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4-03(목)
  • 전체메뉴보기

미국
Home >  미국  >  증권/금융

실시간뉴스

실시간 증권/금융 기사

  • 미국 전문가, 한국 투자자 행태 경고… "폭락 직전 주식만 산다"
    [더지엠뉴스] 미국 자산운용사 아카디안(ACADIAN)의 오웬 라몬트 수석 부사장이 한국 개인 투자자(서학개미)의 공격적인 투자 행태가 미국 증시 변동성을 키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라몬트 부사장은 최근 발표한 보고서 '오징어 게임 주식시장(The Squid Game stock market)'에서 한국 개인 투자자들이 고위험 자산에 집중하며 시장 불안정을 초래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레버리지 단일 주식 ETF, 암호화폐 ETF, 양자컴퓨팅 관련 주식에서 극심한 변동성이 나타나는 이유가 한국 투자자들의 집중 매수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개인 투자자의 미국 주식 보유액은 1121억 달러(약 163조 원)로 전체 시장 규모(62조 달러) 대비 0.2%에 불과하지만, 특정 틈새시장에서는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12월 한국 투자자들이 1억1100만 달러(약 1613억 원)를 매수한 리게티 컴퓨팅(Ligget Computing)은 한 달 만에 주가가 1400% 폭등했지만 이후 55% 하락하는 등 한국 투자자의 집중 투자가 시장 변동성을 증폭시킨 사례로 지적됐다. 라몬트 부사장은 한국 투자자들의 행태를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 게임'에 빗대어 설명했다. 그는 "한국 투자자들은 빠르게 부자가 되기 위해 큰 위험을 감수하고 투자에 나서며, 이는 종종 좋지 않은 결과로 이어진다"고 경고했다. 그는 또한 과거 글로벌 금융사에서 손실을 본 개인 투자자 그룹을 언급하며 "1989년 일본의 부동산 버블, 1999년 IT 버블, 2021년 밈 주식 광풍처럼 한국 투자자들도 현재 비슷한 상황에 처해 있다"고 분석했다. 라몬트 부사장은 "오징어 게임 참가자들이 게임 규칙을 정확히 알지 못한 채 위험한 선택을 하는 것처럼, 한국 투자자들도 높은 수익을 좇아 위험한 투자에 나서고 있다"며, "가장 현명한 선택은 시장에서 한발 물러나 지루하더라도 인덱스 펀드를 매수하는 것"이라고 조언했다. 아카디안 자산운용은 1986년 설립된 글로벌 퀀트 헤지펀드로, 현재 약 1170억 달러(약 169조 원)를 운용하고 있다. 라몬트 부사장은 경제학 박사로 하버드·프린스턴 대학 교수 및 예일대·시카고대 경영대학원 교수로 활동한 금융시장 전문가다.
    • 한국 이슈
    • 증권/금융
    2025-03-16
  • 통장에 찍힌 '11경8503조원'…은행의 상상 초월 실수, 어떻게 가능했나?
    [더지엠뉴스] 미국 시티그룹이 고객 계좌에 81조 달러(한화 약 11경 8503조 원)를 잘못 송금했다가 이를 취소한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이 어처구니없는 실수는 지난해 4월 발생한 것으로, 280달러(약 41만 원)를 송금하려던 직원이 잘못 입력하면서 시작됐다. 더욱 놀라운 점은 이 초대형 오류가 은행의 내부 검토 과정을 거쳤음에도 승인됐다는 점이다. 시티그룹은 송금 90분 만에 거액이 빠져나간 사실을 확인하고 신속하게 오류를 정정했다. 하지만 파이낸셜타임스가 공개한 내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만 해도 10억 달러(약 1조 4640억 원) 이상 손실을 초래할 뻔한 송금 사고가 10건이나 있었다. 시티그룹은 2020년에도 9억 달러(약 1조 3168억 원)를 화장품 회사 레블론 채권단에 잘못 송금하는 바람에 당시 최고경영자(CEO)가 해임되고 막대한 벌금을 지불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대형 은행에서 반복되는 이 같은 실수가 금융 시스템의 허점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지적한다. 특히 자동화된 금융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상상하기 어려운 규모의 자금이 한순간에 움직일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된 셈이다. 시티그룹 측은 “내부 통제 시스템이 오류를 빠르게 감지해 다행히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면서도 “이 같은 일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자동화 프로세스를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은행 시스템이 거액의 송금을 걸러내지 못하는 사례가 반복되면서 금융업계 전반에서도 내부 시스템 점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고 외신은 지적했다.
    • 미국
    • 증권/금융
    2025-03-03
  • [이번주 글로벌 경제]미국 연준의 금리 정책 변화, ‘산타 랠리’ 재현 가능성
