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 과학계가 식물에서 희토류 광물이 스스로 만들어지는 현상을 처음으로 포착했다. 이는 환경 피해 없이 금속을 회수할 수 있는 ‘녹색 채굴’ 기술 발전의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6일 중국과학원 광저우지화학연구소(广州地球化学研究所, Guangzhou Institute of Geochemistry)에 따르면, 주젠시(朱建西, Zhu Jianxi) 연구팀은 식물의 흡수 능력을 활용해 토양 속 금속을 회수하는 식물채광(phytomining) 실험을 통해 ‘희토류 생물광물화’를 입증했다. 이들이 주목한 것은 식용 고사리인 블렉눔 오리엔탈레(Blechnum orientale)다. 연구팀은 이 식물이 토양 속 희토류를 고농도로 흡수해 잎의 세포조직 내에서 자연적으로 결정화시키는 과정을 관찰했다. 그 결과 상온 조건에서 나노 규모의 모나자이트(monazite) 결정이 형성되며, 기존 화산활동이나 열수작용이 아닌 식물 내부의 자기조직화에 의해 만들어짐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화학회 학술지 ‘환경과학과 기술(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연구진은 “식물이 독성 금속을 해독하고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시진핑(习近平, Xi Jinping) 중국 국가주석이 하이난(海南, Hainan) 자유무역항(Free Trade Port·FTP) 건설에서 최고 수준의 국제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하이난성 산야(三亚, Sanya)에서 열린 업무보고 자리에서 “하이난 자유무역항은 개혁과 대외개방을 전면적으로 심화하기 위한 중대한 정책”이라고 밝혔다. 6일 중국 신화사(新华社, Xinhua)에 따르면, 시 주석은 “중공중앙 제20기 4중전회 정신을 철저히 학습하고 이행해야 한다”며 “분야 간 긴밀한 협력과 적극적인 행동,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하이난 자유무역항의 발전 목표를 전면적으로 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이난 자유무역항은 12월 18일 섬 전역에서 특수통관체제를 공식 시행할 예정이다. 시 주석은 이를 “중국이 고표준 대외개방을 확고히 추진하고, 개방형 세계경제 발전을 촉진하는 중대한 이정표”라고 평가했다.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이 예멘 반군 후티에 자국 부품이 유입됐다는 미국의 주장을 정면으로 부인했다. 쑨레이 주유엔 중국대표단 부대표는 유엔안보리 회의에서 “중국은 군수품 수출에 있어 신중하고 책임 있는 태도를 유지한다”며 “무인기 등 이중용도 품목을 엄격히 관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6일 중국중앙(CC)TV에 따르면, 쑨 부대표는 전날 열린 예멘 제재위원회 업무보고 회의에서 “중국 기업들은 세계 무역 규칙과 시장 원칙에 따라 정상적인 경제·무역 협력을 하고 있으며 억지 지적을 받아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미국이 국제법을 위반하며 예멘에서 군사행동을 벌여 무고한 민중에게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고 비판했다. 회의에 참석한 다수 국가 대표들도 인도주의 활동 보장을 강조하며, 제재가 민간인 피해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후티는 지난해 10월 가자지구 전쟁 이후 팔레스타인을 지지한다는 명분으로 이스라엘을 향해 미사일과 드론을 발사해왔으며, 이스라엘은 예멘 내 거점을 공습하며 무력 충돌이 지속되고 있다.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의 화성 탐사선 ‘톈원-1(天问一号, Tianwen-1)’이 태양계를 통과 중인 성간 천체 ‘3I/아틀라스(ATLAS)’를 고해상도 카메라로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중국국가항천국(CNSA)은 이번 관측으로 탐사선이 지구로부터 약 3천만㎞ 떨어진 위치에서 대상 천체를 포착했다고 밝혔다. 6일 중국 매체 궈지스바오(国际时报, Global Times)에 따르면, 지상 시스템이 수신·처리한 영상에는 혜성 핵과 코마(가스 구름)가 선명히 드러났다. CNSA는 연속 30초간 촬영한 사진들을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해 천체의 궤적을 시각화했으며, 현재 이를 토대로 3I/아틀라스의 구조와 기원에 대한 심층 연구가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3I/아틀라스는 7월 1일 칠레 천문대가 처음 발견했으며, 태양계를 방문한 세 번째 성간 천체로, 약 58㎞/초의 속도로 이동한다. 