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 국방부가 일본의 연속적 군사 조치에 강하게 반발하며, 주변 안보 환경을 뒤흔드는 행보가 더는 용인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최근 일본이 배타적 무력 조치와 군사 수출 완화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중국은 전쟁 책임의 역사적 사실을 지우려는 시도와 군사적 확장을 동시에 추진하는 움직임을 직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8일 중국 국방부에 따르면, 쟝빈(Jiang Bin) 대변인은 전날 정례 브리핑에서 일본의 요나구니 섬 미사일 배치, 탄도미사일의 해외 판매, 안보 문서 개정 논의 확대를 하나로 연결된 위험한 흐름으로 규정하며 “금선을 건드리는 순간 대가를 치르게 된다”고 밝혔다.
중국 국방부는 일본이 이른바 ‘안보 정책 개편’을 명분으로 방위비를 크게 늘리고, 무기 수출 제한을 완화하며, 비핵 3원칙까지 손보려는 움직임을 놓고 국제사회가 경계심을 늦춰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일본 정부가 대만 주변 해역에 대한 군사 개입을 시사한 데 대해 중국은 역사적 맥락을 거론하며 강한 유감을 표했다. 쟝빈 대변인은 대만이 복귀 80주년을 맞은 해에 일본이 식민통치의 책임을 성찰하기는커녕 군사적 개입을 암시하는 것은 전후 국제 질서를 흔드는 퇴행적 선택이라고 강조했다.
중국 군은 외부 공격을 억제할 충분한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일본 자위대 소식통이 중국 항모 푸젠이 대만해협에서 행동에 나설 경우 일본·미국이 이를 격침할 수 있다고 주장한 데 대해 중국 국방부는 “현실과 동떨어진 공상”이라고 일축했다.
중국 내 전문가들은 일본의 최근 행보가 주변국 안보에 누적된 긴장을 높이고 있다고 짚었다. 송중핑(Song Zhongping) 군사전문가는 일본이 전범 책임에 대한 반성 없이 군사력 확대, 핵 능력 추구, 무기 수출 강화로 기울고 있다며, 이러한 방향이 방치될 경우 동북아가 다시 격랑에 휩싸일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 측은 일본 총리 다카이치 사나에 발언 이후 불거진 양국 갈등도 주목했다. 일본 국내 시민단체와 일부 정치인들까지 공개적으로 반발하는 상황을 언급하며, 중국 내부에서는 일본이 스스로 국제사회에 약속해온 ‘전쟁 포기’ 정신과 멀어지고 있다는 점이 더 깊은 우려를 부르고 있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