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중국의 국경절과 중추절 연휴 이틀째 전국에서 2억 9천만 건의 교통 이동이 발생하며 전년 대비 2.2% 증가했다. 철도는 하루 1,930만 명이 탑승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도로와 항공, 수상 여객도 모두 상승세를 이어갔다. 3일 CCTV뉴스에 따르면, 운수부는 연휴 기간 교통 수요 급증에 맞춰 철도와 항공편을 추가 투입하고 노선을 확대했다. 윈난철도는 중국-라오스, 중국-베트남 국경 간 고속열차를 운행하고, 신장 지역은 우루무치와 카스, 하미 주요 역을 24시간 개방했다. 네이멍구 후허하오터-에진기 노선은 주 2회에서 매일 운행으로 확대됐다. 도로 이동은 2억 6천만 건으로 집계돼 전년보다 1.9% 늘었으며, 항공 여객은 245만 명으로 5.3% 증가했다. 광저우, 상하이, 베이징, 청두 등이 주요 관광 목적지로 꼽혔고, 주요 항공사들은 대형 항공기 투입과 증편으로 대응했다. 수상 교통도 160만 명으로 지난해보다 14.8% 급증했다.
더지엠뉴스 이남ㄴ싀 기자 | 미국 정부가 7년 만에 다시 셧다운에 들어가면서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에 중대한 변수가 추가됐다. 월가에서는 이번 사태가 10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 인하 가능성을 사실상 확정짓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2일 차이롄사(财联社)에 따르면, 정부 폐쇄가 장기화할 경우 미국 노동부가 비농업부문 고용지표를 제때 발표하지 못하게 되며, 이는 연준의 정책 판단을 어렵게 만든다. 에버코어ISI의 크리슈나 구하는 보고서에서 “데이터 지연과 셧다운 충격으로 10월 금리 인하는 더 이상 의문의 여지가 없다”고 밝혔다. 미국은행도 비슷한 견해를 제시했다. 9월 고용보고서가 없으면 제롬 파월 의장은 위험 관리 차원에서 추가 인하를 추진할 수밖에 없으며, 셧다운 장기화는 노동시장 불안과 경기 하방 위험을 더욱 키운다고 설명했다. ADP가 발표한 9월 민간고용은 3만2천 명 감소해 시장 예상치와 크게 어긋났고, 이는 이미 취약한 노동시장 상황을 드러냈다. 이에 따라 CME ‘연준 관찰’ 지표에서 10월 기준금리 인하 확률은 100%에 달했으며, 25bp 인하 가능성이 99%, 50bp 인하 가능성은 1%로 집계됐다.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톈진대학(天津大学, Tianjin University) 개교 130주년을 맞아 축하 서한을 보냈다. 1일자로 작성된 서한에서 시 주석은 교직원과 학생, 동문들에게 축하를 전하며 국가 전략 수요에 부응하는 연구와 교육에 매진할 것을 당부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은 톈진대학의 이번 기념일을 새로운 출발점으로 규정하고, 기초연구를 강화하며 더 큰 과학기술 성과를 달성하길 기대했다. 또한 교육 품질 제고와 인재 양성을 통해 경제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중국식 현대화를 뒷받침하는 과학기술 강국 건설에 앞장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1895년 북양대학당으로 설립된 톈진대학은 중국 최초의 근대식 대학으로, 1951년 현재 이름으로 개칭됐다. 최근 톈진대학 교직원과 학생들이 보낸 서한에는 자주적 인재 양성과 과학기술 자립을 향한 결의가 담겨 있었으며, 시 주석은 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격려의 뜻을 밝혔다.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이 인류의 에너지 혁신을 이끌 새로운 목표를 내세웠다. 2030년까지 핵융합 발전을 활용한 첫 점등 시연을 세계 최초로 실현하겠다는 계획이다. 2일 중국중앙TV(CCTV)에 따르면, 안후이성 허페이에 건설 중인 핵융합 에너지 실험장치 BEST의 극저온 용기 받침판이 전날 설치되며 프로젝트가 본격적인 진전에 들어갔다. BEST는 초전도 토카막 방식의 연소 플라즈마 실험 설비로, 올해 5월 최종 조립에 착수했으며 2027년 완공 예정이다. 중국 당국은 이 설비가 완성되면 2030년 핵융합 에너지를 이용해 실제 전구에 불을 켜는 시연을 선보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핵융합 발전은 태양 내부의 반응을 모방한 에너지 방식으로, 방사성 폐기물 배출이 없으며 연료 1㎏당 기존 핵분열보다 4배, 석탄 연소 대비 약 400만배의 에너지를 생산한다. 이로써 중국은 미국이 주도해온 기술 경쟁에 정면 도전하고 있다. 미국은 2022년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점화시설(NIF)에서 ‘핵융합 점화’에 성공하며 투입보다 많은 에너지를 산출했으나, 중국은 최근 막대한 자금을 투입해 세계 최초 상용화 시연이라는 새로운 이정표를 겨냥하고 있다.
