 산업 협력 구조를 부각했다. 또 “양국 정상 간 통화에서 형성된 공감대를 상무부가 성실히 이행하겠다”고 말하며 박 전 의장에게 “한중 관계 발전에 기여했고 중국어에도 능통해 친밀감을 느낀다”고 덧붙였다. 박 단장은 “미국의 통상전쟁이 국제 질서를 흔드는 상황에서 한중이 협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일본 정부가 중국의 전승절 기념행사에 각국이 참석하지 말도록 요청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역사 인식을 둘러싼 파장이 커지고 있다. 중국 측은 이를 침략 전쟁 책임을 부정하는 행태로 규정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25일 교도통신은 복수의 외교 소식을 인용해 일본 정부가 9월 3일 베이징에서 열리는 중국 인민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 기념행사와 열병식을 ‘반일 색채가 짙다’고 주장하며 유럽과 아시아 국가들에 불참을 요청했다고 전했다. 일본 정부는 이에 대한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중국 외교학원 저우융성(周永生, Zhou Yongsheng) 교수는 “승전 기념은 일본에 대한 적대가 아니라 침략을 막아낸 정당한 역사”라며 “이를 반일로 몰아가는 건 억지이자 왜곡”이라고 지적했다. 중국사회과학원 루하오(陆豪, Lu Hao) 연구원 역시 “일본의 침략과 파시즘이 아시아 각국에 끼친 재앙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역사적 결론”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중국 군사위 연합참모부 우저커(吴哲科, Wu Zeke) 부주임은 20일 기자회견에서 “중국은 가장 먼저 파시즘에 맞서 싸웠고 가장 오랫동안 저항했다. 1백50만 명이 넘는 일본군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25일 중국 자연자원부 산하 중국해양문제연구소가 미국의 ‘항행의 자유(FON)’ 활동에 관한 법률 평가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는 미국이 주장하는 항행의 자유가 국제법적 근거가 부족하고, 사실상 군사적 압박을 합리화하는 수단이라고 비판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스스로 만든 개념과 기준을 관습국제법으로 둔갑시켜 다른 국가의 합법적 권리를 축소하고 자국의 활동 범위를 확장해왔다. 이 과정에서 ‘국제수역(international waters)’이나 ‘고해역 회랑(high seas corridor)’ 같은 현대 해양법에 존재하지 않는 개념을 도입해 연안국의 관할권을 침해했다고 지적했다. 중국해양문제연구소 전 소장 장하이원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보고서는 미국의 패권적 행태가 법의 외피를 쓴 것에 불과하다는 점을 전문적으로 입증한 것”이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무해통항, 군함 진입, 군사 활동의 배타적경제수역(EEZ) 내 법적 지위 등 11개 쟁점을 다뤘다. 특히 미국이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ADIZ)에서 자국 군용기의 ‘자유’를 강조하면서 중국의 정상적 군사 활동은 ‘위협’으로 규정하는 이중잣대를 비판했다. 최근 남중국해 황옌다오(黄岩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