이 천체는 약 30억~110억 년 전에 은하 중심부 근처의 고대 별 주위에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돼, 태양계보다 오래된 외계 행성 물질의 진화를 연구할 귀중한 표본으로 평가된다. CNSA는 “톈원-1의 관측은 차세대 소행성 탐사선 ‘톈원-2(天问二号, Tianwen-2)’ 임무를 위한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차이나데일리| 한국 경주에서 열린 제32차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는 지역 협력의 새로운 전환점을 예고하고 있다. 역내 경제 구조가 급격히 재편되는 가운데, 각국 정상들은 공급망 회복력 강화와 포용적 성장이라는 공동 목표를 재확인했다. 6일 중국 매체 차이나데일리에 따르면, 이번 회의는 디지털 전환과 녹색경제를 중심축으로 하는 아·태 협력의 새로운 청사진을 제시했다. 각국은 기술 혁신과 지속 가능한 무역을 통해 성장의 동력을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했으며, 특히 중·한 협력이 인공지능, 반도체, 친환경 산업 분야에서 가속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중국 대표단은 개방과 포용, 상생을 핵심 가치로 삼고, APEC을 통해 다자무역체제를 보완하며 지역 경제의 안정적 성장을 뒷받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국 정부 또한 글로벌 공급망의 복원력 강화를 위한 협력 필요성을 강조하며, 중국과의 실질적 경제 연계를 확대하겠다고 언급했다.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상하이에서 개막한 중국국제수입박람회(中国国际进口博览会, Zhongguo Guoji Jinkou Bolanhui)가 글로벌 불확실성 속에서도 협력의 통로를 넓히며 세계 경제에 안정감을 더했다. 리창 총리는 고수준 개방과 제도형 개방을 꾸준히 확대하고 서비스업 전면 개방 시범을 가속하겠다고 밝혔다. 6일 중국 상무부(商务部, Shangwu Bu)에 따르면, 이번 행사는 155개국·지역과 국제기구가 참여했고 해외 전시업체 4108곳이 43만㎡를 넘는 전시 공간을 채웠다. 리창 총리는 개막 연설에서 경제 건설을 중심에 두고 고품질 발전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는 최근 당이 ‘15·5’ 로드맵을 통해 2030년까지의 발전 방향을 정리한 흐름과 맞물린다. 주최 측은 “참가 규모와 기업 구성이 모두 새 기록”이라고 설명했다. 글로벌 500대 기업 290곳이 부스를 열었고, 미국 기업은 7년 연속 가장 큰 전시 면적을 확보했다. 상하이(上海, Shanghai) 현지에서는 폴크스바겐 글로벌 이사회 회의와 알파라발의 현장 경영회의가 동시에 잡혔다. 로레알의 니콜라스 이에로니무스 CEO는 현장 첫 방문 소감을 전하며, 중국의 고수준 개방과 예측 가능한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상하이에서 열린 제8회 중국국제수입박람회가 세계의 시선을 끌었다. 리창 총리는 개막식 연설에서 개방과 협력의 확고한 의지를 재차 천명하며, 중국 경제의 예측 가능성과 지속 성장을 강조했다. 6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마오닝 대변인은 전날 정례 브리핑에서 이번 진보회가 “중국의 개방 약속과 상호 이익 추구를 실천하는 장”이라고 평가했다. 중국은 최근 열린 공산당 20기 4중전회에서 ‘15·5’ 규획 건의안을 통과시키며, 장기적 발전의 방향을 확정했다. 리창 총리는 연설에서 경제 건설을 중심에 두고 고품질 발전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제도적 개방 확대와 자주적 개방 조치를 통해 세계 경제 성장에 새 동력을 제공하겠다고 덧붙였다. 올해 진보회에는 150여 개 국가와 지역, 4100개 이상의 해외 기업이 참가했다. 마오닝 대변인은 “중국과 함께한다는 것은 곧 기회와 함께하는 것”이라며, 중국 대시장이 세계 성장의 중요한 엔진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브리핑에서는 여러 국제 현안에 대한 입장도 제시됐다. 