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홍콩 금융관리국(香港金融管理局, HKMA)은 9월 말까지 총 36개 기관으로부터 스테이블코인 발행 관련 라이선스 신청을 접수했다고 밝혔다. 은행, IT기업, 자산운용사, 전자상거래, 지급결제 업체, 스타트업과 웹3 기업 등이 포함됐다. 2일 매일경제신문 보도에 따르면, 금管局은 제출 자료를 검토해 내년 초 첫 승인 대상을 공개할 예정이며, 초기에는 소수 기업에 한해 자격을 부여할 방침이다. 홍콩은 8월 1일 ‘스테이블코인 조례’를 발효하며 세계 최초의 법정화폐 연동형 코인에 대한 포괄적 규제 틀을 마련했다. 이 조례는 자본 적정성, 준비자산 분리, 자금세탁 방지 등 일곱 가지 영역을 규율하며, 동일 위험에는 동일 규제를 적용한다는 원칙을 담고 있다. 금융괸리국은 라이선스 없는 스테이블코인 홍보에 대한 경계심도 시민들에게 강조했다. 앞서 금융관리국은 7월에 샌드박스 명단을 발표했으며, 여기에는 징둥(京东) 산하의 코인체인테크, 위안코인 이노베이션, 스탠다드차타드은행(香港) 등 다섯 개사가 포함됐다. 일부 참여 기업은 합작사를 설립해 발행 비즈니스 모델을 구체화했으나, 금管局은 샌드박스 참여가 곧바로 승인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고 선을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은 14차 5개년 규획 기간(2021~2025)에 자본시장의 제도적 개방을 심화하며 글로벌 투자자의 이목을 집중시켜 왔다. 외자 지분 참여 제한 해제, 파생상품 시장 개방, 홍콩 금융 허브 강화 방안 등이 잇따라 실행되며 자본 유입 규모가 눈에 띄게 늘었다. 2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CSRC)는 지난 기간 외자 지배 증권·펀드·선물사 13곳을 승인했고, 외국적격기관투자자(QFII) 수는 8월 말 기준 907개에 달했다. 이들의 주식 보유액은 9,493억 위안(약 1,337억 달러·약 186조 원)에 이르렀다. 올해 2분기 말 기준 북상자금의 총 시장가치는 2조2,900억 위안(약 321조 원)으로 직전 분기 대비 2% 이상 증가했다. HSBC 글로벌 인베스트먼트 리서치 조사에서도 신흥국 중 중국 주식시장이 해외 기관의 최우선 투자처로 꼽혔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중국 본토 증시에 대해 가장 낙관적이라고 밝혀, 지난 6월 조사 당시 약 3분의 1에 불과했던 비중을 크게 웃돌았다. 중국은 이 같은 성과를 제도적 개혁으로 뒷받침해왔다. 금융기관 외자 지분 제한 철폐, QFII 제도 개선, 외국인 파생상품 거래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일회용 생수병에서 떨어지는 미세·나노 플라스틱이 섭취량과 잠재 위험을 급격히 높여 암·불임·신경 손상과 같은 위해를 유발할 수 있다는 종합 분석이 제시됐다. 생수로 수분을 충당하는 사람이 수돗물만 마시는 사람보다 연간 추가로 수만 개의 입자를 더 삼킨다는 정량 추정이 함께 나왔다. 2일 외신에 따르면, 캐나다 콘코디아대학 연구팀은 학술지 위험물질저널(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에 게재한 메타분석에서 인체의 연간 미세 플라스틱 섭취량을 평균 수만 개 규모로 산정하고, 생수 의존 시 총량이 급증한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141편 선행 논문을 통합해 생수병에서 분리된 입자의 크기 분포와 개수를 재구성했다. 미세 플라스틱은 대체로 1마이크로미터에서 5밀리미터 사이 조각을 뜻하며, 더 작은 나노 플라스틱은 조직 장벽을 통과해 장기 깊숙이 침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분석에는 물 섭취를 통한 경구 노출뿐 아니라 식품·호흡을 통한 간접 유입 시나리오가 포함됐다. 연구진은 입자 자체의 물리적 자극과 플라스틱 첨가제의 화학적 노출이 염증 유발, 호르몬 교란, 면역 약화로 이어질 위험을 제시했다. 프탈레이트 등 가소제가 생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온라인 패스트패션 기업 쉬인(SHEIN)이 오는 11월 프랑스 파리 중심부 BHV 마레 백화점에 첫 상설 오프라인 매장을 개설한다. 