    [더지엠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 인하 속도를 조절하며 주식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연말 전통적으로 기대되는 ‘산타 랠리’가 올해 재현될지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연준은 지난 수요일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하며 시장 예상을 충족했지만, 2025년 금리 인하 횟수를 기존 4회에서 2회로 줄일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발표 이후 미 증시는 큰 하락세를 보였고, 다우지수는 주간 기준 2.25% 하락, S&P 500은 1.99% 하락, 나스닥은 1.78% 하락했다. 전통적으로 연말 마지막 5거래일과 신년 초 2거래일 동안의 ‘산타 랠리’에서 S&P 500 지수는 평균 1.3% 상승했다는 기록이 있지만, 올해는 금리 정책 변화와 시장 불확실성으로 인해 기대감이 약화되고 있다. S&P 500 내 11개 업종 중 8개가 12월에 하락했으며, 등가 가중치 지수는 이달 6% 하락했다.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가 4.55%로 급등하며 투자 심리가 악화된 점도 주식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시장 전략가들은 주식 시장이 고평가 상태에 있으며, 연준의 완화 정책 기대가 과도했다고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최근 조정이 투기 심리를 억제하고 반등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긍정적인 신호라고 분석했다. 다음 주에는 일본은행(BOJ) 총재의 발언과 주요 경제 지표들이 발표될 예정이다. 일본은행은 이번 주 기준금리를 동결했으며, 내년 1월 금리 인상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또한, 성탄절로 인해 주요 글로벌 증시가 단축 운영되거나 휴장할 예정이다. 주요 글로벌 경제 일정 (현지 시간 기준): 월요일 (12월 23일): 영국 3분기 GDP 최종치, 미국 소비자 신뢰 지수, 캐나다 10월 GDP 발표. 화요일 (12월 24일): 캐나다, 일본, 호주 중앙은행의 정책 회의록 발표. 수요일 (12월 25일): 일본은행 총재 발언, 미국 API 원유 재고 발표. 목요일 (12월 26일): 미국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발표. 금요일 (12월 27일): 일본 11월 실업률, 미국 EIA 원유 재고 발표.
    • 미국
    • 증권/금융
    2024-12-22
  • 미국 주식, 글로벌 투자자들의 최대 관심… "과도한 낙관 주의해야"
    [더지엠뉴스]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이 미국 주식 비중을 사상 최대 수준으로 확대하면서 투자 심리가 과열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하지만 과도한 현금 축소와 주식 집중이 시장에 새로운 리스크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경고도 제기된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가 발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12월 기준 글로벌 펀드매니저들의 평균 현금 비중은 3.9%로, 11월 대비 감소했다. 반면 미국 주식 비중은 36% 이상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설문에 참여한 171명의 자산운용 전문가들은 경제 성장 지속에 대한 낙관론과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주요 배경으로 꼽았다. BoA의 마이클 하트넷 수석연구원은 "이번 데이터는 투자자들의 심리가 매우 낙관적인 상태임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응답자의 60%는 경제 둔화 없이 인플레이션이 완화되는 '소프트 랜딩'을, 33%는 경제 성장과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노 랜딩'을 예상했다. 하지만 하드 랜딩을 전망한 응답자는 6%에 그쳤다. BNP파리바자산운용의 대니얼 모리스 분석가는 “소프트 랜딩 가능성이 높아 보이지만, 일부는 경제 성장이 둔화되지 않으면서 물가도 하락하지 않는 노 랜딩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하트넷 연구원은 현금 보유 축소가 지나칠 경우 오히려 매도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현금 보유율이 4% 이하로 떨어졌던 과거 사례에서 시장은 단기적으로 하락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실제 MSCI 세계지수가 해당 신호 이후 2.4% 하락했던 사례가 언급됐다. 현재 투자자들의 대규모 주식 집중이 긍정적인 흐름을 유지할지, 혹은 새로운 조정 국면의 신호가 될지는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 미국
    • 증권/금융
    2024-12-20
비밀번호 :