대만 문제에 대해 그는 “하나의 중국 원칙 아래 중국 타이베이의 APEC 참여는 정치적 전제에 근거한다”고 밝히며 기존 입장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피지 대통령 라라바라부에게 축전을 보내 양국 수교 50주년을 기념했다. 두 정상은 반세기 협력의 성과를 평가하며, 새로운 단계의 전략적 협력을 약속했다. 6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시 주석은 전날 보낸 서신에서 “피지는 신중국과 가장 먼저 외교 관계를 수립한 태평양 섬나라로, 반세기 동안 양국은 국제 환경 변화 속에서도 상호 존중과 평등, 협력의 정신을 지켜왔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 들어 ‘일대일로(一带一路, Yidai Yilu)’ 공동 건설이 성과를 거두며 양국 국민에게 실질적 혜택을 가져왔다”며, “이를 계기로 정치적 신뢰를 높이고 다방면 협력을 확장해 중피(中斐) 전면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한층 끌어올리겠다”고 강조했다. 라라바라부 대통령은 “피지와 중국의 관계는 상호 존중과 공동 번영의 기반 위에 세워졌으며, 50년은 양국 역사에서 의미 깊은 이정표”라고 평가했다. 그는 “양국 협력이 지역과 국제 문제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활력 있고 깊은 관계로 발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리창(李强, Li Qiang) 중국 국무원 총리와 피지 총리 람부카 역시 축전을 교환했다. 리
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중국이 신에너지 저장 분야에서 세계 1위를 달성했다. 5일 국가에너지국이 발표한 최신 통계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중국의 신에너지 저장 설비 용량이 1억 킬로와트를 넘어섰다. 이는 제13차 5개년 계획 말 대비 30배 이상 증가한 수치로, 전 세계 신에너지 저장 설비의 40% 이상을 차지한다. 중국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확대와 안정적 전력 운영을 위해 에너지 저장 산업을 전략 산업으로 육성해왔다. 특히 북부 지역은 3,118만㎾를 운영 중으로 전체의 30.4%를 차지하며, 서북부는 2,672만㎾(26.1%), 동부는 1,655만㎾(16.1%)로 뒤를 잇는다. 국가에너지국은 현재 신에너지 저장 시설의 대형화가 빠르게 진전되고 있다고 밝혔다. 100메가와트(MW) 이상급 대형 발전소가 전체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올해 1~3분기 전국 신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등가 이용 시간은 약 770시간으로 전년보다 120시간 증가했다. 이는 신재생 발전 효율을 높이고, 전력망 안정성과 전력 공급의 유연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중국 정부가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관세 부과를 오는 10일 오후 1시 1분부터 중단하기로 했다. 이는 최근 열린 미중 경제·무역 협의 결과를 구체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조치로, 양국 간 교역 안정화와 경제 협력 복원에 속도를 내는 신호로 해석된다. 5일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 발표에 따르면, 위원회는 ‘미국산 일부 수입품에 추가관세를 부과하는 관련 공고(2025년 제2호)’에 따라 부과됐던 관세 중 일부를 10일부터 일시 중단한다. 또한 ‘미국산 수입품 추가관세 부과 관련 공고(2025년 제4호)’에 근거한 조정도 같은 날 동시에 시행한다. 이에 따라 미국산 제품에 적용되던 24%의 추가관세는 1년간 유예되며, 10% 관세는 유지된다. 위원회는 이번 결정이 ‘중화인민공화국 관세법’과 ‘대외무역법’ 등 관련 법률 및 국제법 원칙에 따라 국무원 승인을 거쳐 시행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관세 중단과 조정은 최근 미중 간 협상에서 합의된 경제협력 세부 이행 조치의 일환으로, 무역 갈등 완화와 공급망 복원을 위한 실질적 신호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