이어 디종, 랭스, 그르노블, 앙제, 리모주 등 지방 5곳의 갤러리 라파예트 백화점에도 순차적으로 진출할 계획이다. 2일 AFP 통신에 따르면, 쉬인 회장 도널드 탕은 프랑스 일간 르피가로 인터뷰에서 “프랑스를 세계 패션의 수도이자 현대적 백화점의 발상지로 존중한다”며 “BHV와 라파예트 백화점과의 협력은 젊은 세대 고객을 끌어들이고 지역 상권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쉬인은 기존에 일주일 단위의 단기 팝업스토어만 운영했으나, 이번에 장기 상설 공간을 통해 유럽 시장에서 영향력을 강화한다. 회사 측은 프랑스 도심 재생과 상업 유산 보존에도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OECD 프랑스 연락사무소(NCP)는 쉬인이 다국적기업 지침을 따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NCP는 제품의 재활용 원료 표시, 생산 과정 공개, 노동법 의무 준수, 공급망 관련 정보 및 온실가스 배출량 공개 등이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쉬인에 노동자 권리 보장, 하도급 관리, 재무·지배구조 투명화 등을 권고했다.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중국의 국경절 황금연휴(1~8일)가 시작되면서 귀향 행렬이 본격화됐다. 연휴 첫날부터 전국 고속도로 곳곳에서 정체가 발생하며 차량 흐름이 멈춰 섰고, 주요 도시 교통망에는 수백만 인파가 몰렸다. 중국 교통운수부는 연휴 기간 이동 인구가 총 23억6천만명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1일 중국신문망 보도에 따르면, 전날 밤부터 소셜미디어에는 귀성 차량 행렬이 도로 위에 꼼짝없이 멈춰 선 장면이 다수 공유됐다. 네티즌들은 하얀색 전조등과 붉은색 브레이크등 불빛이 이어진 광경을 ‘원앙 훠궈(火锅)’에 빗대기도 했다. 교통운수부는 전체 이동 인구 가운데 자가용 이동이 18억7천만명으로 80%를 차지하며, 연휴 초반과 후반 피크 시기에 고속도로 운행 차량만 7천만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중 신에너지차가 1천400만대 수준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중국 당국은 내수 진작을 위해 연휴 기간 국내 관광을 적극 장려하며 광저우·베이징·상하이·청두·시안·항저우·난징·충칭 등 대도시 관광 수요가 지난해보다 증가했다고 밝혔다. 해외여행지로는 러시아, 일본, 한국, 동남아시아가 특히 인기를 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징 톈안먼(天安門, Tiana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국경절 연휴(1~8일)를 맞아 중국인 단체관광객의 무비자 입국이 본격화되면서 한국 관광·유통업계가 활기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 공간에서는 범죄, 감염병, 사회 혼란을 연결하는 반중 정서성 괴담이 퍼지고 있다. 1일 중국 외교부와 국내 당국 설명을 종합하면 대부분 사실과 다른 과장된 주장으로 드러났다. 지난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 이후 전자여행허가(K-ETA)와 전자입국신고 사이트 접속에 일시 문제가 생기자, 일부 보수단체는 “중국인 범죄자 3천만명이 체류지도 안 적고 들어온다”는 주장을 내놨다. 그러나 법무부는 무비자 입국 중국인 관광객은 K-ETA 대상이 아니며, ‘하이코리아’ 시스템을 통해 사전 명단·여권·체류지가 이미 등록된다고 밝혔다. 해당 시스템은 화재와 무관하게 정상 운영됐다는 점도 덧붙였다. 또한 무비자 입국자는 여행사 단체객만 해당하며, 불법체류 전력자는 제외된다. 여행사에 대해서도 무단이탈률이 분기 평균 2% 이상일 경우 지정이 취소되는 등 강력한 관리가 뒤따른다. 기존 5% 기준보다 훨씬 강화된 조치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관광객 이탈에 대한 여행사 책임을 크게 높였다”고 설명했다. 감염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