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중국은 항일전쟁 승리 80주년을 맞아 전국 31개 성·시·자치구에서 대규모 기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항일전쟁기념관이라는 공간이 있다. 현재 중국 전역에는 크고 작은 항일기념관이 500곳 이상 존재하며, 이는 단순한 유적지 보존을 넘어 국가적 정체성과 민족 통합의 상징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기념관은 베이징(北京, Beijing)의 ‘중국인민항일전쟁기념관(中国人民抗日战争纪念馆, Zhongguo Renmin Kangri Zhanzheng Jinianguan)’이다. 이곳은 루거우차오(盧溝橋, Lugouqiao) 인근에 위치한 항일전쟁 발발의 현장에 세워졌으며, 중국공산당이 주도한 항전 서사를 전면에 배치하고 있다. 전시관은 마오쩌둥(毛泽东, Mao Zedong)의 전략 지도, 팔로군(八路军, Balu Jun)과 신사군(新四军, Xinsijun)의 전투 장면, 민중의 참여 등으로 구성되며, 항일 전쟁을 '전 인민의 항전'으로 재현한다. 동북3성 지역에는 지역별 항전의 기억을 담은 기념관들이 촘촘히 들어서 있다. 지린성(吉林省, Jilin Sheng)의 퉁화(通化, Tonghua)에는 ‘동북항일연군기념관(东北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 국가주석 시진핑이 카롤 나브로츠키(Karol Nawrocki)의 폴란드 대통령 당선을 축하하며 양국 간 전략적 협력 강화를 다짐했다. 6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시 주석은 이날 나브로츠키 대통령 당선인에게 축전을 보내 양국의 오랜 우호 관계를 강조하며 협력 확대 의지를 천명했다. 시 주석은 폴란드가 신중국 수립 이후 가장 먼저 외교관계를 맺은 국가 중 하나라는 점을 상기시키며, 지난 76년간 양국은 상호 존중과 평등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인 협력을 이뤄냈다고 평가했다. 이어 그는 “국제 정세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 가운데, 중국과 폴란드는 더욱 굳건한 정치적 상호 신뢰와 전략적 소통을 바탕으로 협력해야 할 시점”이라며, “나브로츠키 대통령과 함께 양국 간 전면적 전략 동반자 관계를 안정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 메시지는 중국 외교부 공식 사이트 ‘중요뉴스’ 섹션에 게재됐다. 중국은 최근 들어 유럽 내 전통적 협력국가들과의 정치·경제 연계를 재확인하고 있으며, 특히 ‘일대일로’ 구상 하에서 동유럽 지역을 중점 협력 파트너로 삼고 있다.
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화려한 결혼식을 올린 지 단 열이틀 만에 이혼 소식이 전해졌다. 연예계에서 보기 드문 ‘12일 초고속 파경’이라는 기록은 팬들에게 충격을 안겼고, 그 배경을 두고 각종 추측이 이어지고 있다. 7일 방송계에 따르면, 최근 인기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했던 30대 중반의 여성 연예인 A씨가 결혼한 지 불과 12일 만에 이혼 절차를 밟았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상대는 중견 연예기획사 대표로, 업계에서는 이름만 대면 알 정도의 인물이었다. 두 사람은 과거 행사에서 만나 빠르게 가까워졌고, 약 3개월 만에 혼인신고까지 마쳤다. 하지만 결혼 직후 갈등이 불거졌다. 양측은 생활 방식과 가족 문제, 경제관념 등을 이유로 심각한 의견 충돌을 겪었고, 결국 ‘함께 사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이혼을 결정했다. A씨 측 관계자는 “서로 충분히 알지 못한 채 감정적으로 서둘렀던 결혼이 오히려 상처가 됐다”고 전했다. 특히 두 사람은 별도의 정식 결혼식 없이 가족들과의 식사 자리만 진행했으며, 신혼여행도 떠나지 못한 채 이혼 서류에 도장을 찍은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현재 SNS 활동을 중단한 상태이며, 예정됐던 방송 촬영도 잠정 보류된 것으로 전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미국 내 보수 성향의 대표 방송인 조 로건이 일론 머스크를 향해 “누가 그의 폰 좀 뺏어라”고 직설적으로 비판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을 겨냥한 머스크의 연이은 공격에 보수 진영 내부의 균열이 노출된 모양새다. 7일 TMZ 보도에 따르면, 로건은 최근 자신의 팟캐스트에서 머스크의 소셜미디어 활동에 대해 “그가 제어 불가능한 수위로 나아가고 있다”며 “누군가는 이제 그의 휴대폰을 치워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를 말릴 참모진은 도대체 어디 있느냐”고 되묻는 등 불편한 기색을 숨기지 않았다. 