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의 7월 수출이 예상치를 크게 뛰어넘으며 시장을 놀라게 했다. 반면 대미, 대러시아 수출과 희토류 수출은 감소세를 드러냈다.
7일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7월 수출액은 3천217억8천만달러(약 445조5천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7.2% 늘었다. 이는 로이터(5.4%)와 블룸버그(5.6%)의 전문가 전망치보다도 높았고, 6월 증가율(5.8%)도 넘어섰다.
같은 기간 수입은 2천235억4천만달러(약 309조5천억원)로 4.1% 증가하며, 시장 예상치인 -1.0%를 큰 폭으로 웃돌았다.
무역흑자는 982억4천만달러(약 136조원)로 집계됐고, 총 무역 규모는 5천453억2천만달러(약 755조1천억원)에 달해 전년 대비 5.9% 성장했다. 위안화 기준으로는 수출 8.0%, 수입 4.8%, 총액 6.7% 증가했다.
1~7월 누적 기준으로는 수출 6.1% 증가, 수입은 2.7% 감소했으며, 전체 무역 규모는 2.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역 대상별 흐름은 엇갈렸다. 미국과의 무역은 전반적인 위축세가 심화됐다. 수출은 12.6% 줄어든 2천513억7천만달러(약 348조원), 수입은 10.3% 감소한 858억5천만달러(약 118조8천억원)였다. 무역 총액은 전년보다 12.0% 줄어 하락폭이 커졌다.
EU와의 무역은 상대적으로 선방했다. 수입은 5.2% 줄었지만 수출이 7.0% 늘며 전체 교역액은 4천666억달러(약 646조원)로 2.8% 증가했다.
한국과의 교역은 소폭 감소했다. 수출은 1.1% 줄어든 832억2천만달러(약 115조원), 수입은 0.3% 늘어난 1천15억2천만달러(약 140조원)로, 전체 무역 규모는 0.4% 감소했다.
일본은 반대로 모두 증가했다. 수출은 4.4% 늘어난 901억6천만달러(약 125조원), 수입은 2.5% 늘어난 893억2천만달러(약 124조원)로, 전체 규모는 3.5% 증가했다.
러시아와의 무역은 전반적인 감소세가 확인됐다. 수출은 8.5%, 수입은 7.7% 줄어들며 전체 무역 규모는 8.1% 축소됐다.
아세안(ASEAN) 국가들과의 교역은 뚜렷한 상승 흐름을 보였다. 수출은 13.5% 늘어난 3천770억달러(약 521조원), 수입은 0.2% 증가한 2천199억달러(약 304조원)로 집계됐다.
품목별로는 집적회로(20.5%↑), 자동차(9.7%↑), 선박(15.5%↑), 비료(49.3%↑) 등의 수출이 강세를 보였다.
희토류 수출은 이례적인 움직임을 보였다. 연간 누적으로는 3만8천563톤으로 13% 넘게 늘었지만, 7월 단일 수출량은 5천994톤으로 전달 대비 22.6% 급감했다.
블룸버그는 관련 보도에서 "미국의 고율 관세에도 불구하고 중국 수출이 예상을 웃돌았다"고 전하며, "기업들이 관세 회피를 위해 조기 선적에 나선 영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중국 항만의 컨테이너 물동량이 2주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