머스크는 최근 X(구 트위터)를 통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해 “다시 대통령이 된다면 민주주의가 위험해질 것”이라며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냈다. 이에 트럼프 지지자들은 머스크가 좌파 편향적 언론과 동조하고 있다며 반발했고, 공화당 내 보수층에서는 “머스크는 더 이상 우리 편이 아니다”는 반응까지 나왔다. TMZ는 조 로건이 트럼프를 적극 지지하지는 않더라도, 머스크처럼 공개 비난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입장이라는 점에서 이번 발언은 보수 진영의 분열 조짐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분석했다. 소셜미디어에서는 ‘#조로건머스크충돌’ 해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방송인 이상민이 조용히 시작한 새 인생의 단면이 피로연 현장에서 드러났다. 웅성이는 하객들 사이에서 등장한 그의 신부는 단아한 미소와 함께 긴 생머리를 늘어뜨리고 나타났다. 대중에게는 베일에 싸였던 존재였지만, 현장에선 "정말 실존 인물이었네"라는 반응이 터져 나왔다. 7일 복수의 방송 관계자들에 따르면, 전날 오후 서울 모처에서 이상민의 비공개 결혼 피로연이 열렸다. 정식 결혼식은 가족과 가까운 지인 위주로 치렀고, 이날 피로연은 연예계 동료들과 방송계 지인들을 중심으로 마련됐다. 현장에선 김준호, 김대희, 신동엽, 붐, 김지민 등과 방송작가, PD, 매니저들이 참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피로연에서 이상민은 아내를 처음으로 공식 석상에 소개했다. 신부는 30대 초반의 비연예인으로, 서울 강남권 IT 관련 기업에서 기획 업무를 맡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두 사람은 지인의 소개로 만나 1년 가까이 교제해왔으며, 최근 양가 가족 상견례를 마치고 조용히 혼인신고를 마친 상태다. 한 참석자는 “신부가 조용하고 고운 인상의 여성으로, 말을 아끼지만 차분한 분위기를 가지고 있었다”며 “이상민이 주변 사람들에게 ‘이제 내 삶의 큰 숙제를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과 아프리카 간 전략적 협력 강화를 위한 고위급 회의가 후난성 장사에서 열린다. 중아협력포럼 성과 이행 조정자 회의와 제4회 중국-아프리카 경제무역박람회가 오는 10일부터 12일까지 동시 개최된다. 7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이번 회의는 작년 9월 베이징에서 열린 중아정상회의의 후속 조치로, 당시 시진핑 주석이 제시한 ‘중아 현대화 공동추진 6대 제안’과 ‘10대 파트너 행동계획’의 구체적 실행을 논의하는 자리다. 포럼에는 아프리카 54개 회원국 대표들이 참여한다. 중국은 양자 간 협력 성과를 ‘조기 수확(早期收获)’이라는 표현으로 강조하며, 회의에서 이를 제도화하고 본격 확대해갈 방침이다. 특히 경제 인프라, 디지털 기술, 청년 교육, 의료 보건 등 실질적 협력 프로젝트의 진전을 통해 ‘운명공동체’ 구상을 구체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또한 이번 회의가 ‘글로벌 사우스’ 연대의 장으로 기능하길 기대하고 있다. 외교부 린젠(林剑, Lin Jian) 대변인은 전날 정례 브리핑에서 “이번 포럼은 단순한 중국-아프리카 간 협력을 넘어 남반구 개도국의 공동 이익을 대변하는 국제 무대가 될 것”이라며 “중국과 아프리카가 공동의 미래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KIC중국 공동 | 정밀 동작을 설계하는 근육의 수학, 액추에이터 배치는 로봇 성능의 구조를 결정한다. 휴머노이드 로봇이 인간의 동작을 흉내 내고, 나아가 사람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라는 핵심 기술 장치가 필요하다. 이 장치는 직선 운동을 만들어내는 기계 부품으로, 전기모터나 유압 구동을 통해 로봇의 관절을 움직이게 하는 역할을 하며, 사실상 기계적 근육에 해당한다. 7일 중국의 산업로봇 전문가들에 따르면, 휴머노이드 로봇의 리니어 액추에이터는 단순 구동이 아니라 센서 기반의 피드백 시스템을 통해 정밀하게 동작을 조절하며, 로봇의 자연스러운 보행, 물체 집기, 균형 유지에 필수적으로 활용된다. 특히 최근에는 리니어 액추에이터가 '지능형 인터페이스'로 진화하면서, 단순 부품이 아닌 통합형 정밀 구동 시스템으로 기능하고 있다. 예를 들어 테슬라 옵티머스(Tesla Optimus)는 전신에 약 28개의 관절을 갖추고 있으며, 여기에 40여 개의 리니어 액추에이터가 각각 독립적인 회전 및 직선 운동을 수행한다. 또한 중국 유청로보틱스(宇树科技, Unitree Robot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 후베이(湖北, Hubei) 우한에 위치한 화중과기대(华中科技大学, Huazh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부속 퉁지병원(同济医院, Tongji Hospital)이 중부지역 최초로 뇌-기계 인터페이스(BMI) 전문 진료실을 개설했다. 6일 병원 측에 따르면, 개소 첫날 뇌출혈로 편마비를 앓고 있는 한 여성 환자가 비침습형 뇌파 신호를 채취하며 1호 진료를 받았다. 이후 환자별 맞춤형 재활계획 수립을 위한 본격적 평가가 진행됐다. 뇌-기계 진료실은 전국적으로 예약 진료가 가능하며, 초기 상담 비용은 기존 전문 클리닉과 동일하다. 다만 환자가 정밀평가를 통해 임상시험 대상군으로 선별될 경우, 해당 치료는 무상으로 진행된다. 진료실은 중풍, 척수손상 등 난치성 신경 질환 환자들을 대상으로 뇌파 기반 치료 평가 및 상담을 제공한다. 환자들은 다차원 선별을 통과할 경우, 전임상에서 상용화 단계에 접어든 신형 뇌-기계 기술을 우선 적용받게 된다. 동시에 환자들의 장기 데이터가 병원 내부에 축적되며, 향후 기술 고도화와 알고리즘 개선에 실질적 토대가 될 전망이다. 이와 동시에 뇌-기계 기술 실증을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칩 설계사 국과미(国科微)가 고성능 필터 제조사 중신닝보(中芯宁波)를 전격 인수하면서 중국 반도체 산업에 중대한 변곡점이 마련됐다. 설계와 제조를 아우르는 이 거래는 국가적 기술 자립 목표와도 맞물린 결정이다. 6일 중국증권시장에 따르면, 국과미는 중신닝보 지분 94.37%를 인수하는 내용의 자산재편 계획을 발표했다. 중신국제(中芯国际)는 자회사 중신홀딩스를 통해 보유 중이던 지분 14.832% 전량을 처분함으로써, 거래 이후 중신닝보에서 완전히 철수하게 된다. 이번 인수를 통해 국과미는 디지털 칩 설계에 더해 아날로그 제조 역량까지 확보하게 되며, 고주파 BAW(Filter) 제품과 자사 WiFi 칩을 묶은 통합 솔루션 공급이 가능해진다. 중신닝보의 주력 제품은 이미 국내 대형 스마트폰 업체의 플래그십 모델에 적용되고 있으며, 중국산 필터 칩이 외산 독점을 깨뜨린 상징적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중신닝보는 SUB6G 전 주파수를 포괄하는 생산체계를 구축했으며, 고난도 공정이 필요한 MEMS 제조 역량도 갖추고 있다. 국과미는 “이번 인수는 설계·제조 통합이라는 산업적 수직계열화를 통해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기회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항일전쟁 승리 80주년을 맞아, 중국 전역의 도시들이 자국 역사에서의 항전 기억을 재조명하고 있다. 특히 베이핑(北平, 현재 베이징), 상하이(上海), 충칭(重庆) 세 도시는 각기 다른 전쟁 체험과 전략적 역할을 수행하며 항일 전선의 중심에 서 있었다. 1937년 7월 7일 루거우차오(盧溝橋, 노구교) 사건은 베이핑에서 발생했다. 이 사건은 중일전쟁 발발의 기점이자, 중국 전체가 항전 체제로 진입하는 결정적 분수령이었다. 베이핑은 당시 국민당 정부의 북방 전략 거점이었으며, 사건 직후 일본군의 대대적인 공격으로 함락됐지만, 중국공산당은 이 지역을 항전의 정신적 출발점으로 삼았다. 오늘날 베이징은 ‘중국인민항일전쟁기념관(中国人民抗日战争纪念馆)’을 중심으로 매년 수백 건의 교육·기념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루거우차오 인근 완핑성(宛平城)은 보존 상태가 우수한 전쟁 유적지로, 청소년과 당원 교육의 핵심 공간으로 활용된다. 중국 중앙TV(CCTV)는 2025년 항일 80주년을 맞아 ‘첫 번째 총성’이라는 특집 프로그램을 방영하며, “베이핑이 항전의 시작을 알린 도시”라는 메시지를 강조했다. 반면 상하이는 항일전쟁 초기 가장 치열한 전면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